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영상

Search Result 1,98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KOMPSAT-1 EOC 표준영상 처리

  • Jun, Jung-Nam;Kim, Youn-Soo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 no.1
    • /
    • pp.197-204
    • /
    • 2003
  • General image processing is the production of images of added value with the use of the original and standard images. Generated data and auxiliary data are backed up and this retrieved data is periodically updated to provide images to outside users. To product general images, makes use of EOC Processing System Software. And then added value images is made from the standard images. Standard and added images are possible with internet for search and promptly provides for user. The process of the standard image derived from the original image(received from the satellite) is systematically arranged in this thesis, which also contains a concise explanation of the EOC processing system.

  • PDF

TTA와 함께하는 ICT 표준자문서비스 - 칩스앤미디어, 국내 유일에서 세계의 표준으로

  • 표준화본부 표준진흥단
    • TTA Journal
    • /
    • s.178
    • /
    • pp.124-127
    • /
    • 2018
  • (주)칩스앤미디어는 2003년 반도체 설계 자산(Semiconductor IP)생산을 시작으로 현재는 표준 영상 압축 기술인 MPEG 표준을 비롯하여 UHD 표준 압축 기술인 HEVC 등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이미지 신호 처리(ISP) 및 CV IP 등의 시장 출시를 준비 중이다. HEVC의 개발 이후 ISO/IEC에서는 차세대 영상 압축 기술에 대한 표준화를 논의하고 있다. (주)칩스앤미디어는 표준 규격이 완료되기를 기다려 이를 구현하기보다, 한 발 더 앞서 행동하는 것이 현명하리라 판단했다. 직접 국제 표준을 제안함으로써 원천 특허를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TTA 자문서비스의 도움으로 (주)칩스앤미디어는 차세대 영상 압축 기술 표준 관련 특허출원에 성공했다.

  • PDF

A Study on The Need and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Imagery Transmission Format Standard (영상유통포맷 표준 개발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연구)

  • Lim, Seong-Ho;Park, Wan-Yong;Cho, Jae-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1
    • /
    • pp.55-61
    • /
    • 2010
  • As digital images combined with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became popular, the development of transmission format standard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imageries is demanded. The purpose of the format standard is to provide a universal format that facilitates the exchange of images and related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found optimal requirements of imagery transmission format standard after reviewing current state of both military and commercial products and studying functions of various types of format standards including NITF (National Imagery Transmission Format). In addition,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the imagery transmission format standard that complies with current trend of high-resolution and mass storage imagery data is proposed.

A Study on the Deviation of Cluster Based on Template Images of Korean Children's Brain SPECT Image Using the Statistical Parametic Mapping (통계적 파라미터 뇌지도작성을 이용한 국내 어린이 뇌 SPECT영상의 표준틀영상에 따른 화소덩어리의 편차연구)

  • 신동호;박성옥;권수일;조철우;윤석남;이명훈;신동오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15 no.1
    • /
    • pp.45-53
    • /
    • 2004
  • SPM has been widely applied for comparison studios of the functional image data among groups of patients or individuals under different conditions and these images are from people ranging from children to adults. However, the analysis of children's brain images by using SPM can make children's brain images normalized to an adult's template image and this can result in some errors. So this study created the children's mean MR images based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36 normal children (age: 2~6, average age: 4.36, SD age: 1.41, M/F: 17/19), and the children's mean SPECT images by using SPECT images of 13 normal children (age: 2~6, average age: 4.80, SD age: 1.17, M/F: 10/3). We created the Korean children's brain template image, based on those mean images, and then we compared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clusters, based on the blood flow, by normalizing ADHD children's SPECT image to Korean children's template image and SPM adult's template im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ariation of the cluster positions was found to be a maximum of 25 ㎜. Therefore, we should be aware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template image and the p-value when we analyze the chlidren's brain image by using SPM.

  • PDF

MPD Structure suggestion for 6DoF video delivery (6DoF 영상 전송 구현을 위한 MPD 구조 제안)

  • Seo, BongSeok;Hyun, ChangJong;Kim,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86-88
    • /
    • 2019
  • 최근 다양한 VR/AR HMD 장비의 등장으로 영상표준에서는 3DoF 영상인 360 영상에 관한 표준이 정립되었다. 또한 이후 추가적인 표준인 3DoF+, 6DoF 로의 표준화가 계획 중이며 진행 중이다. 하지만 현제 실질적으로 6DoF 영상을 제작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표준은 존재하지 않으며, 표준화가 진행 되더라도 전송에 적합한 형태를 찾는 과정까지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표준화된 360 영상 표준과 전송 표준인 DASH를 활용하여 3DoF+ 이상의 6DoF를 구현하기 위한 DASH의 MPD 구조를 제안하여 실감 미디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Color Image Enhancement Using Human Visual Properties and Neural Network (인간의 시각 특성과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칼라영상의 향상)

  • Sin, Hyeon-Uk;Jo, Seok-J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12
    • /
    • pp.3265-327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칼랄 인식 특성인 명도, 채도 및 색조의 관계를 학습시킨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열화된 영상의 채도 부분을 향상하는 칼라영상향상법으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우선 표준영상으로부터 여러 단계 열화된 영상들로부터 얻은 다양한 명도, 채도 및 색조의 관계를 신경회로망의 입력으로 하고 표준영상의 채도를 목표차로 해서 신경회로망을 학습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학습된 신경회로망에 열화된 영상의 명도, 채도, 색조 그리고 향상시킨 명도를 입력하면 향상된 채도를 얻을 수 있는 칼라영상향상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칼라영상향상법에서 가장 문제가 되었던 영상 향상 시 칼라범위를 초과하는 문제와 채도 향상비의 인위적 선택문제를 해결하고 채도의 대비를 향상시켜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임을 밝혔다.

  • PDF

Design of DICOM Standard Interface Module for Medical Image Standardization (의료영상 표준화를 위한 DICOM 표준 인터페이스 모듈 설계)

  • Kim, Sung-Hyun;Jeon, Jae-Hwan;Kim, Gwan-Hyung;Kang, Sung-In;Oh, Am-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221-224
    • /
    • 2010
  •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를 바탕으로 하는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은 주요 의료영상장비들 사이에 데이터와 영상을 효율적으로 교환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한 표준안으로 현재 대부분의 최신형 의료영상장비(CT, MR, DSA, CR(Computed Radiology), 초음파검사, 핵의학검사, 내시경검사, 조직병리검사, 등)들은 의료 영상 분야의 국제 표준인 DICOM 표준방식에 의해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의료영상장비들은 독립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의료수술 모니터링 장비 등의 비 의학영상장비와 서로 연계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수술 모니터링 장비들은 DICOM 표준 데이터를 고려하지 못하므로 PACS를 통한 데이터 연계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표준 DICOM 포맷과 의료수술 모니터링 장비의 데이터 구조를 분석하여 non-DICOM 의료수술 모니터링 장비의 PACS 연동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Compressed Efficiency and Performance Comparison of Still Image by JPEG2000 (JPEG2000에 의한 정지영상 압축효율과 성능비교)

  • Choi, Kum-Su;Moon, Young-De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d
    • /
    • pp.2803-2805
    • /
    • 2002
  • 멀티미디어의 표준화에 대한 관심이 컴퓨터, 방송, 통신 등의 분야에서 더욱 높아지고 있다. JPEG2000 표준안은 영상 부호화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영상압축 뿐만 아니라 높은 성능에 부응하고자 하는 것으로 기존의 표준안보다 왜곡율과 특정부분의 영상품질을 한 차원 상승시킬 수 있어서 효율적인 면에서 더욱 우수하다. 영상의 손실 및 무손실 압축, 대용량 영상압축, 그리고 화소의 정밀도와 해상도의 차이에 의한 점진적 전송이나 관심영역의 지정과 처리 등이 그 특징특이다 JPEG2000 표준안은 인터넷, 컬러 팩시밀리, 인쇄, 스캐닝, 디지털 사진, 원격 감지, 휴대기기 등과 의료 영상 디지털 도서관, 전자 상거래 등에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JPEG2000 표준안의 최신동향과 전반적인 기술내역에 대하여 설명하고 영상압축 효율과 화질, 그리고 처리 속도 등을 기존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그 기술적 특징을 실험을 통하여 비교 제시한다.

  • PDF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을 사용한 PACS 연동 구현 사례

  • Jeong, Jun-Su
    • Korean Journal of Digital Imaging in Medicine
    • /
    • v.2 no.1
    • /
    • pp.44-51
    • /
    • 1996
  • DICOM 표준은 의학 영상 장비를 Network으로 연결하여 사용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만들어 졌다. 이것은 영상 장비가 출력하는 정보의 표준화를 통하여 영상 정보는 물론 환자 및 검사 정보 교환을 가능케 하여 장비의 효율적인 운용을 목표로하고 있다. 이런 목적외에도 장기 저장 매체의 저장 방식 및 지원되는 영상 장비의 개념을 확대하여 기존의 방사선과 장비는 물론, Endoscopy, Pathology, 및 Dematology를 포함하는 포괄적 영상 장비 연동을 위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에 있다. 본문에서는 DICOM 표준을 적용하여 시스템간의 연동을 구현한 사례로 PACS 와 RIS 연동과 같은 Text-based 연동과 DICOM Gateway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Image 연동을 위한 Image-based 연동으로 구분하여 예를 들었다. 결론적으로 DICOM 표준을 사용하면 서로 다른 형태의 영상 정보를 가지는 장비들를 Network으로 연결하여 정보 전달이 가능해 지고 이와 같은 연동은 서로 다른 시스템의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며 정보의 중복 저장을 방지할수 있게 되어 전체 시스템의 운용 효율을 증가 시킬수 있다.

  • PDF

딥러닝 기반의 몰입형 입체영상 압축

  • 최용호;이진영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8 no.1
    • /
    • pp.53-60
    • /
    • 2023
  • 최근 영상처리 및 컴퓨터비전 등 많은 분야에서 딥러닝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다양한 문제들을 높은 성능으로 해결하고 있다. 이에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표준에서도 딥러닝 기반의 미디어 기술이 활발히 제안 및 논의되고 있다. 특히, 몰입형 입체영상 압축을 위한 MPEG-I (MPEG Immersive) 표준은 메타버스 산업으로 크게 관심받고 있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그리고 혼합현실 등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활발히 연구 중이다. 입체영상은 일반적으로 복수 시점의 컬러영상과 깊이영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데이터의 양이 크기 때문에, MPEG-I 표준은 시점 간의 중복된 영역들을 제거하는 프루닝 과정을 통해 효율적인 압축을 수행한다. 하지만, 프루닝 과정에서 정반사 영역이 함께 제거되는 문제로 정확한 입체영상 복원에 한계가 있다. 본 학회지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MPEG-I 표준에 기고된 딥러닝 기반의 정반사 영역 검출을 통한 몰입형 입체영상 압축에 대해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