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8초

골밀도를 고려한 척추성형술의 생체역학적 평가 (Biomechanical Evaluation of the Vertebroplasty Based on Bone Density)

  • 김동율;이태수;박정율;서중근;최귀원;채수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85-194
    • /
    • 2006
  • In this paper,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mechanics of vertebroplasty in patient accurate FE models have been constructed from CT images of a PMMA injected vertebra. In order to apply various material properties of the spine(T12),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well known apparent density and HU(Hounsfield unit) from CT image were employed and thus real material properties can be assigned to each element of FE model. The FE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s with the experiments. With this approach accurate analysis of the vertebroplasty and its clinical applications can be expected.

Polyurethane과 polyurethane dimethacrylate를 이용한 내충격성 PMMA수지의 합성과 그 물성 (Synthesis and Property of Modified PMMA Resin Using Polyurethane and Polyurethane Dimethacrylate)

  • 김동현;김주영;서경도
    • 공업화학
    • /
    • 제4권3호
    • /
    • pp.616-626
    • /
    • 1993
  • 유연성과 강인성이 우수하여 탄성체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폴리우레탄(PU)을 이용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의 물성향상을 검토하여 보았다. PU와 PMMA블렌드의 분자량과 폴리올의 종류가 블렌드의 물성과 상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분자량 또는 폴리올의 종류가 각기 다른 ether type과 ester type의 PU를 합성하여서, 이를 PMMA와 블렌드 하였다. 블렌드의 인장강도는 Instron을 이용하여서 측정하였고,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와 Differental Scanning Calorimetry(DSC)를 이용하여서 두 고분자의 상용성의 변화에 따른 형태학과 유리전이온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haze meter를 이용하여 투명성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PU와 PMMA 두 고분자의 본질적인 비상용성으로 인하여 블렌드를 통한 PMMA의 물성 개량은 큰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PU와 유사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양말단에 비닐기가 도입된 형태인 폴리우레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PUD)를 합성하여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하여 가교 공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이 가교 공중합체의 기계적 물성을 Instron, Izod type(Cantilever Beam)impact tester와 haze meter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PMMA 단독수지의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내충격성이 상당히 개선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Li으로 중화된 폴리비닐페놀 이오노머의 특성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의 혼화성 (Characteristics of Poly(vinyl phenol) Ionomers Neutralized by LiOH and Their Miscibility with Poly(methyl methacrylate))

  • 노진영;김진환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886-892
    • /
    • 2000
  • 폴리비닐페놀 (PVPh)을 LiOH로 중화시켜 중화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PVPh 이오노머 (PVPh-Li)를 제조하였다. 중화도에 따른 PVPh-Li의 $T_{g}$ 변화를 DSC로 측정한 결과 Li mol% 당 3.$8^{\circ}C$$T_{g}$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유사한 구조를 지닌 poly(styrene-co-hydroxy styrene)의 3.$2^{\circ}C$ 증가에 비해 높은 수치이다. 이는 중화되지 않은 -OH가 -OLi와 강한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OLi 끼리의 클러스터 형성이 어려워져 소각X선산란 실험에서도 뚜렷한 피크가 관찰되지 않았다. 제조된 PVPh-Li를 PVPh와 블렌드시 50/50 조성의 경우 중화도가 10 mo1%인 PVPh-Li와 혼합되어도 상분리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와 블렌드시 중화도가 5 mol%인 PVPh-Li가 혼합되면 거대 상분리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소결합으로 인해 혼화성이 있는 블렌드라 하더라도 한 성분을 이오노머를 변환할 경우 새로운 강한 분자간 이온-다이폴 상호작용이 생성되지 않는 한, 아주 낮은 정도만 이오노머로 변환되어도 혼화성이 급격히 감소해 상분리가 관찰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폴리스티렌 혼성중합체들의 용리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ution Behavior of Polystyrene Copolymers in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 이대운;음철헌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7-94
    • /
    • 1992
  • 본 연구는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폴리부타디엔(PB) 등 동종 중합체들(homopolymers), 그리고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block 혼성중합체들(SM block copolymers) 및 스티렌-폴리부타디엔 star shaped 혼성중합체들(PS-PB star shaped copolymers)을 선택하여 다리걸친 폴리스티렌 겔 상에서의 용리거동을 비교 조사하였다. 선택한 이동상으로는 테트라히드로퓨란(THF), 톨루엔(TOL), 클로로포름(CHL), 메틸렌클로라이드(MC), 테트라히드로퓨란-시클로헥산(CH) 혼합용매의 5가지 시스템이며, 이동상 변화에 따른 시료들의 hydrodynamic 부피와 머무른 부피 사이에 플롯의 이동에 관한 현상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시료의 머무름을 예측하기 위해 다중 다단계 회귀분석(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각 중합체들에 대한 적절한 크기 파라미터를 찾았다. 또한, network-limited 분리 메카니즘에 의해 GPC에서 시료와 겔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포계수 $K_p$를 각 이동상 시스템에서 구하였는데, PS와 PB의 kp값은 거의 1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었고 PMMA인 경우는 적합 용매에서는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K_p$값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부적합 용매에서는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K_p$값은 함께 증가하였다. 혼성중합체의 $K_p$값은 조성 및 분자량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고, 이로부터 SM block 혼합중합체의 형태는 무작정상(random phase)을 가지는 것으로 예측된다. 아울러 $K_p$값을 이용하여 동종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혼성중합체들의 분자량을 측정하기 위해 이들의 새로운 머무름 파라미터$(V_r-V_o)/K_p$와 log[η]M을 플룻을 한 결과 좋은 직선성을 보이는 하나의 보편적 검정곡선을 얻었다.

  • PDF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PMMA 복합필름의 방열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PMMA Composite Films with Phase Change Material)

  • 권준혁;윤범용;조승현;;김형익;김동현;박경의;서종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5호
    • /
    • pp.288-29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기 사용에 이슈가 되고 있는 발열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변화물질(PCM)의 잠열 특성을 이용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복합필름을 제조하고 방열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용융온도가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상변화물질을 사용하여 제작한 PCM/PMMA 복합필름의 열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다양한 사용조건에 따른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Compression Molding 방법과 PCM Paste Sealing 방법에 따른 PCM/PMMA 복합필름의 방열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최대의 방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도출하였다. 또한 PCM/PMMA 복합필름의 방열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높은 흑연과 그래핀을 추가로 적층하여 제조한 Hybrid 복합필름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들을 통해 향상된 방열 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방열 성능이 우수한 복합필름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활용되어 발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투명방음판의 품질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2) - 음향 특성 및 내후성 평가 (Study on Quality Criteria for Transparent Soundproof Panels(2) - Sound Insulation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Weatherability)

  • 장태순;김철환;황철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1호
    • /
    • pp.1099-1105
    • /
    • 2012
  • Transparent noise barrier panels have the advantages of transmitting light to nearby residents and allowing drivers to orientate themselves by providing views of the surrounding area. To develop guidelines on quality criteria for transparent soundproof panels, their sound transmission loss and weatherability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Korea, the sound transmission loss of noise barrier panels should be more than 25 dB at 500 Hz and 30 dB at 1000 Hz. The transmission loss tests of transparent panels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KS F 2808. Typically, plastic materials suffer from color changes when exposed to ultraviolet(UV) light over extended periods. Therefore, weathering of plastic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perties for outdoor applications. Protection against UV radiation and weathering is usually accomplished by using UV stabilizer additives o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for soundproof panels were examined through accelerated weathering tests and their weathering resistances were evaluated from changes in yellowness index.

서로 다른 측쇄 구조를 가진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의 저온유동성 향상제 합성 (Synthesis of Poly(alkyl methacrylate)s Containing Various Side Chains for Pour Point Depressants)

  • 홍진숙;김영운;정근우;정수환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42-547
    • /
    • 2010
  • 디젤연료 및 바이오 디젤을 포함하는 디젤연료는 성분 내에 n-파라핀과 포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가 저온에서 결정화가 이루어져 연료의 저온 특성을 감소시키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가 저온유동특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MA (lauryl methacrylate), SMA (stearyl methacrylate)를 각각 측쇄 구조가 다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70 : 30의 몰 비율로 라디칼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의 구조는 $^1H$-NMR 및 FT-IR 스펙트럼으로 분석하였으며, GPC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디젤연료에 500~1000 ppm, 바이오디젤을 5%, 20% 함유한 디젤연료(BD5 및 BD20)에 1000~10000 ppm을 각각 첨가하여 유동점, 구름점 및 저온필터막힘점 등의 저온유동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온유동특성을 측정한 결과 BD5에서 SMA를 포함한 공중합체 $PSMAmR_2n$에서 첨가 전 대비 유동점 $15^{\circ}C$, 구름점 $6^{\circ}C$, 저온필터막힘점 $10^{\circ}C$ 강하되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수리된 비스 아크릴 복합 레진의 전단결합강도에 대한 지연시간, 표면처리, 수리 재료의 영향 (Effect of delayed time, surface treatment, and repair material on shear bond strength of repaired bis-acryl composite resin)

  • 박지수;이재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2호
    • /
    • pp.89-96
    • /
    • 201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비스 아크릴 복합 레진의 수리 시 지연시간, 표면처리, 수리재료가 미치는 영향을 전단 결합강도 비교를 통해 알아보고,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레진을 이용한 비스 아크릴 복합 레진 수리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총 90개의 비스 아크릴 복합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고, 지연시간, 표면처리, 수리재료에 따라 10개씩 9개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시편들은 제작 직후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통계분석 프로그램(IBM SPSS statistics 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단 결합강도 측정 후 시편의 파절 단면을 관찰하였다. 결과: 시편 제작 직후, 접착제(bonding agent)를 이용하여 광중합형 유동성 복합 레진을 접착한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전단 결합강도를 보였다($17.54{\pm}3.14MPa$). 결론: 비스 아크릴 복합 레진을 수리할 때 경과시간에 따라 재제작 여부를 고려해야 하며, 효과적인 수리를 위해 사용부위나 목적에 따라 알맞은 재료와 표면처리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탄소나노섬유/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복합재료의 열적 및 마찰 마모 거동 연구 (Thermal, Frictional and Wear Behavior of Carbon Nanofiber/Poly(methyl methacrylate) Composites)

  • 박수진;임세혁;이재락;이종문
    • 폴리머
    • /
    • 제30권5호
    • /
    • pp.385-390
    • /
    • 2006
  • 본 연구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에 탄소나노섬유(CNF)의 함량을 달리하여 만든 CNF/PMMA 나노복합재료의 열적 및 마찰 마모 거동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CNF/PMMA의 열적특성은 시차주사열량계 (DSC)와 열중량 분석기 (TGA), 그리고 동적기계분석기(DMA)를 이용하여 고찰하였으며, 마찰 마모 거동은 마찰마모 시험기 (wow tes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로서, CNF/PMMA 복합재료의 Tg와 integral procedural decomposition temperature(IPDT), storage modulus (E'), 그리고 tan ${\delta}$의 값은 CNF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마찰계수와 마모량은 CNF 함량 0.1 wt%에서는 감소하였다가 CNF 함량 5-10 wt%에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PMMA에 세장비 (aspect ratio)가 큰 CNF가 강화제로 첨가됨에 따라 고분자 사슬의 정렬이 일어나며 또한 수지 내에서 기계적 얽힘(mechanical interlocking) 현상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가교화된 구조를 형성하였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무정형 알파-올레핀 고분자/무정형 폴리아미드 블렌드의 반응 상용화 (Reactive Compatibilization of Amorphous Poly-${\alpha}$-olefins/Amorphous Polyamide Blends)

  • 윤덕우;최미주;황규희;김건석;이광희
    • 폴리머
    • /
    • 제33권5호
    • /
    • pp.490-495
    • /
    • 2009
  • Maleated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반응성 상용화제로 사용하여 무정형 알파올레핀 고분자/무정형 폴리아미드 블렌드의 반응 상용화를 시도하였다. 무정형 폴리아미드와 상용화제간의 그래프트 반응 정도는 FT-IR, SEM 및 rheometer로 조사하였다. 반응상용화에 따른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 변화 및 하이드로카본 형태의 점착부여수지를 첨가한 블렌드의 접착강도는 만능시험기로 조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