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폴리에스테르

Search Result 53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Disperse Dyes for Polyester and Nylon Microfiber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 극세섬유용 분산염료의 합성과 응용)

  • 이창주;이범훈;정재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35-138
    • /
    • 2002
  • 1990년 초 일본의 Shingosen이 출현하면서 범용화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변신하게 되는 계기를 맞게 되었다. 합성 섬유가 갖는 일련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천연섬유의 특성을 모방한 폴리에스테르 극세섬유의 등장으로 고급화 및 차별화 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상품 추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근래에 와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얻어지는 극세사(Micro Fiber)는 약 1d이며, 현재에는 0.3d의 공업적 방사도 가능하게 되었다. (중략)

  • PDF

A study on Dyeing Properties and Washing Fastness of Polyester microfiber (해도형 극세사 편성물의 염색성 및 세탁견뢰도에 관한 연구)

  • 이기훈;김성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1-74
    • /
    • 2001
  •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섬도가 가늘어질수록 전체 표면적이 증가하므로 염색시 초기 염색속도가 빨라져 불균염의 원인이 되며, 겉보기 염착량은 감소하여 많은 염료를 사용해야 된다. 그래서 해도형 초극세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레규라 폴리에스테르보다 세탁견뢰도 및 습마찰견뢰도가 현저히 저하하게 된다[1-3]. 또한 초극세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환원세정을 하더라도 마무리 열고정이나 가공시에 가해주는 열로 인해 열이행이 많이 일어나는 것이 세탁견뢰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4, 5]. (중략)

  • PDF

Toughness Improvement of Unsaturated Polyester Mortars Blended with Polyurethane Liquid Rubber (폴리우레탄 액상고무를 혼합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모르타르의 인성 증진효과)

  • 최영준;박준철;박정민;김화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3
    • /
    • pp.283-290
    • /
    • 2002
  • Generally polymer mortar and concrete using unsaturated polyester resin has high strengths and good chemical resistance. However it also has high brittleness and because of this reason, it is not used for the purpose that demands high resistance to imp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brittleness of unsaturated polyester mortar(UPE mortar) which could be used for the flooring material with recycled aggregates and UPE. Polyurethane liquid rubber(PU) and recycled aggregates were used to complement the brittleness and to recycle the resources resp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mortar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molecular weight and substitution rate of PU. As the molecular weight and PU substitution rate were increased, the viscosity was increased, working life became fast and curing shrinkage was reduced.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s were also reduced but tile brittleness was improved. Therefore, it is seemed that the improved WE mortar could be obtained by using polyurethane liquid rubber with the polyol of molecular weight 2000, 300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카프로락톤 용융 블렌드에서 폴리카프로락톤 분자량 고 촉매 함량에 따른 에스테르 교환 반응 거동

  • 임경율;윤기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5-8
    • /
    • 1998
  •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합성에 이용될 수 있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alcoholysis, acidolysis 및 transesterification 반응들에 의해 복합적으로 진행되며 이 때 각각의 반응 속도를 비교하여 보면 어느 한 쪽 분자쇄의 말단 알코올기가 다른 쪽 분자쇄의 에스테르기를 공격하는 alcoholysis 반응이 가장 빠르고 카르복실기가 에스테르를 공격하는 acidolysis 및 두 고분자 주쇄의 에스테르기 상호간에 발생하는 transesterification 반응들은 alcoholysis 반응에 비해 느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A Study of New water-soluble 3-D Binders on the Debossing effect for Polyester fabrics (폴리에스테르 섬유용 수용성 입체가공 바인더의 디보싱 효과에 대한 고찰)

  • Kim, Moon-Joung;Kim, Jong-Hoon;Lee, Ki-Jung;Lee, Hee-Jun;Hwang, Tea-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84-84
    • /
    • 2011
  • 국내 섬유산업은 해외로부터의 저가 섬유제품이 대량으로 유입되는 속에서도 산업전반에 꾸준히 고부가 가치화를 지향하고 있다.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섬유소재에도 다양한 신개념과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 하나의 영역을 구축해 나가고 있는 분야가 면 리플가공과 같은 표면 형태 가공이며, 최근 들어 폴리에스테르 입체(3D)가공제의 개발 및 가공 방법도 이런 흐름에 부응하여 업계에서 절실한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현재 까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입체가공 기술은 엠보싱무늬를 조각한 금속 롤러에 열을 가하여 폴리에스터 직물에 찍는 방법으로 원단 표면의 입체적인 무늬를 만들어 내는 방법이 대부분이다. 최근 면 리플가공과 같은 표면 형태 가공이 섬유소재의 새로운 트랜드로 나타나면서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섬유에서도 이러한 소재의 질감을 얻고자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5종의 폴리에스테르의 입체가공용 바인더를 포뮬레이션하여 현재 시장성이 있는 폴리에스테르 아이템 5종에 대한 입체가공효과 및 적용성을 고찰하였다. 합성 포뮬레이션 된 바인더는 수용성으로 만들어졌으며, 입체가공 전 후의 원단 외관, 처리 후 수세의 용이성 및 무늬의 입체성효과 등을 확인하였으며, 가공 전후의 원단 물성평가 연구도 동시 진행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새로운 패션 소재로의 응용에 초점을 두고 시장의 수요가 폭발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나일론 등 합성섬유의 3차원 입체 가공(디보싱)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가공제 및 가공방법의 개발은 신규시장 창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날염업체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섬유산업의 글로벌화에 대응하여 훈련된 영업 인력과 E-commerce를 통한 외산 제품과의 경쟁력 확보로 신규시장 진입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The Adhesion Study of SBR and Polyester Using RTFL Adhesive (RTFL 접착제를 이용한 SBR과 폴리에스테르의 접착 연구)

  • Chung, Kyung-Ho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29 no.5
    • /
    • pp.419-425
    • /
    • 1994
  • 폴리에스테르와 SBR 1502 고무의 접착을 위해 RTFL(resorcinol-tannin-formaldehyde-latex)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T-peel geometry를 이용하여 접착력을 평가한 결과 접착제 조성에서 레소시놀과 탄닌이 4대 6의 중량비로 합성된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뛰어난 접착력을 보였다. 폴리에스테르 표면의 소수성과 활성기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SBR 고무와 높은 접착력을 보인 이유는 RTFL 접착제 자체의 일정 조성에서 나타나는 toughness 때문이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와 고무 접착을 위한 single dip 시스템인 N-3형 접착제와 RTFL 접착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와 SBR 고무를 접착시킨 후 $-20^{\circ}C{\sim}100^{\circ}C$의 온도 범위와 $0.2cm/min{\sim}50cm/min$의 박리속도 조건아래서 박리 실험하여 얻은 mastercurve들을 비교한 결과 전 범위에서 RTFL 접착제는 기존의 N-3형 접착제와 거의 필적할만한 접착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The effect of blending condition on the ester-amide exchange reactions and their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olyamide 6 or 6,6 Blends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olyamide 6 및 6,6의 용융블렌드시 블렌드조건에 따른 에스테르-아미드 교환반응 정도와 유변특성)

  • 이현주;김학성;임경율;김병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83-186
    • /
    • 2001
  •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의 블렌드는 두 고분자의 단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성비에 의해 원하는 물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들 블렌드 중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폴리아미드(PA)의 블렌드의 경우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계의 블렌드에서 일어나는 에스테르 교환반응과 마찬가지로 에스테르-아미드 교환반응이 일어나며 이를 이용하여 두 고분자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중략)

  • PDF

New Aliphatic Diol/Dicarboxylic Acid Based Biodegradable Polyesters and Their in-vitro Degradations (새로운 지방족 디올/디카복실산계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및 가수분해 특성)

  • Kang Tae-Gon;Han Yang-Kyoo
    • Polymer(Korea)
    • /
    • v.29 no.3
    • /
    • pp.314-319
    • /
    • 2005
  • Four kinds of new aliphatic diols were synthesized by the ring opening reaction of glycolide with 1,4-butanediol, 1,6-hexanediol, 1,4-cyclohexanediol, or 1,4-cyclohexanedimethanol, a difunctional initiator, in the presence of stannous octoate catalyst. The resulting diols were melt-polymerized with succinic acid, adipic acid, or suberic acid at 170, 190, or $220^{circ}C$ to produce new sequentially ordered aliphatic polyesters and their corresponding polyesters with random structure. Thei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T_g$) ranged from -40 to $30^{circ}C$, The sequentially ordered polyesters prepared at $170^{cir}C$ had higher $T_g$ of 5 to $10^{circ}$ than the polyesters with rand()m structure produced at higher temperature. From in-vitro degradation test the sequentially ordered polyesters was shower in the rate of hydrolysis in a buffer solution than the polymers with random molecular structure.

Synthesis of Functional Copolyester, its Blend with PET, and Properties of Carbon Black Dry Color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합성, PET와의 블렌드 및 카본 블랙 Dry Color의 물성)

  • Park, Lee Soon;Lee, Dong Chan;Kim, Jin Kon;Huh, Wan Soo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7 no.3
    • /
    • pp.496-503
    • /
    • 1996
  • Aromatic and aliphatic copolyesters for the dispersing agent were synthesized by two stage reaction, esterification and polycondensation. Copolyesters were blended with PET in the melt state and their therm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rom GPC analysis Mn's and Mw's of copolyesters were about 30000 and 65000g/mol, respectively. From DSC experiment copolyesters had melting range of $90{\sim}150^{\circ}C$. Copolymer composition was in good agreement with comonomer feed ratio from $^1H$-NMR analysis. Copolyesters and SPA (standard sample) were blended with PET in the melt state. From DSC experiment, copolyesters and SPA were miscible with PET. From the dynamic melt viscosity experiment, melt viscosity of blended sample was increased as the content of aromatic copolyester was increased, while it was decreased as the content of aliphatic and SPA were increased. As for volume resistivity of dry color containing carbon black and copolyesters with dispersing time, aromatic copolyester showed highest value. It was conferred from this result that aromatic copolyester was the best dispersing agent for carbon black in PET res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