• Title/Summary/Keyword: 표준화설계

Search Result 1,51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Design of Hybrid Repository to store Pattern-Oriented Design Information based on UML (UML기반의 패턴지향 설계정보 저장을 위한 혼합형 저장소 설계)

  • Choi, Han-Yong;Song, Young-Ja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9
    • /
    • pp.2836-2845
    • /
    • 2000
  • UML is used for standardized design, but it has a problem to reuse classified and standardize design information to reuse existing design information. In this paper, the plan to solve these problems design the HYREPnIYbrid REPository) using pattemize design information, and to express together specific property of standardized design information and non standardized design information. It save standardized design information in public area, and non design information in private area. And to express saved design information in repository, UML 1.3 of OMG is used and explained the relationship of the object. Therefore, we designed hybrid repository to express standardized design information and non standardized design information using inheritance concept to remove over adding of pattemized design information.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ctionary-based Column Name Standardization System (사전기반 항목명 표준화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Shin, Su-Mi;Moon, You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21-624
    • /
    • 2021
  • 최근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분석을 위해 필요한 데이셋의 표준화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데이터 표준화를 위해서는 업무 처리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의 명명 규칙을 규정하고 그 기준에 따라 표준 명칭을 부여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항목명 표준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공개된 표준단어사전을 활용하여 유의어를 포함한 참조 사전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준사전을 구축하여 표준 항목명을 제공한다. 기 구축된 데이터셋의 항목명을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새로운 항목명을 입력하면 항목명 표준화 시스템은 표준화된 한글 항목명과 영문 항목명, 그리고 테이블 설계에 사용하는 영문 약어명을 출력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테이블 설계에 활용하거나 기 구축된 데이터셋을 표준화하는데 적용하면 일관된 데이터 해석이나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by Data Standardization for Distributed Goods (유통 상품의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에 대한 연구)

  • Song, Jang-Seop;Rhew, Sung-Y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9
    • /
    • pp.101-109
    • /
    • 2013
  • Data quality management is extremely important. In this study, we proposed data standardization for effective quality management of enterprise-owned data about distributed goods and validated its effectiveness by case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data, we designed data category and data dictionary. Additionally, we categorized data and identified its attributes for data category design, and we developed design process for data dictionary and built the dictionary of word, term, domain and code for data dictionary design. And then we proposed output documents which have to be written for data standardization. Proposed data standardization approach is validated its efficiency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ment. and as a result the data quality of the data standardization improved 24% and the data quality of the consistency of the data dictionary improved 7%.

A Study on the Maintenance of Communication Facilities using the Standardized Database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지하철 통신설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 Kim, Gil-Dong;Shin, Jeong-Ryol;Lee, Woo-Dong;Kang, Se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e
    • /
    • pp.99-102
    • /
    • 2004
  •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맞추어, 도시철도운영기관의 전략적 발전과 도시철도의 정보화 기술 축적 및 표준화된 정보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도시철도 시설물 유지보수체계를 표준화하고 정보화시스템을 구축중에 있다. 이중, 도시철도 통신 설비의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해서 유지보수체계의 표준화 및 정보화시스템 구축을 통한 실시간 정보의 구축 및 기존 유지보수작업 이력정보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통신 설비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통신 설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표준분류체계를 수립하였고, 관리항목 및 유지보수작업항목을 표준화하였으며, 유지 보수업무절차를 표준화하고 도면 및 각종 문서양식을 표준화하였다. 통신 설비의 데이터베이스는 개체관계모델(ERB)을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특히, 통신 설비는 위치정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 데이터 외에 GIS용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서로 연관된 Key를 가지고 상호조회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통신 설비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엑셀조사 양식을 통하여 방대한 기초 자료를 작성하고, $SQL^*$Loader 등의 데이터 변환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일괄 등록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면반입절차서 및 표준도면작성지침서, 그리고 GIS DB 구축지침서를 통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aintenance of Signal Facilities using the Standardized Database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지하철 신호장치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 Kim, Gil-Dong;Shin, Jeong-Ryol;Lee, Woo-Dong;Kang, Se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e
    • /
    • pp.130-133
    • /
    • 2004
  •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맞추어, 도시철도운영기관의 전략적 발전과 도시철도의 정보화 기술 축적및 표준화된 정보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도시철도 시설물 유지보수체계를 표준화하고 정보화시스템을 구축중에 있다. 이중, 도시철도 신호 장치의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해서 유지보수체계의 표준화 및 정보화시스템 구축을 통한 실시간 정보의 구축 및 기존 유지보수작업 이력정보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신호 장치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설계 및 구축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신호 장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표준분류체계를 수립하였고, 관리항목 및 유지보수작업항목을 표준화하였으며, 유지보수업무절차를 표준화하고 도면 및 각종 문서양식을 표준화하였다. 신호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는 개체관계모델(ERD)을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특히, 신호 장치는 위치 정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 데이터 외에 GIS용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서로 연관된 Key를 가지고 상호조회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신호 장치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엑셀조사 양식을 통하여 방대한 기초 자료를 작성하고, SQL*Loader 등의 데이터 변환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일괄 등록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면반입절차서 및 표준도면작성지침서, 그리고 GIS DB 구축지침서를 통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XML-QL Retrieval of Design Pattern Management System based on XML (XML 기반의 디자인 패턴관리 시스템에서 XML-QL 검색에 관한 연구)

  • Kim, Jin-Hyang;Choi, Han-Yong;Song, Y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79-382
    • /
    • 2001
  • 객체지향 시스템 개발환경에서 모델링의 표준화를 위해 UML을 이용하고 있으며, 설계정보 재사용을 위해 디자인 패턴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문서의 표준화로 XML을 제정하고 있으며, 분산객체개발 환경에서 설계정보의 재사용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XML로 표현된 설계정보의 효율적인 재사용을 위한 검색 방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ML로 표현된 디자인 패턴 설계정보의 재사용을 위한 효율적인 검색을 목표 위해 XML-QL을 적용하여 재사용을 위한 검색효율을 높이고자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객체의 질의 효율을 놀이기 위해 XML로 표현된 디자인 패턴정보를 XML 계층구조로 변환하고 XML-QL을 적용하여 설계정보를 질의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XML-QL 질의시스템을 이용하여 표준화된 디자인 패턴 설계정보의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여 분산객체개발 환경에서 설계정의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

The Standardization for Open System Building (건축의 개방형시스템을 위한 표준화(1))

  • Park, Jun-Yeong
    • Korean Architects
    • /
    • no.7 s.351
    • /
    • pp.101-105
    • /
    • 1998
  • 이번 호부터는 '건축의 개방형시스템을 위한 표준화'에 대해 총 4회에 걸쳐 연재하고자 한다. 1회에서는 국내 표준화의 변천과정, 2회에서는 ISO를 비롯한 선진각국과 국내 표준화 추진현황 및 국제화에 대응한 표준화의 개념과 역할 등을 제안할 예정이다. 또한 3회에서는 건축의 개방형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표준화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추진목표와 실천전략을 종합하고 98년 9월부터 범용적으로 활용할 예정인 공공건축물 대상의 표준화설계에 관한 구체적인 활용방법에 대해서도 소개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4회에서는 앞서 소개한 내용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종합하여 향후 '건축사의 중심적 역할'에 대한 필자의 제언을 싣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XML Messaging System based on TCP/IP (TCP/IP 기반의 XML 메시징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임종선;주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676-678
    • /
    • 2002
  • XML은 표준화와 운영체제 중립적이라는 특성 때문에 전자상거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미 많은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이용하고 있다. B2B 전자상거래분야를 위해서는 기업간 비즈니스에 대한 업무 규칙과 절차가 표준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업들이 표준화 된 XML 문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실정에 맞게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업간XML 문서 전달을 하고 있어, 이에 따라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기반으로 많은 조직과 기업에서는 XML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표준화 작업을 프레임 워크 형태로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CP/IP 기반의 메시징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시스템을 모듈별로 설계를 하였기 때문에 시스템의 확장성이 용이하다. 본 메시징 시스템은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sign ana Implementation Client/server Messaging System for electronic commerce (전자상거래를 위한 Client/Server 메시징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고영승;임종선;주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417-420
    • /
    • 2002
  • XML은 표준화와 운영체제 중립적이라는 특성 때문에 전자상거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미 많은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이용하고 있다. B2B 전자상거래분야를 위해서는 기업간 비즈니스에 대한 업무 규칙과 절차가 표준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업들이 표준화 된 XML 문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실정에 맞게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업간 XML 문서 전달을 하고 있어, 이에 따라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기반으로 많은 조직과 기업에서는 XML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표준화 작업을 프레임 워크 형태로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CP/IP 기반의 메시징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시스템을 모듈별로 설계를 하였기 때문에 시스템의 확장성이 용이하다. 본 메시징 시스템을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Conceptual Study on Standardization for Drawings on the Basis of Collaboration (협업기능에 기반한 설계도면 표준화의 개념정립에 대한 연구)

  • Chin Kyung-Ho;Han Seung-Hun;Ryu Ho-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593-597
    • /
    • 2003
  • As construction projects are complicated and large in scale, a collaboration between project participants is getting more emphasized over the last few years. The collaboration tools for participants are various. but traditionally drawings and specification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Especially, though storage form in drawings vary in entire construction lifecycle, drawings are still important as the core factor in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streams in regard to usefulness and reusability of information. As an attempt to standardize drawings in the public construction based on CALS/EC, this study analyzes user's requirements for drawings qualitatively, and looks into drawings standards in Korea, America and Japan, and each kind of ISO standard for drawings. And this study predicts future-oriented user's requirement for drawings based on Construction CALS/EC, and presents future-oriented direction of development applicable in domestic drawing standard in constru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