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준형 부표류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표준형 부표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정해상;국승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0-172
    • /
    • 2017
  • 표준형 부표류는 2001년에 개발되어 현재까지 15년동안 해상교통환경 및 해양기상여건이 변화하고 관리자의 운영경험이 축적되었으며 최근 첨단 기술 및 신소재가 개발되어 표준형 부표류의 개선이 필요하다. 표준형 부표류의 구조적 및 관리운영적 측면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양선진국의 사례를 조사하는 등 표준형 부표류를 개발하고 개선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 PDF

우리나라 부표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아름;성유창;임남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1-343
    • /
    • 2015
  • 우리나라의 표준형 부표류는 2001년 지정된 후 일부 부표류의 활용이 저조하고 우리나라 해역에 적합하지 못한 부표류가 일부 차지하고 있으므로 표준형 부표류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 현황 및 검토가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의 표준형 부표류가 철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PE 소재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 검토하고 있는 국제적인 추세를 반영하여 저수심수역 등에 가능한 신소재와 충격 흡수성이 좋은 고무 소재 등을 부표류에 적용하는 등의 신소재 부표류 개발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 PDF

항로표지 연구개발(R&D) 현장 활용 - (등)부표 계류용 슈퍼섬유 로프 -

  • 이대범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03-406
    • /
    • 2013
  • 표준형 부표류 계류시설 기술개발계획 승인(2010. 6. 29) 후 중소기업청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표준형 부표류 계류시설 기술개발이 2010. 6. 1~2012. 5. 31. 약 24개월간 추진되었고, 2013. 5. 31. 신제품 기술개발사업 최종 "성공" 평가로 판정됨에 따라 (등)부표 계류 안정성 검토 결과를 반영한 현장 활용을 통해 신(新) 계류시설의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그동안 주강용 체인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고중량, 부식성, 마모성, 해양환경, 전량수입 등과 같은 관리 운영상 문제점이 개선되고, 연구개발(R&D)를 통한 해양분야의 창조경제 실현이 기대된다.

  • PDF

조위 순응형 Sparbuoy 개발

  • 전민수;허주;김기담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9-271
    • /
    • 2011
  •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준형 부표류 중 스파부이는 등부표에 비하여 이출거리가 적고 항만 입출항로 및 협수로에서의 항로표시 기능은 좋은 편이나 강조류나 조차가 큰 해역등에서는 설치운영이 곤란한 실정이다. 이러한 스파부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단점을 보완하는 조위 순응형 스파부이의 개발이 절실한 시점이며, 이러한 항로표지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위 순응형 스파부이를 개발하기 위한 전 해역의 환경조건을 검토하여 실제 해역에 적용가능한 스파부이의 구조형식을 제안하였다.

  • PDF

플라스틱 부표의 해상 환경에 따른 특성 연구

  • 한주섭;여지민;유용수;김종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2-223
    • /
    • 2017
  • 해외 선진국에서 부식에 강한 플라스틱 등부표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도입을 위하여 플라스틱 부표에 대한 장 단점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소재 부표류의 실제 해상 설치를 통하여 등부표의 안정성 분석, 표체 상부의 색도 변화 및 조패류 부착 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안정성 분석을 위하여 2축 디지털 경사계를 표체 상부 철탑에 설치하였으며, 플라스틱(JET-7000, PB-26) 등부표와 철재 표준형(LL-26(M)) 등부표에 대하여 일일 최대 경사각을 확인하여 각 등부표의 최대 경사각을 분석하였다. 플라스틱 부표의 해상 환경에 따른 특성 분석을 위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도 변화, 해양생물의 부착정도 등을 관찰하였다.

  • PDF

서해안 해상풍력단지 풍황관측용 부유식 라이다 운영을 위한 선박형 부표식 최적화 설계 및 검증 (Optimized design and verification of Ship-type Floating Lidar Buoy system for Wind resource measurement in the Korean West Sea)

  • 강용수;김종규;이백범;양수인;김종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1-164
    • /
    • 2022
  • 부유식 라이다는 해상풍력단지 조성시 필수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풍황관측 업무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전통적으로 풍황관측을 수행하고 있던 해상기상관측탑을 대체하여 사업 초기의 대규모 공사를 획기적으로 축소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 하며, 지역사회의 반발 요소까지 줄일 수 있어 해당 업계의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는 중이다. 다만 부표식의 동요에 따른 외란적 요소가 관측자료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안정적인 플랫폼의 설계 및 검증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며, 국내에서는 해당기술에 대한 늦은 진입으로 인해 다수의 외산장비 제조사들이 국내시장까지 선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의 서해안은 천해 환경으로 조석차가 매우 커 지역에 따라 강한 조류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계절별로 상이한 강한 에너지의 파랑이 형성되는 등 플랫폼에 안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바다 환경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환경적 특성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해역에 라이다 운영에 적합한 부표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우선적으로 적용하였던 선박형 부표식의 최적화 설계 및 검증 사례를 소개하고, 향후 다양한 플랫폼 개발에 토대가 되는 중요 개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서해안 해상풍력단지 풍황관측용 부유식 라이다 운영을 위한 선박형 부표식 설계 및 계류 시스템의 수치 해석적 안정성 평가 (Design of Ship-type Floating LiDAR Buoy System for Wind Resource Measurement inthe Korean West Sea and Numerical Analysis of Stability Assessment of Mooring System)

  • 강용수;김종규;이백범;양수인;김종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83-490
    • /
    • 2022
  • 부유식 라이다는 해상풍력단지 조성 시 필수적인 풍황관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지역사회의 반발까지 줄일 수 있어 업계의 표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부표의 동요에 의한 교란요인이 관측자료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안정적인 플랫폼의 설계 및 검증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이 분야의 기술 진출이 늦어짐에 따라 다수의 외국계 장비업체들이 국내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우리나라 서해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매우 큰 천해성 환경이기 때문에 강한 해류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계절별로 다른 강한 에너지의 파도가 형성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복합적인 환경 특성을 지닌 우리나라 해역에서 라이다 운영에 적합한 부표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먼저 적용된 선박형 부표식의 최적화 설계 및 검증 사례를 소개하고, 향후 다양한 플랫폼 개발의 기반이 될 중요한 개념을 도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