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e Structure and Properties 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for Tire Cord in Process Conditions

타이어코드용 PET섬유의 제조조건이 미세구조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2.04.01

Abstract

타이어코드는 복합재료의 원조라고도 불리는 타이어의 적절한 보강용 재료로 복합재료용 섬유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1888년 Du Pont에서 공기를 넣는 타이어를 만든 이후 타이어코드는 마, 면, 레이온, 나일론, 스틸, 폴리에스테르, 글라스, 아라미드 등과 같은 새로운 소재가 계속적으로 개발되어 타이어의 고기능화와 함께 타이어코드의 고기능화도 이루어져 왔다[1]. 이러한 타이어 코드 소재로는 현재 여러 가지가 있으나, High Modulus Low Shrinkage (HMLS) 타입의 PET 타이어코드는 다른 소재에 비해 가격이 안정적이고, 강도가 탄성률이 우수하며 특희 나일론에 비하여 초기 탄성계수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여 평탄점(flot spot)현상도 적기 때문에 레이온을 대신하여 승합차용으로 사용량이 계속 증가되고 있다[2].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