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폴리이미드

Search Result 47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폴리이미드 필름의 초발수화를 통한 금속배선화 공정 개발

  • Na, Jong-Ju;Lee, Geon-Hwan;Choe, Du-Seon;Kim, Wan-Du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2-12.2
    • /
    • 2009
  •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요성과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정보기기로써 유연한 기판을 사용한 소자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산업에 응용되기 위해서는 저비용, 고생산 공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인쇄전자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금속배선은 모든 소자의 기본이면서 낮은 저항과 높은 신뢰성을 동시에 요구하고 있어 인쇄전자 기술이 해결해야 할 가장 어려운 난제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낮은 저항과 높은 신뢰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금속배선 공정으로서 폴리이미드 필름을 초발수 처리한 후 친수 패턴을 하여 전도성 잉크에 함침함으로서 친수 패턴을 따라 금속배선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표면에 나노돌기를 형성시키고 불소기를 함유한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물에 대한 접촉각이 $150^{\circ}$이상이 되도록 초발수 처리할 수 있었다. 초발수 처리된 폴리이미드 기판에 쉐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UV조사함으로써 조사된 부분만 친수성을 가지는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친수 패턴이 제작된 초발수 폴리이미드 유연기판을 실버잉크에 함침함으로써 선폭 $200{\mu}m$를 가지는 금속배선을 형성시켰다. 형성된 금속배선의 단면 형상을 측정하였으며, 열처리를 통하여 비저항이 $30{\mu}{\Omega}$-cm를 얻을 수 있었다. 통상 1회의 함침으로는 금속배선의 두께가 150nm정도로 금속배선으로 사용하기에는 얇아 배선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 회 함침을 시도하여 $2{\mu}m$의 두께로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때 선폭과 선간 간격은 크게 변하지 않고 두께만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는 금속배선을 형성한 후에도 폴리이미드 유연기판의 초발수성은 그대로 유지되어 여러번 함침할 때 잉크가 이미 형성된 배선에만 묻게 되어 두께는 증가하나 선폭과 선간 간격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용한 실버잉크는 실버의 함량은 10~20wt%인 수계 잉크였다.

  • PDF

폴리이미드 기판을 이용한 유연 Cu(In,Ga)Se2 박막 태양전지 제작

  • Park, Su-Jeong;Jo, Dae-Hyeong;Lee, U-Jeong;Wi, Jae-Hyeong;Han, Won-Seok;Jeong, Y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309.2-309.2
    • /
    • 2013
  • Cu(In,Ga)Se2 (CIGS) 박막 태양전지는 일반적으로 Na을 함유하고 있는 소다회유리를 기판으로 사용하여 제작되며, 높은 광전 변환 효율로 인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제조 비용 절감과 양산성 향상을 위해 현재 유연 기판 CIGS 박막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폴리이미드 기판에서 20.4%의 최고 효율이 보고되었다. 유연 기판은 유리 기판 대비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유리 기판 태양전지보다 활용도가 높으며, 우주용으로 사용할 경우 단위 무게 당 발생되는 전력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이미드 기판을 이용하여 유연 CIGS 박막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후면 전극 Mo은 DC sputtering으로 증착하였으며, Mo의 증착 압력에 따라 폴리이미드 기판의 잔류 응력과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여 증착 압력을 결정하였다. 광흡수층인 CIGS는 다단계 동시 증발 법으로 증착하였으며, 2nd stage 공정온도는 유리 기판 대비 저온인 $475^{\circ}C$로 공정을 진행하였다. 저온공정인 $475^{\circ}C$ 공정에서는 Ga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성능이 감소하였으며, Na 공급을 통해 Voc와 FF가 향상되어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버퍼층 CdS는 습식 공정인 CBD법으로 증착하였으며, 공정변수인 thiourea의 농도와 CdS 박막의 두께 변화를 통해 폴리이미드 기판 CIGS 박막 태양전지에서 CdS 버퍼층의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작된 폴리이미드 기판 유연 CIGS 박막 태양전지는 반사 방지막 없이 개방전압 0.511V, 단락전류밀도 32.31mA/cm2, 충실도 64.50%, 변환효율 10.65%를 나타내었다.

  • PDF

Synthesis and Photoalignment of Soluble Polyimides with Styrylpyridine Side Groups (스티릴피리딘 곁사슬기를 가지는 용해성 폴리이미드의 합성과 광배향)

  • Kim, Jin-Woo;Kim, Min-Woo;Ahn, Deuk-Kyoon;Kim, Woo-Sik
    • Polymer(Korea)
    • /
    • v.33 no.3
    • /
    • pp.207-212
    • /
    • 2009
  • The precursor polyimide of the photoreactive polyimides(PI-SP6 and PI-SP12) was prepared from a derivative of 2, 2, 2-trifluoroethane dianhydride and 3,3'-dihydroxy-4,4'-diaminobiphenyl. PI-SP6 and PI-SP12 were then prepared by the polymer reactions of the precursor polyimide with photoreactive 2-styrylpyridine alkylene (hexylene and dodecylene) derivatives, respectively. The photoreactive polymers were soluble in organic solvents. The polymers showed the initial decomposition temperatures around $350^{\circ}C$.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PI-SP6 and PI-SP12 were found to be $130^{\circ}C$ and $85^{\circ}C$, respectively. This result means that the latter polymer is more flexible than the former polymer. Their transmittance in the film state was 90% at $250^{\circ}C$, which indicates that the photosensitive polyimides with thermal stability have high optical transparency even at the high temperature. The respective dichroic ratios of PI-SP6 and PI-SP12 were found to be 0.01 and 0.03 at an exposure energy of $1.5\;J/cm^2$.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latter polymer with larger flexibility compared to the former polymer is more effective for the photoalignment.

Fabrication of Microbolometer using Polyimide Sacrificial Layer (폴리이미드 희생층을 이용한 마이크로 볼로미터의 제작)

  • Ha, W.H.;Kang, H.K.;Kim, M.C.;Moon, S.;Oh, M.H.;Kim, D.H.;Choi, J.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11d
    • /
    • pp.1137-1139
    • /
    • 1999
  • 저가의 우수한 성능을 갖는 적외선 영상표시 소자 구현에 적합한 마이크로 볼로미터를 MEMS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작은 열질량을 갖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열적고립 구조(thermal isolation structure) 제작은 폴리이미드(PI2611)를 희생층으로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ashing공정 단계에서 폴리이미드를 제거하여 마이크로 볼로미터 구조를 완성하였다. 이 때의 구조층으로는 PECVD 질화실리콘($SiN_x$) 박막, 감지층으로 산화바나듐($VO_x$) 박막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이미드 패턴 형성시 건식식각 공정조건 변수에 따라서 패턴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폴리이미드 측면에서 발생되는 불 균일한 박막 증착과 패터닝 문제를 개선하였다. 또한 저응력의 질화실리콘 박막을 사용하여 잔류응력에 의한 열적고립 구조의 뒤틀림 현상을 완화하였다.

  • PDF

Electrical Properties of Interlayer Low Dielectric Polyimide with Electron Cyclotron Resonance Etching Process (ECR 식각 공정에 따른 층간절연막 폴리이미드의 전기적 특성)

  • 김상훈;안진호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7 no.3
    • /
    • pp.13-17
    • /
    • 2000
  •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imide for interlayer dielectric applications are investigated with ECR (Electron Cyclotron Resonance) etching process. ECR etching with $Cl_2$-based plasma, generally used for aluminum etching,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dielectric constant of polyimide, while $SF_{6}$ plasma exhibits a high polyimide etch rate and a reducing effect of the dielectric constant. The leakage current of the polyimide is significantly suppressed after plasma exposure. Combination of Al etching with $Cl_2$plasma and polyimide etching with $SF_{6}$ plasma is expected as a good tool for realizing the multilevel metallization structures.

  • PDF

Aging effect of adhesion strength between Polyimide Film and Copper layer (상온 시효가 무전해 구리 피막과 폴리이미드 필름 사이 접합력에 미치는 영향)

  • Lee, Chang-Myeon;Heo, Jin-Yeong;Lee, H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135-135
    • /
    • 2014
  •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습식도금으로 형성된 구리피막에서 시효처리 시간에 따른 박리강도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효처리 4시간까지 큰 변화가 없다가 4시간부터 10시간 사이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효처리 시간에 따른 박리강도 증가의 원인을 구리-폴리이미드 사이 계면 및 구리도금 피막 자체의 특성 변화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 PDF

Synthesis of Dialcrylate Bearing Biphenyl Moiety and Photopolymerization Behavior (Biphenyl moiety를 가진 diacrylate의 합성 및 광중합 거동에 관한 연구)

  • 배정환;최명수;김환건;권영돈;이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64-367
    • /
    • 2001
  • lithography를 사용하여 패턴 형성에 이용되는 감광성 고분자 바인더 수지로는 통상 아크릴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가 사용된다. 폴리이미드 수지는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지만 패턴 형성에 난점이 있다. 반면 아크릴수지는 패턴현상성은 우수하지만, 내열성능이 폴리이미드 수지보다는 낮기 때문에 고온 고습하에 기판을 장시간 방치한 경우, 화소내 도막의 변색이나 중량감소 등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중략)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hotosensitive Polyimides Containing Alicyclic Structure (지방족고리 구조를 함유하는 감광성 폴리이미드 수지의 합성 및 특성 평가)

  • 심종천;최성묵;심현보;권수한;이미혜
    • Polymer(Korea)
    • /
    • v.28 no.6
    • /
    • pp.494-501
    • /
    • 2004
  • A new alkali developable photosensitive poly(amic acid) (PAA-0) with transmittance at 400 nm was synthesized from cyclobutane-1,2,3,4-tetracarboxylic dianhydride, 2-(methacryloyloxy)ethyl-3,5-diamino-benzoate and 1,3-bis(3-aminopropyl)-1,1,3,3-tetramethyl disiloxane in N-methyl-2-pyrrolidinone. Photosensitivity of the PAA-0 was investigated at 365-400 nm in the presence of a photoinitiator using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The photo-cured poly(amic acid) was insoluble toward aqueous 2.38 wt%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solution. Negative pattern of the PAA-0 with 25 ${\mu}{\textrm}{m}$ resolution was obtained by developing with 2.38 wt%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solution after exposure of 600 mJ/$\textrm{cm}^2$ in the presence of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as a photoinitiator. The patterned poly(amic acid) was converted to polyimide by thermal curing at 25$0^{\circ}C$ for 50 min, which showed chemical resistance against photoresist stripper as well as good transmittance at 400 nm.

Preparation and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4-Component Polyimide Films (4성분계 폴리이미드 필름 제조 및 열적-기계적 특성)

  • Seo, Kwan-Sik;Sul, Kyung-Il;Kim, Yong-Seok;Suh, Dong-Hack;Choi, Kil-Young;Won, Jong-Chan
    • Polymer(Korea)
    • /
    • v.31 no.2
    • /
    • pp.130-135
    • /
    • 2007
  • To enhance the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polyimide films which have potential application for the FCCL, we have synthesized the poly (amic acid) s composed of 4-components PMDA/BTDA and PDA/ODA as monomer system, u4 then they were effectively converted into 4-component polyimide films by thermal imidization process. It has been found that CTE values in the range of $100\sim200^{\circ}C$ decreased with the amount of PDA, which also caused 36% and 59% increases in tensile modulus and strength respectively. And also, peel test results on 3-layered copper clad laminate using 4-component polyimide films showed excellent adhesion strength above 1.8 kgf/cm. On the basis of obtained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4-component polyimide films may be applied for the high performance FCCL base films.

Diffusion Coefficients of Polyimide/N-Methyl-2-Pyrrolidone Systems be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유리전이온도이하에서의 Polyimide/N-Methyl-2-Pyrrolidone계의 확산계수)

  • 박광승;김덕준
    • Polymer(Korea)
    • /
    • v.24 no.2
    • /
    • pp.194-200
    • /
    • 2000
  • The diffusion coefficients in polyimide/N-methyl-2-pyrrolidone (NMP) systems were proposed using tile Vrentas-Duda's hole free volume theory. Several free volume parameters included in the diffus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from the fundamental physical properties of polyimide and NMP and group contribution theory, and the pre-exponential diffusion coefficient, D$_{0}$ was also determined from the dynamic swelling behavior of polyimide in NMP solution. The experimental swelling behavior of polyimide films in NMP was well described by the theoretical one using the proposed diffusion coefficient.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