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폼알데히드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기능성 석고보드의 폼알데히드(HCHO) 저감성능 평가를 위한 실물시험(Mock up test)연구 (A Study on the Mock up Test for Reduction of HCHO Using the Functional Gypsum Board)

  • 김혜정;송규동;이윤규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0권12호
    • /
    • pp.814-81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ing the building materials for creation the comfortable IAQ. By reducing formaldehyde(HCHO) known as the main factors of Sick House Syndrome. This material must be revealed the physical and eco-friendly performance, so this study set up the basic standards for building materials. The source of physical performance evaluation is Korea Industrial Standards and the base of environmental ability is the Eco Label considering certificated system related to an apartment house. Because the developed material was satisfied with the established standards, it was tested in mock-up room for obtaining the real date from indoor air. The mock-up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environmental standard method for indoor air Quality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unctional building materials had a effect to reduce the formaldehyde concentration for a initial period without wall paper, so additional development is needed for application with the wall paper and the available period.

국내 정수장 먹는 물 중 폼알데히드 함유실태 조사 및 위해성 평가 연구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of formaldehyde in water from water purification plant in korea)

  • 채효진;김현구;김승기;표희수;홍종기
    • 분석과학
    • /
    • 제22권5호
    • /
    • pp.386-394
    • /
    • 2009
  • 폼알데히드는 피혁 제조나 사진 건판, 폭약 등을 만들 때 이용되며, 정수장에서 오존 처리시 생성되는 소독 부산물이기도 하다. 노출시 안구 가려움증, 간지러움, 콧물, 코막힘,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목이 건조해지거나 염증이 유발된다. 폼알데히드는 US. EPA에서 호흡으로 흡입할 경우 발암등급 B1으로 분류하는 발암성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폼알데히드의 분석을 위해 2,4-dinitrophenylhydrazine (DNPH) 유도체를 만든 후, 고체상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추출하였고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Diode Array Detector (HPLC/DAD) 로 분석하였다. 검출 한계는 $3{\mu}g/L$이고, 72.3~109.1% (상대표준편차 2.9~11.5%)의 회수율을 보였다. 1998년도부터 2007년도까지 4대강 수계를 중심으로 채수하여 분석한 결과, 정수에서 검출 빈도 48.8% (630/1291), $5.15{\sim}101.9{\mu}g/L$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먹는물 음용시 비발암성을 고려한 95 percentile 전국 평균 위험지수는 $4.37{\times}10^{-3}$로, 이는 1 이하였으므로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하였다.

가시광촉매가 처리된 자동차 내장재의 VOC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alysis Method for Visible Light-Responsive Photocatalyst Treated Vehicle Interior Materials)

  • 최세영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3호
    • /
    • pp.221-224
    • /
    • 2013
  • 가시광촉매가 처리된 자동차내장재의 VOC 분석방법에 있어서 샘플백에 충진하는 질소 대신 공기를 충진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자동차내장재의 VOC 분석시 질소를 충진한 샘플백은 VOCs 및 폼알데히드의 저감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질소대신 공기를 충진한 샘플백에서는 VOCs 및 폼알데히드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자동차 내장재의 VOCs 분석시 샘플백에 질소 대신 공기를 충진하여야 가시광촉매에 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세 다공질 광물과 아미드계 분해제의 적용을 통한 건축자재의 습도 조절과 폼알데히드 분해 성능 특성 평가 (Micro Porous Clay Mineral Absorption / Desorption Moisture-Proof Performance of The Atmospheric Humidity and Decomposing The Polyamide Adsorption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of Formaldehyde)

  • 이제철;김윤환;윤승희
    • KIEAE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105-109
    • /
    • 2014
  • The recent rising living standards, environment-friendly, well-being and health aspects of life in the basic gratification, as well as the desire for a pleasant environment emotionally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of external space or industrial interest in the indoor environment, the manifestation. In particular, the biggest problem of the indoor environment has been emerged as a Sick House Syndrome indoor space that is provided to the building materials, and the impact on the domestic and the indoor environment, and clean the house in a health standards are specified as laws. The performance rating and the various materials to create environmentally-friendly standards for building materials. The more detail, Porous clay material, toxic substances released by applying the high humidity and the water itself, and to absorb the moisture, if the emissions, without a separate device, to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one of the causes of Sick House Syndrome breaking down harmful substances to absorb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o maintain an environmentally-friendly building interior material studies. It is aimed at the development to multi-functional high performance eco-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rather than through one feature performance, identify key features f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s can exert Water Vapour Adsorption raw, decomposed materials for the application and selection.

닭털로 제조한 접착제의 반응기작 및 경화 특성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중밀도섬유판의 접착 특성 (Reaction Mechanism and Curing Characteristics of Chicken Feather-Based Adhesives and Adhesive Properties of Medium-Density Fiberboard Bonded with the Adhesive Resins)

  • 양인;박대학;최원실;오세창;안동욱;한규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385-394
    • /
    • 2017
  • 도계부산물인 닭털(CF)의 알칼리 및 산 가수분해물과 폼알데히드계 가교제를 혼합하여 조제한 접착제의 반응기작 및 경화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적용시켜 제조한 중밀도섬유판(MDF)의 물성 및 폼알데히드 방산량 측정 결과를 토대로 CF 접착제의 목질계 판상재 제조를 위한 분사형 접착제로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형분 함량이 40% 이상인 CF 접착제는 상온에서 점도가 높았으나, $50^{\circ}C$에서 측정한 점도는 $300{\sim}660m{\cdot}Pa{\cdot}s$로 측정되어 낮은 점도를 요구하는 분사형 접착제로 적용이 가능하였다. 적외선 분광기 분석을 통하여 폼알데히드계 가교제의 사용에 따른 methylol기의 부가 및 축합반응을 확인하였다. 시차주사 열량계 분석을 통하여 CF 접착제가 현재 목질계 판상재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요소수지(C-UF)와 비교하여 높은 열압온도 또는 긴 경화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 NaOH 농도의 수용액에서 가수분해된 CF 가수분해물(이하 CF-AK-5%)과 formaldehyde/phenol 몰비가 2.5인 phenol-formaldehyde prepolymer (PF-2.5)로 조제한 접착제를 사용하고 8분간 열압하여 제조한 MDF에서 높은 휨강도(MOR)와 박리강도(IB)를 보였다. 또한 이 접착제로 제조한 MDF의 MOR과 IB는 대부분의 접착제 조제 및 열압 조건에서 C-UF로 제조한 MDF보다 높았다. 이 측정치를 KS 규격과 비교하였을 때, IB는 모든 조건에서 기준을 상회하였으나, MOR은 CF-AK-5%와 PF-2.5로 조제한 접착제를 사용하고 8분간 열압하여 제조한 MDF를 제외하고 그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24-TS도 모든 조건에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MDF 제조시 보드의 목표밀도를 높이거나 내수성 부여를 위하여 접착제에 첨가하는 wax emulsion의 양을 증가시킬 경우 MOR과 24-TS는 충분히 향상될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MDF 제조에 있어 CF 접착제의 사용은 폼알데히드 방산량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따라서 적절한 조건에서 조제된 CF 접착제는 목질계 판상재 제조를 위한 분사형 접착제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질 섬유판 제조에 있어 도계부산물인 닭털의 목섬유 부분적 대체화 탐색 (Investigating the Partial Substitution of Chicken Feather for Wood Fiber in the Production of Wood-based Fiberboard)

  • 양인;박대학;최원실;오세창;안동욱;한규성;오승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577-584
    • /
    • 2018
  • 본 연구는 목질계 섬유판 제조에 있어 목섬유에 대한 도계부산물인 닭털의 부분적 대체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닭털은 주로 케라틴계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형적으로 목섬유와 큰 차이는 없었다. 닭털의 전처리 방법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흡착능을 비교한 결과, 닭털을 고온/고압에서 처리하고 분쇄한 우모분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일반 가위로 절단한 닭털과 이를 가정용 믹서로 고해시킨 닭털의 폼알데히드 흡착량을 dinitrophenylhydrazine법으로 측정한 결과 차이는 없었다. 닭털, 고해 닭털, 우모분을 각각 목섬유의 전건무게를 기준으로 5 wt%로 혼합하여 제조한 중밀도섬유판(MDF)의 물성과 폼알데히드방출량은 닭털의 전처리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이 측정치를 목섬유만으로 제조한 MDF와 비교하였을 때, 두께팽윤율과 폼알데히드방출량은 크게 개선되었다. 따라서 현재 생산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요소수지를 이용한 MDF 제조에 있어 목섬유와 함께 일정한 양의 닭털, 고해 닭털 또는 우모분을 첨가할 경우 치수안전성과 폼알데히드방출량이 개선된 MDF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MDF제조에 있어 닭털의 사용은 현재 상황에서 목섬유와 비교하여 원료 확보의 어려움과 높은 단가로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제성 향상을 위하여 중소형 도계장에서 발생하는 닭털을 이용하거나, 동물성 사료의 금지에 대한 대비책 및 인플루엔자 감염 조류에 대한 환경적 처리 방안으로 닭털의 섬유판 원료에 대한 부분적 대체화 기술은 향후 사용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신개축 교사내 실내공기중 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폼알데히드의 농도 특성 (A Study for the Indoor Air Concentration of VOCs and HCHO in Newly Built and Remodeled Classrooms)

  • 박정호;양수명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2-228
    • /
    • 2013
  • Objectives: The indoor air quality of newly-built (NC) and remodeled (RC) school classrooms was assessed. The primary aim was to show correlations between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formaldehyde (HCHO) pollutant level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door air concentrations of VOCs and HCHO at 26 sites of newly built and 68 sites of remodeled classrooms located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between 2010 and 2012. VOCs in the indoor air were determined by adsorbent tube (Tenax TA) and automatic thermal desorption coupled with GC-MS analysis. Target analytes were five VOCs: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and styrene. HCHO was collected with a 2,4-DNPH cartridge and analyzed by HPLC. Conclusions: This study estimated that indoor VOCs and HCHO concentrations in the classrooms were mainly affected by interior building materials and classroom equipment. For proper indoor air quality in schools, classroom air should be improved through reduction of hazardous materials by adequate ventilation, selecting environmental friendly materials, etc.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신규 차량의 인테리어 물질에 따른 VOC와 폼알데히드의 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ntration Variations of VOCs and Formaldehyde on the Type of Interior Materials of New Vehicles by Simulation Program)

  • 이영섭;김인범;고원경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89-95
    • /
    • 2012
  • The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nd Formaldehyde(HCHO) for interior materials of new vehicles are estimated and recognized by using the simulation program known as IAQx. The concentrations of contaminants are estimated and evaluated by the ventilation rates of new domestic vehicles and the required ventilation rates for new vehicles are estimated through the given contaminant data.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the ventilation rates for the contaminants between the discontinuously ventilated new vehicles and the continuously ventilated new vehicles using the simulation program. The equation of ventilation rate of new vehicles is acquired to be able to lower initial concentrations below the standard level under different conditions for both business and personal commuting.

신축된 초등학교 학생에서 눈 자각 증상과 알레르기 증상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and Ocular Symptoms for Children in New Built School)

  • 심정규;김호현;이용원;임영욱;박주희;김광진;김효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7-467
    • /
    • 2012
  • 목적: 오래된 건물에 비해 환경 오염 물질이 많이 방출될 것이라 여겨지는 신축된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어린이들의 눈 자각 증상과 알레르기 증상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축한지 3개월이 지난 초등학교에서 수업을 듣는 6학년 115명(남학생 54명, 여학생 61명)을 대상으로 dry eye questionnaire(DEQ)와 ocular surface disease index(OSDI)를 이용하여 건성안과 전반적인 눈 증상에 대해 자각 증상을 설문하였다. 알레르기 관련 설문은 아토피와 알레르기 비염의 과거력을 조사하였고, allergic rhinitis impacts on asthma(ARIA) 지침의 알레르기 비결막염 설문을 사용하여 코간지러움과 눈증상에 대해 10점 척도의 visual analog scale로 체크하였다. 결과:DEQ의 설문 조사에서 57명(50%)의 학생이, OSDI식 설문 조사에서는 19명(16.52%)의 학생이 건성안으로 진단되었으며, 두 가지 설문에서 모두 건성안으로 진단된 학생은 18명(15.79%)으로 조사되었다. 아토피와 알레르기 비염을 가지고 있는 학생은 각각 45명(39.5%)과 29명(25.4%)이었다. 아토피를 가지고 있는 학생 중 건성안을 보인 학생은 DEQ를 이용했을 때 30명, OSDI를 이용했을 때 8명이었다. 또한 알레르기 비염을 가지고 있는 학생 중 건성안을 보인 학생은 DEQ을 이용했을 때 22명, OSDI를 이용했을 때 5명이었다. 아토피와 비염 모두 과거력이 있는 29명의 학생 중에 15명이 눈에 자극을 자각하였다. 눈에 자극과 함께 중복으로 자각하는 알러지 증상으로는 재채기, 코 간지러움, 코 막힘, 콧물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으며, 눈에 자극을 자각한 학생일수록 중복하는 알레르기 수와 학생 수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신축된 학교 건물과 같은 환경에서 생활하는 어린이들의 눈 건강 상태에서 눈의 자극 증상이 조사되었으며, 아토피나 알레르기 비염 증상을 가진 학생들에게서 건성안 증상 호소가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계부산물인 닭털을 이용한 목재접착제의 내수성 평가 (Evaluating The Water Resistance of Wood Adhesives Formulated with Chicken Feather Produced from Poultry Industry)

  • 박대학;양인;최원실;오세창;안동욱;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26-138
    • /
    • 2017
  • 본 연구는 주원료로 도계부산물인 닭털의 NaOH 가수분해물, 경화제로 닭털의 $H_2SO_4$ 가수분해물 및 폼알데히드계가교제를 반응시켜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에 대한 물성 및 내수성 실험을 통하여 닭털의 목질계 판상재용 접착제의 원료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닭털은 주로 케라틴계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중금속의 함유량이 매우 낮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알칼리에 대한 닭털의 가수분해율은 수용액 내의 NaOH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나, 과도한 가수분해에 따른 단백질 고유의 접착능 손실을 최소화하고 적정한 가수분해 조건을 찾기 위하여 닭털의 가수분해제 내의 NaOH 농도를 5%, 7.5%, 10%로 결정하였다. 접착제의 조성을 보면,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70%의 닭털 NaOH 가수분해물 또는/그리고 경화제로 닭털의 $H_2SO_4$ 가수분해물 및 30%의 가교제로 조제하였는데, 이 접착제의 고형분 함량은 가수분해 조건 및 가교제의 종류에 따라 28.3 - 44.8% 범위에 존재하였다. 이 접착제의 점도는 상온에서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50^{\circ}C$에서 측정한 결과 분사형 접착제로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접착제의 내수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측정된 열수 불용해율은 5% 농도의 NaOH 수용액에서 반응시킨 닭털의 알칼리 가수분해물(CF-AK-5%)에 경화제로 5% 농도의 $H_2SO_4$ 수용액에서 반응시킨 닭털의 산가수분해물(CF-AC-5%)을 고형분함량 기준 10% 이상 첨가하여 제조하고 경화시킨 접착제에서 높았다. 또한 접착제 제조시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30%가 첨가된 가교제별 열수 불용해율은 phenol-formaldehyde (PF), melamine-urea-formaldehyde (MUF), formalin 순으로 조사되었다. 닭털 접착제의 열수 불용해율을 섬유판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석유화학계 합성수지와 비교한 결과, CF-AC-5%에 가교제로 PF를 그리고 경화제로 CF-AC-5%를 첨가하여 조제한 접착제는 기존 멜라민-요소수지의 열수불용해율과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가교제로 PF를 사용한 모든 접착제와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55%의 CF-AK-5%, 15%의 CF-AC-5% 그리고 가교제로 30%의 MUF와 함께 제조한 접착제는 기존 요소수지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적정한 조건에서 가수분해한 닭털은 목질계 판상재용 접착제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