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폴리타입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4초

친환경 저수조를 위한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열성 콘크리트 합성재료 개발 (Material Development of Eco Water Tank with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Low-temperature Concrete)

  • 장준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133-14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열 시멘트를 활용한 콘크리트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활용한 친환경 저수조를 평가하는 것이다. 친환경 저수조의 강도와 파괴모드를 평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복합체의 인장강도 시험, 다양한 종류의 콘크리트 수화열 실험, 다양한 혼화재를 활용한 수화열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전단키가 콘크리트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복합체로 거동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하였고, ㄱ 타입의 전단키가 V 타입보다 40% 이상 인장강도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 새로운 친환경 저수조는 기존의 콘크리트 저수조보다 안전성을 개선시키며, 보다 적용성과 활용성이 많은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기능성 게임 앱이 당뇨환자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추적 조사 연구 (A Follow-up Study of the Effects of Mobile Serious Game Application on Diabetes)

  • 김유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3-52
    • /
    • 2018
  • 본 연구는 프로토타입 모델을 기반으로 모바일 기능성 게임 앱(롤리폴리 160앱)으로 개발한 후, 보건소에 내원하는 당뇨환자에게 사용하게 한 후 효과성을 추적 조사한 연구이다. 롤리폴리 160앱은 기존의 PC버전의 당뇨 자가관리용 기능성 콘텐츠인 '롤리폴리 160'을 G광역시의 유료화 서비스 요청에 의해 모바일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한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8년 2월 19일부터 5월 11일까지였으며, 사용자는 사전조사 후 총 8주~12주 동안 매일 1회 이상 자유롭게 롤리폴리 160앱에 접속하여 당뇨 자가관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롤리폴리 160앱을 8~12주간 사용한 사용자의 당화혈색소는 추적전보다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p=.04), 당뇨 지식은 추적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01). 롤리폴리 160앱을 적용한 후 전반적인 만족도는 5점 만점 중 3.74점으로 나타났다.

금형 곡면 가공을 위한 AC타입 5축 가공기의 포스트프로세싱 및 머신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t-Processing and Machine Simulation of AC Type 5-Axis Machine Tool for Machining of Mold Surface)

  • 윤일우;황종대;고대철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30-35
    • /
    • 2021
  • In this study, a machine simulation system was built using the actual scale of an AC-type 5-axis machine tool for mold surface machining that can be used in applications, such as, modeling and machine building, stroke, and collision detection. The validity of the 5-axis machine simulation system was verified by performing tool path generation, post-processing, machine simulation, prototype motion simulation, and an actual cutting experiment. This entire process was intended to activate the 5-axis machining in mold surface machining.

부표 및 등부표의 표체 개선에 관한 연구(I)

  • 신용주;정태권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22
    • /
    • 2010
  • 부표 및 등부표는 항로를 표시하거나 항해상을 위험물을 표시하는 중요한 해상교통안전시설이다. 현재 부표 및 등부표의 표체가 철재로 되어 있으므로 해중 생물에 의한 오손, 무게로 인한 설치, 이설, 보수 등의 어려움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부체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은 철재 표체에 비하여 보수유지가 거의 필요없는 폴리에텔렌폼과 폴리우레탄 소재의 표체의 개발을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토타입으로서 LL260 표준 표체를 개발하였다.

  • PDF

폴리아스팔트아미드와 폴리(비닐 피롤리돈)의 상용블렌드 및 Semi-IPN 젤 제조 (Miscible Blend and Semi-IPN Gel of Poly(hydroxyethyl aspartamide) with Poly(N-vinyl pyrrolidone))

  • ;전영실;정동준;김지흥
    • 폴리머
    • /
    • 제36권5호
    • /
    • pp.617-621
    • /
    • 2012
  • 폴리아스팔트아미드[${\alpha}$,${\beta}$-poly(2-hydroxyethyl-DL-aspartamides), PHEAs]는 폴리아미노산의 일종으로서 잠재적인 의학 및 약학분야에 응용가능한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재료로 널리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PHEA와 폴리(비닐 피롤리돈)(PNVP)의 블렌드 및 semi-IPN 젤에 관하여 다루었다. 블렌드 필름은 용액 캐스팅법으로 제조되었다. 제조된 블렌드는 전 조성에서 투명하였으며 DSC를 통해 조성에 따라 단조롭게 변화하는 단일한 유리전이 온도가 관찰됨으로써 두 개 고분자가 서로 상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분자간의 가능한 수소결합 상호작용을 FTIR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일정 조성의 PHEA/PNVP 블렌드 용액을 핵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semi-IP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젤을 제조하고, 제조된 젤의 팽윤 물성과 모폴로지를 조사하였다.

골 조직 재생을 위한 복합 공극 패턴을 가진 ZrO2/BCP/PCL 인공지지체의 실험적 평가 (Experimental Research of ZrO2/BCP/PCL Scaffold with Complex Pore Pattern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 사민우;심해리;김종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11호
    • /
    • pp.1153-1159
    • /
    • 2015
  • 최근 조직 공학 분야에서는 폴리카프로락톤(PCL), 수산화인회석, 삼인산칼슘, 이상인산칼슘(BCP), 지르코니아(Zirconia, $ZrO_2$) 와 같은 합성 생체폴리머와 생체세라믹 등은 다양한 생체 조직 또는 장기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대체재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골 조직 재생을 위한 혼합된 $ZrO_2$/BCP/PCL(ZBP) 인공지지체의 특성을 관찰하기 위함이다. 단선 패터닝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내부연결성 있는 공극을 가지고 $45^{\circ}+135^{\circ}$ 타입과 격자타입의 새로운 복합 공극 패턴을 가지는 혼합된 ZBP 인공지지체는 폴리머 적층시스템에 의해 성공적으로 제작되었다. 뿐만 아니라 기계적 특성에 대한 ZBP 인공지지체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게다가 MG63 세포에 대한 ZBP 인공지지체의 세포 상호작용은 CCK-8 분석을 이용함으로써 평가되었다.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의 이음부 적정 시공안 제안을 위한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for Proposing Proper Construction Method for Joints of Polyurea Waterproofing Membrane Coating)

  • 이정훈;김병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7-8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의 시공 시차별 분석과 열화면에 대한 유지관리 시공 타입별 분석을 통해 시공 이음부위의 적정 시공 방안을 제시하고자 전체 16가지 조건을 대상으로 시공 이음부위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해 시공시차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이음부를 통한 누수발생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프라이머 시공을 통해 누수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시간 옥외 노출된 폴리우레아는 표면이 열화되어 약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부위를 연마할 경우 표면손상이 확대되어 계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유지관리 시공 시에는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며, 동일한 우레아 계열의 재료를 시공하는 것이 방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변색타입의 무용제형 상온 액상수지 (Non-Solvent Liquid Resin of Non-Discoloration Type at Room Temperature)

  • 문진복;목동엽;김규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6호
    • /
    • pp.669-675
    • /
    • 2009
  • 연질 PVC 대체를 위한 비변색 타입의 무용제형 상온 액상수지를 폴리올을 경화제로 사용하는 폴리우레탄수지 구조제어 설계를 통한 프리폴리머 합성방법을 응용하여 제조할 수 있었다. Macro-glycol, 분자량 및 반응조건의 영향 등을 고찰하여 최적의 작업성과 물성을 가지는 무용제형 상온액상수지를 제조하였으며, 우수한 기계적인 특성과 함께 유색작업을 위한 안료의 분산성 등에서도 우수하였고, Tg가 $-40^{\circ}C$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노출이나 질소산화물에 의한 황변특성도 개선할 수 있었다.

용융중합에 의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Branched Polycarbonates by Melt Polymerization)

  • 최수정;윤경화;김희승;유승윤;김연철
    • 폴리머
    • /
    • 제35권4호
    • /
    • pp.356-362
    • /
    • 2011
  •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에 화학적 구조가 다른 두 가지의 분지제를 첨가하여 용융중합으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branched PC, B-PC)를 합성하였다. 분지제의 함량은 0.001~0.005 mol% 내에서 조절하였다. 합성된 PC의 화학구조는 FTIR, $^1H$ NMR파 $^{13}C$ 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분자량, 유리전이온도 및 분해온도는 GPC, DSC와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hloro type의 분지제를 가지는 B-PC의 분자량에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유리전이온도는 분자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두 형태의 B-PC 모두 선형 PC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주파수(frequency) 영역에서 복합점도(complex viscosity)가 높게 나타났고, shear thinning 현상이 크게 나타났다. Shear thinning의 정도를 표시하는 power law index(n)는 선형회귀분석에 의해 계산되었고 0.483~0.996 범위의 값을 보여주었다. Phloro 타입의 B-PC가 높은 shear thinning 경향을 보였으며 이들 B-PC의 유변학적 특성은 동적유변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타이어코드용 PET섬유의 제조조건이 미세구조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Fine Structure and Properties 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for Tire Cord in Process Conditions)

  • 문창조;최영호;조은래;조현혹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72-375
    • /
    • 2002
  • 타이어코드는 복합재료의 원조라고도 불리는 타이어의 적절한 보강용 재료로 복합재료용 섬유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1888년 Du Pont에서 공기를 넣는 타이어를 만든 이후 타이어코드는 마, 면, 레이온, 나일론, 스틸, 폴리에스테르, 글라스, 아라미드 등과 같은 새로운 소재가 계속적으로 개발되어 타이어의 고기능화와 함께 타이어코드의 고기능화도 이루어져 왔다[1]. 이러한 타이어 코드 소재로는 현재 여러 가지가 있으나, High Modulus Low Shrinkage (HMLS) 타입의 PET 타이어코드는 다른 소재에 비해 가격이 안정적이고, 강도가 탄성률이 우수하며 특희 나일론에 비하여 초기 탄성계수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여 평탄점(flot spot)현상도 적기 때문에 레이온을 대신하여 승합차용으로 사용량이 계속 증가되고 있다[2].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