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면 착색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5초

수종의 복합 레진의 표면 거칠기와 색 안정성 (Surface roughness and color stability of various composite resins)

  • 이성이;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6호
    • /
    • pp.542-54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네 종류의 복합레진의 연마 후의 표면 거칠기에 있어서의 차이와 염색액에 담근 후 색 안정성에 있어서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필러 크기와 함량이 다른(나노입자형, 혼합형, 미세입자형, 흐름성) 네 종류의 광중합 복합레진(색상 A2)을 사용하였다. 산화 알루미늄 마모 디스크(Super-Snap)로 연마하기 전과 후에 평균 표면 거칠기(Ra)를 표면 조도 측정기 (Surftest Formtracer)로 측정하였다. 2% 메틸렌 블루 용액으로 착색하기 전과 후 표본의 색은 SCI geometry를 이용해 spectrophotometer(CM-3700d)로 측정되었다. 표면 거칠기와 색 변화 값은 one-way ANOVA, Scheffe multiple comparison test와 Student t-test로 분석되었다. 연마 후, 표면 거칠기 값은 복합레진의 종류에 관계없이 감소하였다. 연마 후 표면 거칠기와 착색 후 색 안정성에 있어서, 나노입자형 복합레진이 흐름성 레진을 제외한 다른 복합레진들과 유사하였다.

PCB 기판용 FRP 재료의 열화특성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RP material for using as a PCB substrate)

  • 박종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12호
    • /
    • pp.1-6
    • /
    • 2004
  • 본 연구는 PCB 기판용 FRP 재료의 열화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열 및 방전에 의한 열화를 각각 모의하여 표면에서의 화학적, 정전적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열 처리에 따른 시료의 특성변화는 $200^{\circ}C$ 까지는 표면의 소수화로 인하여 접촉각 및 표면전위가 증가하였다. XPS에 의한 분석결과 열처리에 따라 표면측쇄상 산소기의 이탈과 탄소쇄의 불포화 이중결합의 증가로 처리시료에서는 소수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열처리로 인해 착색현상이 발생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ether기에 의해 발생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방전 처리된 시료의 접촉각 및 표면전위는 표면에 카르복실기 라디칼을 포함하는 다량의 측쇄화가 집중적으로 발생되어 처리시간에 따라 급격한 친수화가 진행되었다.

시판중인 구강양치용액의 법랑질 표면의 착색과 침식에 미치는 영향 (Erosive Effect and Color of Mouthrinsing Solutions on Enamel Surface)

  • 정경이;이혜진;박영남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97-404
    • /
    • 2011
  • 최근 구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시판되고 있는 구강양치용액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고 휴대가 간편하여 쉬운 사용방법으로 활용이 급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구강양치용액의 pH를 측정하여 고유 산도가 법랑질 표면의 색조변화, 미세경도, 미세구조 변화, 거칠기 측정 등에 관한 실험방법을 통하여 구강양치용액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1. 색조변화는 Nextcare와 Listerine에서 light-dark를 나타내는 $L^*$값은 0에 가깝게 어두워졌으며 yellow-blue를 나타내는 $b^*$값은 초기값과 비교하여 채도가 낮아졌다. 특히 Listerine에서 ${\Delta}L^*$, ${\Delta}b^*$ 각각 -6.70, -7.20으로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2. 표면경도 측정에서는 Nextcare와 Listerine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또한 표면의 형상과 거칠기에서도 Nextcare와 Listerine에서 다른 실험군과 비교하여 법랑질 표면의 붕괴 및 침식양상과 함께 거칠기가 매우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시판 중인 구강양치용액의 pH를 측정하여 고유 산도가 치아 경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산성의 pH를 가진 구강양치용액을 장기간 사용시 치면 착색 및 법랑질 표면의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사용법을 숙지하여 단기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사료된다.

Ethyl oleate 처리에 의한 'Merlot' 포도 과피의 안토시아닌 함량과 해부학적 변화 (Anatomical Changes and Anthocyanin Contents of the Exocarp by Ethyl Oleate Treatment on 'Merlot' Grapes)

  • 이별하나;권용희;신경희;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370-373
    • /
    • 2010
  • 'Merlot' 포도 품종의 수확전 ethyl oleate 처리는 외표피와 아표피의 두께를 감소시키며 착색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무처리구의 과피 두께는 $126-189{\mu}m$인데 반하여 처리 과실의 과피두께는 $90-107{\mu}m$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외표피와 아표피 층의 두께 감소는 처리 후 외표피와 아표피를 구성하는 세포의 빠른 노화에 의하여 세포가 죽거나 탈수가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처리 후에 빠르게 과피 표면의 왁스층이 녹은 듯한 형태를 보이며 이는 착색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전체적인 안토시아닌 함량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각각의 안토시아닌 함량에 있어서는 메톡시기와 결합하거나 유기산과 결합한 안토시아닌이 증가한 반면 수산기와 결합한 안토시아닌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Zn-Ti계용융아연 도금강판의 착색화 특성 (Charactristice of a colored Galvanized Coating using Ti-Zn Alloy System)

  • 전선호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20-332
    • /
    • 1997
  • The development of colored surface on zinc coating by the oxidation of a melten alloy of zinc with a minor amount of oxygen-avid additive such as tianium has been studied. Using a galvanizing Zinc alloy containing 0.1 to 0.3wt%Ti, gold, purple or blue color was developed clearly and stably, depending upon the extent of oxidation, by air cooling after hot dipping in a bath at temperature of $550^{\circ}C$ to $600^{\circ}C$. The source of the color is light interference with surface oxide layer. THe final color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he color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iO_2$, played So compositing, temperature and time at elevated temperature after are all controlling variables. Since oxidation film such as $TiO_2$ played role of passivation film, the corrosion resistance in a colored galvanized steel sheet. It is also thought that surface oxide layer of $TiO_2$ inhibited dissolution of the coating layer.

  • PDF

304스테인리스강 스크린의 광 반사율 감소를 위한 착색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ing of 304 Stainless Steel Screen for Reducing Light Reflectivity)

  • 김기호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87-193
    • /
    • 2010
  • The colored films formed on 304 stainless steel plates by immersion treatment and electrochemical one in a solution containing sulphuric acids and chromic acids were studied by SEM, AES, and spectrophotometer.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by 20 minutes treatment were about 200 nm and it became thinner as the treatment times were increased. The surface texture showed a tortuous network of interlinking pathways. The color of the 304 steel surface changed from metallic white to gray, black, red, yellow-green, and green-blue, gradually, by the treatment time was increased. The reflectivity measured by UV-VIS-NIR spectrophotometer was reduced from max. 38% of basis metal to min. 3.5% of colored surface.

알루미늄 양극산화 피막의 전해착색에 관한 연구 (Electrocoloring during Anodic Oxidation of 6063 Aluminium Alloy)

  • 정순오;한성호;백영현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09-318
    • /
    • 2000
  • The 6063 Aluminium alloy were electrocolored and anodiz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of $CoSO_4$, $FeSO_4$, in the electrolyte and investigated by AES/SAM. It was found that the thickness of anodic oxide film is increased linearly in DC type, and DC combined AC type, the more ratio of anodic Portion in AC, the more increased of anodic film thickness. The color of anodic film was changed from silver to yellow when the increase of the ratio of cathodic portion in AC. Also the increase of $CoSO_4$, $FeSO_4$ in the electrolyte, the coloring time is decreased. From the AES/SAM results, the element of anodic oxide film are Al,O and S. The result of depth profile, the most of the S distributed on the surface and the more S is in DC combined AC type than only DC type.

  • PDF

써클콘택트렌즈가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ircle Contact Lens on the Stability of Tear Film)

  • 이세희;형성민;고승환;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5-131
    • /
    • 201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써클콘택트렌즈의 착색이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눈물량이 정상인 20대 54안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착용 전후의 비침입성 눈물막파괴시간 및 눈물막 깨짐이 시작되는 부위를 측정하였으며, 콘택트렌즈 전후면의 표면 거칠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콘택트렌즈는 hilafilcon B재질의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polymacon 재질 및 HEMA NVP 공중합 재질의 써클콘택트렌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콘택트렌즈 착용 시 나안에 비해 눈물막파괴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써클콘택트렌즈 간에 눈물막파괴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의 상방부 보다는 하방부에서, 코방향 보다는 귀방향에서 좀 더 높은 빈도로 눈물막이 깨지기 시작하였으나 렌즈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Hilafilcon B 투명렌즈에 비해 동일 재질 써클콘택트렌즈 주변부(착색부분)에서의 눈물막 깨짐이 더 많았다. 결론: 써클콘택트렌즈의 착용으로 인해 눈물막 안정성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착색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해결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표면 상태와 용액에 따른 치과용 수복재료의 색안정도 평가 (Evaluation of Surface Condition and Food Solution on the Color Stability of Dental Restoration Materials)

  • 우희선;김효진;전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59-367
    • /
    • 2019
  • 본 연구는 치과용 수복재료의 연마유무에 따라 여러 가지 착색용액에서 색의 안정성을 보기 위해 유동성 레진, 하이브리드 레진, 컴포머, 레진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치과용 수복재료인 컴포짓트 레진을 테플론 몰드로 직경10 mm, 두께 2 mm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은 연마지를 이용하여 20초간 연마하였고, 다른 한 군은 연마하지 않고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기간과 재료별 착색시료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간장과 고추장에서는 레진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Fuji II LC와 하이브리드 레진 중 Prodigy에서 2일째 수용도 역치 이상의 색 변화가 나타났으며, 연마지를 사용한 군에서는 간장용액에서는 레진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Fuji II LC가 2일째에 색변화가 있었으며, 고추장용액에서는 유동성레진과 하이브리드 레진 중 Prodigy에서 7일째 색변화가 나타났다. 와인용액에서는 컴포머와 하이브리드 레진 중 Prodigy에서 2일째 색 변화가 나타났으며, 연마지를 사용한 군에서는 컴포머에서 2일째 수용도 역치 이상의 색 변화를 볼 수 있었다. 향후 레진 표면의 활택도에 따라 착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향후 다양한 연마방법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안경 렌즈의 국소적 투과율 균일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Local Transmittance Homogeneity of the Ocular Lens)

  • 박상국;이형철;장윤석;성덕용;강성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1-476
    • /
    • 2015
  • 목적: 다양한 안경렌즈의 투과율 분포를 국소 투과율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렌즈의 광학적 균일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안경렌즈 표면에 집광된 레이저의 국소적 투과율을 광검출기, 락인앰프 그리고 전동이송장치로 측정하였다. 5종 25장의 멀티코팅된 무착색렌즈와 9종 45장의 멀티코팅된 착색렌즈가 시료로서 분석되었다. 결과: 굴절률과 코팅 종류에 따른 무착색렌즈의 투과율과 렌즈별 투과율 편차는 거의 균일하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착색렌즈의 경우 렌즈별 투과율 편차가 무착색렌즈에 비해 약 3.7배 크게 측정되었다. 또한 렌즈의 국소적 투과율 불균일도도 무착색렌즈에 비해 착색렌즈가 평균 약 3.1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무착색렌즈에 비해 착색렌즈가 렌즈별 투과율의 편차와 투과율 불균일도가 모두 큰 것을 국소 투과율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국소 투과율 현미경을 통한 이러한 분석은 렌즈의 성능 평가와 광학적 균일성 향상에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