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면 장력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26초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유도체합성 및 계면성에 관한 연구(제5보) - 이미다졸린으로부터 유도된 유도체의 기초적 물성 - (Syntheses and Surface Active Properties of Amphoteric Surfactant Derivatives(5) - Basic Properties of Derivatives from Imidazoline)

  • 노윤찬;김태영;정진기;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7권2호
    • /
    • pp.215-220
    • /
    • 1996
  • 1-(2-hydroxyethyl)-2-undecyl-2-imidazoline로부터 유도된 9종의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표면장력과 등전점을 일정농도의 수용액에서 비교 검토하였고, 표면장력법에 의하여 cmc를 추정하였다. 카르복시화 아미드류의 표면장력은 $4.0{\times}10^{-4}{\sim}1.0{\times}10^{-3}mol/{\ell}$ 농도범위에서 26~40dyne/cm, 술폰화 또는 황산화 이미다졸린류는 $1.5{\times}10^{-3}{\sim}2.5{\times}10^{-3}mol/{\ell}$ 농도범위에서 30~35dyne/cm, 술폰화 아미드류는 $5.8{\times}10^{-4}{\sim}8.0{\times}10^{-4}mol/{\ell}$ 농도범위에서 25~33dyne/cm이었다. 또한 등전점의 pH 범위는 카르복시화 아미드류는 pH 7.2~7.9, 술폰화 또는 황산화 이미다졸린류와 술폰화 아미드류는 pH 4.5~5.5이었다.

  • PDF

폴리머와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젤타입 제형의 제조 (Gel Type Formulation Utilizing Polymer-Surfactant Interaction)

  • 김동주;강태준;이천구;이정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0
    • /
    • 2007
  • 수용성 폴리머와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을 레올로지와 표면 장력을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폴리머는 acrylates/$C_{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AC),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AV)이다. 계면활성제는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HC), polysorbate 60 (P60)이다. HC와 P60은 AC 폴리머 주위에서 마이셀을 형성하여 점도를 증가하였다. 그러나, HC는 P60보다 보다 높은 농도 범위에서 점도 증가 거동을 보였다. 같은 농도 범위에서 계면활성제들의 표면장력을 비교해보면, 표면장력이 AC/HC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한 반면, AC/P60의 농도증가에 대해서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AC/HC 사이의 마이셀이 강하게 조직화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Bacillus subtilis JK-1의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배양 특성 (Characteristics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Crude Biosurfactant by Bacillus subtilis JK-1)

  • 김지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153-15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subtilis JK-1의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배양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배양 온도와 배지의 pH, NaCl 농도에 따른 균주의 생장과 배양액의 pH, crude 생물계면활성제의 표면장력을 배양 시간대별로 측정하였다. B. subtilis JK-1은 $15-45^{\circ}C$와 pH 6-10, 0-10% (w/v) NaCl 농도의 환경에서 생장과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배양액의 pH는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으로 점차 변화 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은 pH 7.0의 초기 배지에서 $35^{\circ}C$, 48시간 동안 배양했을 때 최대였으며, 이 때의 표면장력은 24.0mN/m이었다. 그리고 배지 내 NaCl 농도가 0% (w/v)에서 10% (w/v)로 증가할수록 균주 생육도는 감소하였고, 최종 배양액의 pH는 약알칼리성에서 산성으로 변화하였으며, 표면장력 값은 증가하였다.

電解質溶液의 粘度係數의 測定과 濃度關係에 對한 考察 (A Study of the Viscosity of Some Electrolytic Solutions and Its Concentration Function)

  • 사공열;황정의
    • 대한화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4
    • /
    • 1964
  • 전해질용액의 점도가 농도의 양수임은 기지의 사실이나 전농도에 걸쳐 잘 맞는 관계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표면장력 역시 이러한 관계가 있으나 완전한 식은 없으며 이들은 모두 용액내의 이온의 상태에 기인하므로 표면장력과 덤도간에도 일정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순수한 물질에 대한 관계식은 Silverman1)이 Batchinski식 과 MacLeod 식에서 ${\gamma}^{\frac{1}{4}}=\;A/{\eta}$ + B 식을 유도하여 실험오차 범위안에서 일치된다고 했으나 아직 $Jones^{(4)}$들이 측정한 몇가지 염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염용액의 점도나 표면장력의 정밀한 값은 측정되지 않았음으로 우선 여기서는 몇가기 염용액의 점도를 측정하였고 또 점도계수와 농도관계를 고찰하였다.

  • PDF

Flow-3d를 이용한 표면장력 탱크용 메시 스크린 모델링 (Modeling of Mesh Screen for Use in Surface Tension Tank Using Flow-3d Software)

  • 김현탁;임상혁;윤호성;박정배;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84-990
    • /
    • 2017
  • 상용 CFD 프로그램 Flow-3d를 활용하여, 표면 장력 탱크 적용을 위한 메시 스크린의 모델링 및 추진제 배출 해석을 수행하였다. Flow-3d 내 거시적 다공성 매체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350{\times}2600$, $400{\times}3000$, $510{\times}3600$ DTW 메시 스크린에 대한 공극률, 모세관압, 항력계수를 스크린 모델에 대입 후, 기포점 측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였으며, 메시 스크린 모델링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스크린 모델을 포함한 PMD 구조체에 대한 추진제 배출 해석을 수행하였다. 추진제는 액상의 NTO를 가정하였으며, $3{\times}10^{-3}g$ 가속 조건에서 초기 유량을 만족하도록 void를 유입시켰다. 메시 스크린을 통한 차압은 초기 약 270 Pa에서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스크린 모델의 예상 기포점과 유사한 630 Pa에 이르기까지 액상 추진제 배출을 지속하였다.

  • PDF

전단유동에서 온도, 전단속도, 계면장력 변화에 따른 에멀전의 유변학적 특성 (Relative Viscosity of Emulsions in Simple Shear Flow: Temperature, Shear Rate, and Interfacial Tension Dependence)

  • 최세빈;이준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8호
    • /
    • pp.677-682
    • /
    • 2015
  • 격자 볼츠만 기법(Lattice Boltzmann method)을 사용하여 에멀전의 유변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간단한 전단 유동하에서 온도와 전단속도, 계면장력에 변화를 주어 에멀전(decane-in-water)의 상대점도를 계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에멀전의 상대점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전단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전단박하(Shear thinning) 현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크로스 모델(Cross model)을 통해 검증하였고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계면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Surfactant)를 통해 제어되는 계면장력이 증가할수록 상대점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큰 계면장력에서는 기름방울의 변형이 억제되고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기름방울의 표면적이 감소하면서 나타난다고 해석할 수 있다.

Rhodotorula glutinis K-501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지질의 생체계면활성제로서 물리화학적 특성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Extracellular Lipid Produced by Rhodotorula glutinis K-501 as a Biosurfactant)

  • 박평규;채희정;김의용
    • KSBB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65-70
    • /
    • 1998
  • 지질 생산 효모인 Rhodotorula glutinis K -501이 생산하는 세포외지질(extracellular lipid)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여 생체 계면활성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실험 결과 생산된 세포외지질은 당지질계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세포외지질의 임계미셀농도와 표면장력은 각각 89mg/L와 31dyne/cm로서 계면활성제로서 매우 우수한 표면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넓은 범위의 pH에서 표면장력의 값은 일정하였다. 상용 계면활성제인 Tween 80과 Triton X-100에 비하여 세포외지질은 각각2-3배 높은 유화도와 1.3배 높은 분산력을 가지고 있었다.

  • PDF

폴리머 장주기 패턴을 이용한 표면 식각된 격자 구조 기반의 장주기 광섬유 격자 (Long-Period Fiber Gratings Based on Periodically Surface-Etched Structure Imprinted by Using a Photoresist Polymer)

  • 박상오;권오장;한영근
    • 한국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PR 폴리머 장주기 패턴을 이용하여 표면 식각된 격자 구조 기반 장주기 광섬유 격자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 외부 장력 및 비틀림, 그리고 외부 굴절률에 대한 민감도를 측정하였다. 외부 장력을 인가함에 따라 특정파장에서 광결합 계수 변화에 의한 공진파장이 형성되고 투과도가 감소하게 된다. 손실이 생기게 되고 민감도는 $-0.033\;dB/\mu\varepsilon$로 측정되었다. 비틀림과 외부 굴절률에 변화에 대해서도 표면 식각된 격자 구조 기반 장주기 광섬유 격자의 투과 특성이 변하며 민감도는 각각 -1.30 nm m/rad, -31.33 nm/RIU로 측정되었다.

모노스테아르산설탕의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of Sucrose Monostearate)

  • 노장숙;이광순;장세희;안운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54-357
    • /
    • 1974
  • 모노스테아르산설탕의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CMC)를 $20^{\circ}C$$40^{\circ}C$사이의 여러 온도에서 측정하였고 이어서 디에스테르가 첨가 되었을 때의 CMC를 측정하였다. 디에스테르가 포함된 모노에스테르의 용액에서는 용액의 표면장력이 약 40dyne $cm^{-1}$가 될 때 표면장력 대 농도 곡선이 불연속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와의 회합체가 이 영역에서 표면배열을 갑자기 바꾸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PDF

RGP lens 다목적 용액의 습윤성에 관한 비교 연구

  • 박현주;김재민;이기영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428-433
    • /
    • 2003
  • 소수성인 RGP lens의 관리용액인 6개사의 다목적용액(multipurpose solution, MPS)의 습윤성 접촉각과 표면장력, 점도를 측정하여 비교해 보았다. 결과는 RGP 렌즈를 8시간 MPS에 담근 후 인공누액을 떨어뜨려 측정한 접촉각은 $25^{\circ}-36^{\circ}$의 범위로 렌즈와 MPS는 비교적 우수한 습윤성을 보여주었으며, 표면 장력은 19.8-31.3 mN/m의 값이 얻어졌다. 각각의 다목적용액에 렌즈를 홀더에 얹은 상태로 계면과 렌즈가 분리될 때의 표면장력을 측정하였을 때는 26.5-33.5 mN/m의 값이 측정되었다. 점도는 4^{\circ}C$28^{\circ}C$에서 측정했으며 측정온도에 따라 온도가 낮을수록 높게 측정되었고, MPS의 온도 28^{\circ}C$에서 점도는 9.5-65.5 cps를, 4^{\circ}C$에서는 6.5-13.7 cps의 값을 보였다. RGP lens MpS는 soft lens MPS에 비해 접촉각과 표면장력은 낮고, 점도는 높아서 습윤성이 더 우수하였고 제조회사에 따라 습윤성의 차이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