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체형

Search Result 10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Study on Standard Bodytype for Korean Women between the ages of 18 and 24 years old(Part I)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High-frequency type and the High-frequency range- (18~24세 한국인 여성의 표준체형에 관한 연구(제1보) -다빈도유형 및 다빈도구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이정임;남윤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5
    • /
    • pp.630-64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andard of bodytype which offers various data with regard to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body, and which offers the criterion for the sizes and shapes to interpret various bodytypes, to estimate filling, and to construct ready-made clothing. In this study, standard bodytype was defined as a typical type with beautiful proportion and shape which a large number of people have, too. In order to continue this study, there were two ways of analyzing bodytypes of subjects in the view of statistics and beauty. We primarily carried on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report. Taken as a sample, the subjects were ninety-seven females who were between the ages of 18 and 24 years o1d. They were measured on November 1999. The data of seven hundred and few females, 18∼24 year-old, from the National Somatometry Survey of 1997 were used for analysis, too. Three kinds of classification method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first method was based on the lateral view of the body, the second was based on the Factor and Cluster analysis of the photographic measurements of each of the anterior and lateral body, and the third was based on the Factor and Cluster analysis of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the whole body. From the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of R hrer Index the difference of width, the difference of depth, the proportion of height and head height, the High-frequency Proportion(H.P.)range were selected. The straight type from the lateral view, High-frequency type from each method, and subjects in H.P. range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s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roper to base on the size and shape of subjects in H.P. range to analyze the standard bodytyp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n′s Basic Bodice Patterns According to Somatotypes (체형별 남성상의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Jinsun;Lee, Won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754-176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적합성과 기능성이 고려된 체형별 남성 상의 원형 패턴을 개발하는데 있다. 피험자는 인체계측자료와 측면체형 사진에 의해 선정하고, 체형은 굴신체형, 표준체형, 반신체형으로 분류하였다. 체형별 실험 원형 패턴의 평가를 위하여 기존원형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착의평가 결과 표준체형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적합하였으나, 굴신체형과 반신체형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앞길이와 등길이 뿐만 아니라 여유량과 윗 가슴둘레에 서 나타난다. 앞품과 뒤품은 외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증가된 옆품은 앞품과 뒤품의 부족분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실험패턴은 기존패턴보다 각 체형에 더욱 적합하며, 체형 적합성과 동작기능성이 고려된 의복 제작을 위한 패턴설계는 인체의 구조와 동작연구에 의해 가능하였다. 2. 기본원형 패턴 설계를 위한 필요치수는 목뒤높이, 등길이, 앞길이, 윗 가슴둘레, 앞품과 뒤품이며, 체형분류의 기준은 윗 가슴둘레, 앞품, 뒤품, 앞길이, 등길이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가슴둘레 선은 [(B/2+B/10), 뒤진동깊이는 [(B/10+목뒤높이/10)]로 설정하고, 앞내림은 1.5cm로 하였다.

  • PDF

도시 지역 중년여성의 비만도에 따른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태도 비교 연구

  • 정인경;권성옥;이일하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76-1076
    • /
    • 2003
  •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 및 식생활 습관의 서구화로 비만 유병율이 증가하면서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그러나 신체적 매력 중에서 날씬함을 너무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 등의 영향으로 자신의 체형을 왜곡되게 인식함으로써 이에 따른 신체에 대한 불만족은 무분별한 체중조절을 시도하도록 자극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리한 체중조절은 신체적·심리적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젊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으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체형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체형인식 경향을 파악하고 체중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중년여성 249명으로 일반사항,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태도, 이상식행동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8.5세였으며 평균 비만도(BMI)는 22.7로서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비만도에 따른 체중군별 분포는 정상체중군이 72.9%로 가장 많았으며, 저체중군이 6.7%, 과체중군이 20.4%이었다. 자기 체형에 대한 인식도를 체중군별로 비교해본 결과, 정상체중군의 40.1%만이 자신의 체형을 ‘표준체형’으로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을 뿐, 8.1%는 ‘마른 체형’으로, 51.7%는 ‘살찐 체형’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체중군의 37.5%는 자신의 체형이 ‘표준체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체형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80.9%가 ‘표준체형’이라고 응답하였으며, 8.7%는 ‘마른 체형’을, 10.4%는 ‘살찐 체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체형에 대해 조사대상자의 55.8%가 ‘불만족하다’ 고 응답한 반면 ‘만족하다’ 고 응답한 경우는 11.1%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도는 체중군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과체중군이 저체중이나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지난 1년 동안의 체중 감량 경험 여부를 조사해본 결과, 과체중군의 77.1%, 정상체중군의 65.3%, 저체중군의 62.5%가 체중감량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감량 이유를 묻는 문항에 과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의 경우 ‘건강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반면 저체중군의 경우 ‘체중이 증가되었기 때문에’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아 체중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조사대상자의 53.8%가 체중감량을 하는 중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저체중군이 과체중이나 정상체중군에 비해 체중감량에 따른 부작용 경험자의 비율이 높았다. 이상식행동을 측정한 결과, 과체중이나 저체중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이상식행동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세부요인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체중조절에 대한 집착과 식이조절점수는 과체중군이 가장 높았으나, 섭식통제 관련 식행동 점수는 저체중군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년여성들의 경우 대부분이 자신의 실제 체형에 대하여 그릇된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체중을 감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체중군의 경우 건강보다는 외모 때문에 무리한 체중감량을 시도하고 있었으며 이상식습관과 관련된 식행동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여 영양 및 건강 상태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중년여성들에게 자신의 체형과 이상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표준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Body Shape Satisfaction and Body Shape Esteem according to the State of Obesity in 12-year old Children (초등학생 6학년 학생의 비만상태에 따른 체형만족도와 체형존중감에 관한 연구)

  • 백경신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18 no.1
    • /
    • pp.79-9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ody shape satisfaction and body shape esteem according to the state of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st to 31th, 1999 using the questionnaire and the physical examination record. The subjects were 669 in 12-year old children.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s, crosstabs, ANOVA, pearson correlation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 of overweight was 14.0% of total students, 21.4% of mail students and 6.6 % of female student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shap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obesity in total students(($chi^2$ = 110.31, p = .000), in mail students(($chi^2$ = 99.97, p = .000), in female students(($chi^2$ = 62.23, p = .000). The percentages of the body shape satisfaction were highest the underweight group in total and female students but in mail students the normal weight group was highest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shape esteem according to the state of obesity in total students(F = 8.634, p = .000), in mail students(F = 11.738, p = .000), in female students(F = 4.502, p = .004). The mean scores of body shape esteem were highest the normal weight group in total students, overweight group in mail students and underweight group in female students. The higher the state of obesity was, the lower body shape esteem. 4.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shape satisfaction, body shape esteem and obesity index were significant. Obesity index we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related to body shape satisfaction(r = -.2081, P = .000), to body shape esteem(r = -.2250, p = .000).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e of obesity according to sex(($chi^2$ = 88.136, p = .000) and the perception of body shape(($chi^2$ = 242.371, p = .000) in total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e of obesity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father(($chi^2$ = 15.11, p = .019), the perception of body shape(($chi^2$ = 138.95, p = .000) in mail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e of obesity according to the education of mother(($chi^2$ = 19.46, p = .022), the perception of body shape(($chi^2$ = 143.35, p = .000) in female students.

  • PDF

A Study on Life Habits of Male and Female Adults Relating to Their Body Shape (체형에 따른 성인 남녀의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 이희섭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3 no.2
    • /
    • pp.147-15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otal life habits of male and female adult through questionaire. Questionaire was composed of items such as perception of body shape, food habits, preference habits, the concern of the health and weight control.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like low-weight group, standard-weight group, over-weight group according to their body shap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7.9% of the subjects were included in low-weight group, 55.2% in standard-weight group, 36.9% in over-weight group. The subjects' perception of ideal body shap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actual body shape. Mal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than females. Most of females were unsatisfied with present their body shape and prefered slim and long body shape. Males, specially low-weight group, had adherence to smoking, alcohol and health food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Food habits of males were considered to be fair compared with those of females. Meal amounts of over-weigh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Low-weight group took more snacks and took a stong dislike of food. Males exercised hard and thought their health status to be fair. Low-weight group of males and standard-weight group of females considered their health status to be bad. 69% of the subjects were concerned about weight control. Low-weight group of males had a desire to gain weight while most of females had a desire to lose weight.

  • PDF

Development of Convertor supporting Multi-languages for Mobile Network (무선전용 다중 언어의 번역을 지원하는 변환기의 구현)

  • Choe, Ji-Won;Kim, Gi-Cheon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9C no.2
    • /
    • pp.293-296
    • /
    • 2002
  • UP Link is One of the commercial product which converts HTML to HDML convertor in order to show the internet www contents in the mobile environments. When UP browser accesses HTML pages, the agent in the UP Link controls the converter to change the HTML to the HDML, I-Mode, which is developed by NTT-Docomo of Japan, has many contents through the long and stable commercial service. Micro Explorer, which is developed by Stinger project, also has many additional function.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WAP convertor which can accept C-HTML contents and mHTML contents. C-HTML format by I-Mode is a subset of HTML format, mHTML format by ME is similar to C-HTML, So the content provides can easily develop C-HTML contents compared with WAP and the other case. Since C-HTML, mHTML and WML are used under the mobile environment, the limited transmission capacity of one page is also similar. In order to make a match table. After that, we apply conversion algorithm on it. If we can not find matched element, we arrange some tags which only can be supported by WML to display in the best shape. By the result, we can convert over 90% contents.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adult women (성인여성 기성복의 치수 간격설정에 관한 연구)

  • 이진희;최혜선;박수찬;김진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189-204
    • /
    • 1993
  • 산업화로 인한 급속한 경제성장과 증가하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의생활에서 보다 편 하고 간소화된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고, 이에따라 의복의 구입에 있어서도 맞춤복보다 는 시간, 경제면에서 유리한 기성복을 선호하게 되었다. 불특정다수를 위한 기성복의 생산에 있어서 개개인의 체형에 보다 적합성이 좋은 제품의 개발을 위해 다수인의 다항 목계측치에 근거한 치수체계의 설정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공업진흥청에 의해 제 1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1986년에는 제 2차 조사가 실시되어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 공업규격의 의류치수 규격이 제정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연령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체형분류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제품 호수에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둔 체계였다. 1992년에는 제 3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 되어 그 결과가 발표되었다. 의복은 인체계측에 의한 신체 각 부위의 치수와 형태를 기초로 2차원적인 소재에 적절한 원형을 사용하여 재단, 봉제과정을 거쳐 3차원의 입체 로 구성하고 인체에 대응시킨 것이므로 기성복에 대하여 소비자의 치수적합성을 만족시 키기 위해서는 체형의 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은 출산후 중년에 접어들면서 신체적 특성이 변하여 체형이 바뀌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 여성에대한 의류치수규격보다는 연령의 구분과 체형의 분류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우기 의류업체들의 판매대상의 세분화는 이를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체형의 분류는 의복 치수 규격에 적용되어 의복의 종류에 따라 대다수의 불특정 다수 에게 보다 잘 맞는 의복 치수를 제공할 것이며, 그 치수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김성득(1991)은 소비자의 기성복에 대한 구매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격치를 등간격 으로 하기 보다는 소비자의 분포밀도가 높은 곳일수록 규격치 간격들을 좁게 설정함으 로써 생산자 입장에서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

  • PDF

연구실 탐방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세진박사팀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4 s.359
    • /
    • pp.30-31
    • /
    • 1999
  • 대덕연구단지 내에 자리잡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박세진박사팀은 최근 대원산업의 시트연구실과 공동으로 운전자의 체형을 자동감지하는 자동차시트 개발에 성공했다. 박박사팀이 이번 개발한 자동체형감지시트는 운전자가 시트에 앉았을때 가장 편안한 운전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시트의 위치 및 각도가 운전자의 신체특성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인공지능형 자동시트로 지난 3월 특허출원을 마치고 상용화를 준비중이다.

  • PDF

The Study on Standard Bodytype for Korean Women between the ages of 18 and 24 years old(Part II) -Standard proportion and Standard bodytype- (18~24세 한국인 여성의 표준체형에 관한 연구(제2보) -표준프로포션과 표준체형에 대하여-)

  • 이정임;남윤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6
    • /
    • pp.801-81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andard bodytype which offers criterion for the sizes and shapes to interpret various bodytypes, to estimate fitting, and to construct ready-made clothing. There were two ways of analyzing bodytypes of subjects from the viewpoint of statistic and beauty. We had carried on the analysis from the viewpoint of statistic in the Part(1) and we carried on the analysis from the viewpoint of beauty in this Part(2). Taken as a sample, the subjects were ninety-seven females who were between the aloes of 18 and 24 rears o1d. They were measured on November 1999. The data of seven hundred and four females,18∼24 year-old, from the National Somatometry Survey of 1997 were used for analysis, too. The first analysis from the viewpoint of beauty was executed to the front and side photographs of the subjects to analyze the general traits of the beautiful bodytype. The second analysis from the viewpoint of beauty was executed to subjects who were in both High-frequency proportion range and Beautiful bodytype group. As the result, four groups in Beautiful and High-frequency proportion range were selected. The standard proportion was analyzed with the size and shape of four groups. Based on the standard proportion, the size, shape and silhouette of the standard bodytype were analyzed. To verify the size, shape and silhouette of the standard bodytype, the location of the standard bodytype in the 1997 National Somatometry Survey group was analyzed. As the result, the standard bodytype was verified as proper criterion to interpret various bodytypes, to estimate fitting, and to construct ready-made clo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