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면 형태

검색결과 3,195건 처리시간 0.03초

ZnO Sheets 기반 Photoanode Effects (Photoanode Effects Based ZnO Sheets)

  • 박미영;김영태;임동찬;이규환;정용수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7-197
    • /
    • 2009
  • 전기도금방법으로 여러형태의 ZnO 나노구조를 ITO/glass 위에 전착하였다. 그 중 sheet 형태의 ZnO 나노구조 위에 $TiO_2$와 CdSe 나노입자를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전착하여 유 무기 복합태양전지 및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anode로 적용하였다. 동일조건 하에서 ZnO-CdSe 형태의 전극을 사용하였을 때 Jsc, Voc 값이 상대적으로 다른 전극에 비해 증가하였다.

  • PDF

한국산 덩굴용담과 좁은잎덩굴용담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Studies of Korean Tripterospermum japonicum (Max.) Max. and Pterygocalyx volubilis Max.)

  • 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73
    • /
    • 2003
  • 한국산 용담과 식물중, 덩굴식물인 좁은잎덩굴용담속과 덩굴용담속에는 각기 1분류군씰 분포한다. 이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으며, 줄기, 잎, 자방, 악, 자방의 횡단면, 주두, 잎표피, 주맥표면, 화관열편 표면, 밀선, 종피와 화분의 형태를 조사하여 두 속간의 한계 와 유연관계를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두 분류군의 식별형질로는 주로 열매형질(삭과와 장과), 부화관의 유무와 화분형 질(망상과 유선상)로 의존해 왔으나, 조사결과 외부형태형질(뿌리, 잎, 꽃받침, 주두, 약)과 내 부형태형질(꽃받침, 자방) 그리고 미세구조(화피열편의 표면, 잎의표면, 주맥의 표면, 종피)에서도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두 분류군의 분포는 한반도 육지역에 분포하는 것은 전부 좁은잎덩굴용담이었고 덩굴용담은 해양성기후대인 제주도와 울릉도에서만 발견되었다.

GEOMETRICAL SURFACE DATA FOR A KOREAN ADULT

  • 손철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87-90
    • /
    • 1995
  • 이 연구의 목적은 복사공간에서 한국 성인을 위한 기하학적 표면 데이터 파일을 만드는데 있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한국 성인의 기하학적 표면 데이터 파일을 만들기 위해, 컴퓨터화된 인간 마네킨과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이 데이터 파일은 3012개 삼각형의 x, y, 그리고 z 좌표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하학적 표면 데이터는 한국 성인의 표면력, 투사면적, 그리고 형태 계수를 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 PDF

임프린트 나노패턴의 연속적인 구조변형 연구

  • 김수현;박대근;이초연;윤완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18-418
    • /
    • 2014
  • 나노임프린트 공정으로 제작된 동일한 형태의 패턴 구조를 변형하거나, 표면의 특성을 조절하는 것은 임프린트 공정의 응용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본 연구진은 플라즈마와 열처리를 통하여 임프린트 나노패턴의 크기를 변형하는 연구[1]와 나노구조의 형태에 따른 표면특성의 변화 연구[2]를 수행한 바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나노임프린트 패턴의 구조 및 표면특성을 단일 칩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제작하는 방법에 관해 고찰하였다. 나노임프린트 공정으로 제작한 패턴을 반응성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고안된 산소 플라즈마 장치에서 식각하여 구조를 연속적으로 변형하고, 전자현미경(SEM)과 원자힘현미경(AFM), 집속이온빔(FIB) 등을 통해 표면과 단면을 확인하였으며, 구조변형 이후의 후처리에 따른 접촉각 등의 변화를 관찰하여 임프린트 나노구조 패턴 표면의 화학적 특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단일한 모 패턴으로부터 다양한 크기의 패턴을 제작하고 화학적 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이는 것으로서, 향후 이러한 연속적 변화를 갖는 미세구조를 이용하여 혼합 물질의 분리 및 바이오 물질의 검출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N-hydroxysuccinimidyl phenyl azide와 광반응을 이용한 펩타이드의 마이크로형태 고정화 (Micropatterning of Peptides to Solid Surface by Deep-UV Lithography using N-hydroxysuccinimidyl phenol azide)

  • 김진희;김현정;김종원;장준근;민병구;최태부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41-448
    • /
    • 1998
  • 폴리머 표면에 생체물질의 고정화 방법은 생체적합성을 자닌 재료의 개발에있어서 중요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광반응을 이용한 photolithography방법을 사용하여 재료 표면의 원하는 부위에 단백질을 고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브로넥틴의 세포부탁 리간드, GRGDS펩타이드를 N-hydroxysuccinimidyl phenol azide를 이용하여 미세한 선의 형태로 표면에 광반응으로써 고정하였다. 광반응 유도체가 고정된 표면은 형광물질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혈관내피 세포는 GRGDS펩타이드가 고정화된 표면에서만 부탁됨을 관찰하였다.

  • PDF

저온 플라즈마 공정의 복합막 제조에의 응용 (Application of Low Temperature Plasma Treatment to the Fabrication of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 김현일;김성수;전배혁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8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20-122
    • /
    • 1998
  • 현재 상업화되어있는 RO membrane으로는 크게 asymmetric membrane과 composite membra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Asymmetric membrane의 소재로는 Cellulose acetate나 Cellulose triacetate와 같은 것들이 사용되며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갖는 분리막을 제조하기 위해 현재에는 주로 composite membrane 형태로 제조된다. 대부분의 composite membrane은 계면중합에 의해 제조되는데 대표적인 membranem으로는 FT-30이 있다. 이 밖에도 support의 표면을 직접 플라즈마 처리하여 복합막을 제조하는 공정이 있으며 polyactrylonitrile과 같은 membrane이 이에 속한다. 플라즈마 처리된 복합막은 처리 대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support 표면에 crosslinking의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active layer가 매우 안정하며 따라서 우수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기대할 수 있다. 이밖에도 분리막 표면을 친수성 단량체로 플라즈마 처리함으로써 분리막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하거나 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불활성 표면을 활성화 시킬 수도 있는 등의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DF

AZ31 Mg합금 판재의 표면처리 지속성에 대한 화성처리의 영향 (Surface treatment durability for conversion coated on AZ31 Mg alloy sheets)

  • 서장현;김혜정;박영희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2년도 추계총회 및 학술대회 논문집
    • /
    • pp.98-98
    • /
    • 2012
  • 마그네슘 합금판재 사용을 위한 표면처리 중 화성처리는 합금판재 표면에 화학적 반응을 유도하여 산화막 또는 무기염 형태의 얇은 피막을 형성시켜 표면 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본 발표에서는 화성처리된 AZ31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표면의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소개하였다.

  • PDF

저수축제 및 이형제가 벌크몰드컴파운드의 표면형태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Low Profile Agent and Release Agent on the Surface Morphology and Property of Bulk Mold Compound)

  • 김성룡;권기준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4호
    • /
    • pp.144-150
    • /
    • 2011
  • 폴리스티렌을 저수축제로 사용하고 Zn-stearate를 이형제로 사용하여 함량변화에 따라 벌크 몰드컴파운드의 표면형태 및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XPS, 접촉각 측정기 등을 이용하여 표면과 깊이 방향에 대한 원소함량과 접촉각을 측정하였고, 표면형태는 FE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표면조도 측정은 AFM을 이용하였다. 저수축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교하여 저수축제를 9.0 wt%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체적수축률은 0.35%에서 0.05%로 감소하였으며, 표면조도는 $0.27{\mu}m$에서 $0.12{\mu}m$로 감소하였다. 이형제의 함량을 1.8 wt%에서 3.6 wt%로 증가시켰을 경우에는 이형제가 주로 표면에 존재하고 표면조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수축제의 함량을 5.0 wt%에서 9.0 wt%로 증가시킴에 따라 굴곡탄성율과 충격강도가 약 30% 감소하였다.

타이타니아 나노막대가 포함된 블록 공중합체 박막 표면의 전기장하에서의 불안정성 거동 연구 (Electrohydrodynamic Instability at Surface of Block Copolymer/Titania Nanorods Thin Film)

  • 배준원
    • 공업화학
    • /
    • 제27권2호
    • /
    • pp.205-209
    • /
    • 2016
  • 특정 온도(대부분의 고분자의 경우는 유리 전이 온도) 이상에서 균일한 전기장 내부에 존재하는 고분자 박막의 표면에는 전기장에 의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표면은 항상 불안정성을 나타낸다. 즉, 고분자 박막의 표면에 전기장을 가하면 표면이 울퉁불퉁한 형태를 띄고, 이 정도가 심해져서 막대 형태로 성장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타이타니아 나노막대를 포함한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표면에 나타나는 전기장에 의한 불안정성 형태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평균 직경 10 nm를 갖는 30 nm 길이의 타이타니아 나노막대를 제조한 뒤, 블록 공중합체(폴리스티렌-폴리(2-비닐피리딘))와 혼합한 뒤에 스핀코팅을 통해서 박막을 형성시킨다. 이 박막을 균일한 전기장 속에 넣고 공중합 고분자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에서 일정 시간 동안 유지시킨 뒤 다양한 방법으로 관찰한다. 타이타니아 나노막대의 높은 유전상수는 필름 전체의 유전상수를 증가시켜 표면 불안정성 패턴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박막의 내부에서는 타이타니아 나노막대의 엔트로피적인 이동 현상은 고찰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향후 나노입자를 적용한 박막의 전기장하에서 표면 불안정성 패턴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