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면 근전도 검사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9초

노인의 삼킴 단계별 삼킴 기능 평가를 위한 표면 근전도 검사의 융합적 연구 : 체계적 문헌고찰 (A Convergence Study of Surface Electromyography in Swallowing Stages for Swallowing Function Evaluation in Older Adults: Systematic Review)

  • 박선하;배수영;김정은;박혜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9-1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노인의 삼킴 단계별 삼킴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적용한 방법을 분석하여, 임상에서 노인의 삼킴 단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2011 ~ 2021년까지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WoS)를 활용하여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7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노인과 성인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서 분석하거나 노인만을 대상으로 삼킴단계를 표면근전도검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강단계와 인두단계의 삼킴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표면 근전도 부착 부위는 각 단계별 관여하는 삼킴 근육에 부착하였다. 수집된 근전도 데이터는 대역통과필터와 노치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되었고, 제곱평균제곱근, 진폭, 최대자발적 수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 근전도 검사가 단계별 삼킴 기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단계별 삼킴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융합한 다양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측두근의 근막동통 발통점의 표면 근전도 특성: 증례 보고 (Surface Electromyographic Characteristics of a Myofascial Trigger Point of the Temporalis Muscle: A Case Report)

  • 임영관;백혜성;이금숙;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3호
    • /
    • pp.261-266
    • /
    • 2013
  • 근막동통은 국소적인 통증과 촉진시 근 압통을 보이면서 근막 발통점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근육질환이다. 본 증례에서는 야간 이갈이를 호소하는 환자의 임상검사에서 촉진을 통해 측두근 전방 부위의 잠재성 발통점을 확인하였고, 양측의 측두근과 교근에 대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시행한 결과, 이환된 측두근에서 수축 후 근과민성, 이완 지연 및 근피로 가속과 같은 소견을 얻을 수 있었다. 표면근전도 검사는 저작근의 비정상적인 기능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근육성 측두하악장애의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안면 비대칭 환자의 수직 안모 유형과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계측치 및 표면 근전도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facial biotype, submentovertex cephalometric measurements and surface EMG activity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 김성수;이남기;차봉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8-227
    • /
    • 2006
  • 안면 비대칭 환자의 진단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과 표면 근전도 검사 자료는 통용화된 진단분석법 부재 등의 이유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타 진단분석법과 비교할 때, 수직 안모 유형의 평가 등 차별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60명을 대상으로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및 저작근의 표면 근전도를 측정하여 수직 안모 유형과의 연관성 및 안면 비대칭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함이다.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계측치 중 radiographic corpus length는 비편위측이 큰 값을 보였고 (p<0.001), 유의성은 없었으나 gonion to interspinosum axis는 편위측이 크고, gonion과 하악과두의 위치는 비편위측이 편위측에 비해 전방에 위치하였다 (p=0.07). 안정시 편위측 전측 두근의 근활성은 비편위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또한 최대 폐구 시 교근의 활성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비편위측에 비해 편위측이 큰 값을 보였다 (p<0.09). Facial index와 intercondylar axes angle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 최대 폐구 시 편위측 및 비편위측의 교근의 활성은 facial index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골격성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환자에서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과 표면 근전도 검사를 통해 비대칭 양상의 평가와 더불어 수직 안모 유형의 평가 또한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상후두운동과 경부외후두근의 근전도검사에 관한 연구

  • 안철민;장훈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7년도 제8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65-265
    • /
    • 1997
  • 음성이란 성대내근과 성대외근의 운동에 의해 진성대에서 규칙적이고 조화로운 진동이 이루어져 나타나는 것으로, 이러한 운동 등에 이상이 생기거나 진성대에 기질적인 변화가 왔을 때 음성이 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환자들의 진단을 위하여 후두소견을 관찰해 보면 진성대 뿐만 아니라, 상후두에서도 여러 가지 양상의 다른 움직임을 확인할 수가 있는데, 상후두는 진성대와는 달리 특별한 자체를 움직일 만한 근육들이 발달되어 있지 않은 구조물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다른 발성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것들은 진성대와 연결되어 있는 성대내근이나 후두의 외부에 붙어있는 성대외근의 영향에 의해 나타날 수가 있다고 생각이 되고, 이러한 것들은 일차적으로 또는 이차적으로 성대의 진동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발성시 상후두의 움직임과 성대외근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후두의 움직임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들도록 훈련한 후 스트로보스 3102;을 이용하여 상후두의 움직임을 확인하면서, 각각의 경우에 따라 근육의 수축정도를 비교할 수 있고 비침습적인 표면전극을 이용한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이들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다.

  • PDF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협응적 이동훈련 프로그램이 비만 여성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Program for Life-Care Promotion on Balance of Obese Elderly Women)

  • 이동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7-25
    • /
    • 2020
  • 본 연구는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협응적 이동훈련 프로그램이 비만 여성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비만 여성노인 10명으로, 최근 1년 이내 허리나 엉덩관절 및 무릎관절 수술경험이 없고 독립보행이 가능한 자로 선정하였다. 협응적 이동훈련을 일일30분씩 2회, 주5회, 4주간 총 20회 실시하였다. 협응적 이동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바디 BMI검사, myoVIDEO를 이용한 관절가동범위검사, 표면근전도 검사(척추세움근, 배바깥빗근, 넙다리네갈래근, 넙다리뒤근육), 힘판 트레드밀을 통한 동적 균형검사, 버그 균형 척도(BBS)와 일어서서 걷기 검사(TUG)를 중재전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보행 시 디딤기 및 흔듦기 시기에 몸통과 엉덩관절의 관절가동범위 전-후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표면근전도를 통한 근 활성도검사에서는 척추세움근과 배바깥빗근의 중재 전-후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보행 시 동적균형검사에서는 보행선길이와 한발지지선의 중재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버그 균형 척도(BBS)와 일어서서 걷기검사(TUG)에서도 중재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본 연구결과를 통해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협응적 이동훈련 프로그램이 비만 여성노인의 자세불안정과 근 약화, 균형능력감소 및 낙상위험도를 개선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만 여성노인의 균형능력 개선 및 낙상방지를 통한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해 이동적 협응훈련 프로그램 적용을 권장한다.

경추 회전제한 검사 결과에 따른 근전도 신호 변화: 증례보고 (Study on the EMG Signal Changes Depending on the Results of Restricted Cervical Rotation Test: Case Series Report)

  • 최광호;이소민;정의민;권오상;이영준;정지연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
    • /
    • 2016
  • FCST의 턱관절 불균형 진단은 검사자 및 환자의 주관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객관적인 진단 방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FCST 진단 방법 중 경추회전제한 검사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 방법으로 표면 근전도 측정이 가능성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 PDF

안면마비 환자에서 표면 근전도 검사와 통상적 근전도 검사간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Conventional Electromyography in Facial Nerve Palsy)

  • 장하늘;유승돈;이종하;소윤수;김동환;전진만;이승아;김희상;윤동환;권정호
    •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4-90
    • /
    • 2018
  • Objective: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and conventional EMG in patients with facial nerve palsy. Additionally, compare the discomfort and the time required by the patients in two methods. Method: 36 patients with facial palsy were given nerve conduction studies (NCS) via conventional EMG. Then, the peak root mean square (RMS) values were obtained from the SEMG. We also recorded visual analogue scale (VAS), House-Brackmann scale,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examination. Resul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amplitude loss ratio of the RMS values obtained by SEMG compared to the unaffected side (RSEMG) and the amplitude loss ratio of CMAP amplitudes compared to the unaffected side (RCMAP) was 0.567 at the frontalis, 0.456 at the orbicularis oculi, 0.393 at the nasalis, and 0.437 at the orbicularis oris. An increase in RSEMG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 increase in RCMAP. The mean VAS score with conventional EMG was $3.55{\pm}1.42$, whereas that experienced when using SEMG was $0.11{\pm}0.52$ and the mean time required for conventional EMG was $610{\pm}103.84$ seconds, while that required for SEMG was $420{\pm}86.32$ second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cial muscle activities as measured by SEMG and conventional EMG in patients with facial nerve palsy. SEMG has the benefits of being more comfortable and faster when diagnosing facial palsy.

Backward Sway 동안의 자세움직임 형태에 대한 근전도와 생체역학적 분석 (Electromyographic and Biomechanical Analysis of Postural Movement Patterns During the Backward Sway)

  • 류승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8
    • /
    • 1995
  • 이 논문의 주목적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각기 다른 3가지의 (체중의 1.5 %, 3.0 %, 9.0 %) 부하를 통해서 자세의 불균형을 유발시켰을 때 나타나는 postural movement patterns을 기술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의 허리중심에 체중부하를 주어 균형이 뒤로 이동하게 하여, surface EMG(표면 근전도)를 통하여 Tibialis anterior(Ta), Gastrocnernius(Gc), Quadriceps femoris(Qc), Hamstring(Ha), Rectus abdominalis(Ab)와 Paraspinalis(Pa) 근육들의 motor recruitment pattern(운동회집형태)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비디오 촬영은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의 움직임을 보기 위해 사용하였다. 특히 근전도 (EMG)는 자세반응 검사에 있어 첫 근반응(근수축) 경과시간(FR)과 분절간격간의 (ID)시간을 조사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4가지 중요한 사실을 전해주고 있다. 첫 번째로서, 연구대상자에게 체중의 1.5 %의 부하를 적용하였을 때 Ta가 가장 먼저 수축을 시작하였고(FR:$88{\pm}19.4$ ms) 발목과 대퇴사이의 분절 간격간(ID)의 평균은 +9.3 ms였다. 또한 족관절의 변화가 가장 뚜렷하여 Nashner(1985)의 족기전을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로는 연구대상자에게 체중의 3.0 %의 부하를 주었을 때 Qc와 Ab근육이 원위부에서 근위부 순서로 수축하였고, 첫 번째 근육수축시간은 ($82{\pm}39.2$ ms)였다. 그리고 이때 분절간격의 평균은 +8.3ms 이였고 Ta는 거의 반응하지 않았다. 족관절과 슬관절에 비해 고관절의 변화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났고, 이 또한 Nashner의 고관절 기전과 같은 현상을 보였다. 셋째로 연구 대상자에게 체중의 9.0 % 부하를 허리에 적용하였을 때 근수축은 근위부에서 원위부 순서를 이루어졌다. 즉 Ab,Qc, Ta, Ps순으로 근수축 되었다. Ab가 처음으로 수축하여 첫 반응(FR)은 $73{\pm}3.2$ ms 이였고 슬관절과 고관절의 변화가 가장 뚜렷하였다. 넷째로 연구 대상자에게 체중의 9.0 %부하를 적용하였을 때, 균형을 잡기 위해 뒷걸음치는 것이 관찰되었고 이때 근수축 순서는 Ta,Ab.Ps,Qc,Hs였다. 이 결과는 Nasher의 결과와 불일치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연구대상자의 자세운동형태(postural movement patterns)는 각기 다른 부하 정도와 시간에 따라 합성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여졌다. 특히, 자세운동형태는 부하의 적용위치와 연구대상자의 최근의 경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자세운동형태는 중앙신경계의 제한적(한정적) 명령 시스템에 의해서 움직임(movement)이 발생하기 전에 조직된다는 Nashner의 가설을 뒷받침하였다.

  • PDF

휴대용 요역동학 검사 시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복압측정 방법 (A Non-invasive Measurement of Abdominal Pressure on Ambulatory Urodynamics Study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 김거식;송철규;서정환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5권6호
    • /
    • pp.132-140
    • /
    • 2008
  • 복압 측정을 위한 기존의 카데터 방법은 배뇨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많은 오차를 유발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복압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직장 카테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복압과 복압측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정된 복압 간의 상관계수는 $0.79{\pm}0.06$이었으며, 두 신호간의 오차는 $0.10{\pm}0.07$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복압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휴대용 요역동학 검사 시 편리하게 간접적으로 복압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표면근전도 신호의 정상성 검사를 위한 Run-검증과 RA-검증의 정확도 분석 (An Accuracy Analysis of Run-test and RA(Reverse Arrangement)-test for Assessing Surface EMG Signal Stationarity)

  • 이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2호
    • /
    • pp.291-296
    • /
    • 2014
  • Most of the statistical signal analysis processed in the time domain and the frequency domain a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ignal is weakly stationary(wide sense stationa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now whether the surface EMG signals processed in the statistical basis satisfy the condition of weak stationa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uracy of the Run-test, modified Run-test, RA(reverse arrangement)-test, and modified RA-test for assessing surface EMG signal stationarity. Six stationary and three non-stationary signals were simulated by using sine wave, AR(autoregressive) modeling, and real surface EMG. The simulated signals were tested for stationarity using nine different methods of Run-test and RA-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ified Run-test method2 (mRT2) classified exactly the surface EMG signals by stationarity with 100% accuracy.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mRT2 may be the best way for assessing stationarity in surface EMG sig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