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폭파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isk Analysis of Structures Subjected to Blast Loads Using 3D Information Models (3차원 모델을 이용한 폭파하중에 대한 구조물 위험평가 해석)

  • Shim, Chang-Su;Yun, Nu-Ri;Song, Hyun-Hy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272-275
    • /
    • 2010
  • 폭파하중에 대한 구조물 위험평가 해석을 위해 3차원 모델링 기법 중 하나인 변수모델링과 이를 활용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구축하여 외연적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폭파하중은 ConWep을 이용하였고, 폭파압력 저감을 위해 알루미늄 폼의 밀도와 두께, 그리고 덮개 여부를 해석 변수로 설정하였다. 해석 결과, 알루미늄 폼의 밀도가 낮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항복강도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었고, 폭발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한 강재 덮개는 두께에 대한 그 영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적절한 설계변수 설정을 통해 폭파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DAM Explosion In Fiction (댐 폭파의 반응)

  • 우리학회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4 no.4
    • /
    • pp.37-39
    • /
    • 1996
  • 본 보고는 1993년 7월 국회 건설분과위원회에서 P댐에 대해서 논의중 댐의 폭파를 설정시 어떻게 하면 또 어떻게 되는가에 대한 기술전문가의 견해에 대한 답변이다. 이는 폭파시 사력댐과 콘크리트댐 두가지를 설정한 것이다.

  • PDF

Effective Tillering Pattern and Grain Yield on Different Sowing Method in Barley (보리 재배양식에 따른 유효분얼의 양상과 수량)

  • 신만균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0 no.5
    • /
    • pp.548-555
    • /
    • 1995
  •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understanding on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 of barley tillers as affected by sowing method. Yield and yield contribution rates of tillers were investigated with the data of field experiments in the Honam Crops Experiment Station of Iri, Korea from October 1986 to July 1987. Narrow-seeding (each row placement 40cm$\times$seeding width of each row 18cm), drill-seeding (20cm$\times$5cm) and broadcasting on wide ridge (each ridge placement 120cm$\times$ridge width 90cm) were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sowing methods. Primary tillers such as mainstem, 1 and 2 produced ears in all treatments, but the ear from a secondary tiller of 11 was observed only in broadcasting on wide ridge. Drill-seeding was the highest in number of spikelet, grain and plump grain per ear, while narrow-seeding being the lowest. The plump grain yield per square meter was 679.8g in narrow-seeding, while drill-seeding and broadcasting produced more than narrow seeding by 28.7% and 16.8% respectively. The actual yields per l0a for sowing methods showed a similar pattern to plump grain yield per square meter in which the yield was 567.6kg by narrow-seeding and the increments of drill-seeding and broadcasting were 30.6% and 15.4%, respectively.

  • PDF

Explosive Demolition of Structures (구조물의 폭파해체공법 소개)

  • 황현주;이성우;김상수;이광원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5 no.1
    • /
    • pp.38-44
    • /
    • 1992
  • 본 기사에서는 재래식 해체공법에 비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며, 경제적인 폭파해체공법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폭파해체공법은 구조역학적인 기술과 화약기술을 종합한 매우 정교한 제어해체 기술로써 앞으로 발생되는 해체, 철거공사에 많이 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Concussion Blasting for Structural Steel (구조용 강재에 대한 폭파절단실험 연구)

  • Yang, Hyung-Sik;Jang, Hyong-Doo;Ko, Young-Hun;Kim, Sung-Jun;Moon, Hee-Sook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9 no.1
    • /
    • pp.27-33
    • /
    • 2011
  • Concussion shots were conducted for SS400, a general structural steel, and SM490, a structural steel for welding, using TNT, which is used as a standard explosive. The ability to cut the steels was compared for different combinations of charges and materials. The results show that the amount of explosives used for SM490 requires more 30% than SS400.

파랑이론의 비교 연구

  • 최한규;구본수
    • 어항어장
    • /
    • s.26
    • /
    • pp.45-53
    • /
    • 1994
  • 본 연구는 유한진폭파 이론(Stokes2, 3, 5차 이론, Streamfunction파 이론)과 미소진폭파 이론(선형파이론)의 각 이론해에 의한 자유수면 변동($\eta$), 물입자수평속도(u), 전파속도(C), 파장(L) 등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각 파랑이론의 적용범위를 검증하고자 했다.

  • PDF

철근콘크리트 기둥폭파 및 방호재료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류창하;최수일;박용원;김양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6.03a
    • /
    • pp.95-106
    • /
    • 1996
  • 건물발파해체 설계 및 시공에 있어서 중요한 공정의 하나는 불안정성을 유도하도록 실시하는 건물의 주요 지지부 기둥에 대한 발파이다. 이와 관련된 요소기술로는 기둥단면에 따라 천공패턴을 결정하고 적정장약량을 산정하는 것과 폭파시 파괴된 파편의 비산에 대한 방호기술을 들 수 있다. 비산은 인접건물에 대한 피해와 인명사고들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철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대상이다. (중략)

  • PDF

지뢰제거 장비의 발전추세와 운용방안(2)

  • Sin, Yong-Bok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7 s.233
    • /
    • pp.78-87
    • /
    • 1998
  • 비무장지대에 매설되어 있는 100만여개의 지뢰와 북괴의 호전적인 태도를 감안한다면 전시에 전투력 발휘를 보장하기 위한 전력화 측면에서 그리고 인도주의적 측면에서 우리군도 정책적으로 추가적인 지뢰제거장비의 연구개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다. 지뢰제거장비는 1종류만 사용한다면 100% 지뢰제거에는 제한이 따르며 기계식, 전자기식, 폭파식, 비폭파식 장비를 종합적으로 운용하여 전시 기동부대에 기동성을 보장하고 또한 군사작전지역이 아닌 지역에서 지뢰로 인한 민간 사상자를 방지하고 통일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뢰탐지 및 제거장비개발 획득에 박차를 가해야 하겠다.

  • PDF

IGBT explosion test (IGBT 폭파시험)

  • Jeong, Jong-Kyou;Seo, Dong-Woo;Jung, Hong-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350-351
    • /
    • 2019
  •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시스템은 고압 직류 송전을 위한 시스템이다. 고압 직류 송전을 위해서는 전력변환기가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해주어야 하는데, 최근에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는 단위 서브모듈이 직렬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기구적으로 하나의 밸브 구조물에 6개의 서브모듈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특징 중에 하나는 예비모듈이 구성되어 가용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브모듈의 IGBT 폭파에 의해 발생되는 플라즈마가 주변 서브모듈에 도달해 절연파괴를 발생시키는지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