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폭력노출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113초

가족기능이 자녀의 가정폭력 노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Functioning on the Exposure of Domestic Violence in Children)

  • 김경신;김정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91-69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violence. The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data obtained through 1,044 children who live in Gwangju Chonnam are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Wife abuse and child abu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y cohesion, family flexibility, and family-system types. 2. In family violence non-experience group, 'balanced family' was found in 36.2% of the sample and 'extreme family' in 7.8%. In family violence experience group, 'balanced family' was found in 12.7% of the sample and 'extreme family' in 15.4%. 3.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violence. Family cohesion and family flexibility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wife abuse and child abuse.

  • PDF

청소년기 자녀의 가정폭력 노출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중학생 자녀의 아내학대 목격과 자녀학대 피해를 중심으로- (Adolescent Children's Domestic Violence Exposure & Psycho-social Maladjustment -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 Children's Wife Abuse Witnessing and Child Abuse Victim -)

  • 김정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5호
    • /
    • pp.171-18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dolescent children's exposur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influences their psycho-social maladjustment. The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data obtained through 589 adolescents who attend middle school in Gwangju are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Domestic violence exposure in adolescent children was considerably serious; 84.4% child abuse by parents, 66.0% witness of father-to-mother abuse. 2. Child abuse and wife abuse had close relation in occurrence and severity. 3.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social competence of adolescents were different by the victim of child abuse, the witness of wife abuse, and the style of domestic violence exposure. 4. Domestic violence exposur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adolescent children's psycho-social maladjustment.

한국 기혼 여성에서 만성적인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 (Longitudinal Influence of Chronic Intimate Partner Violence on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Married Woman)

  • 박혜인;이진희;한재현;민성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08-115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 기혼 여성에서 만성적인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 법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국복지패널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매년 조사된 설문을 이용하여 언어폭력 및 신체폭력이 우울증상 및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나이, 교육수준, 경제수준, 음주, 종교, 만성질환,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관계 만족도 등을 공변량으로 하였다. 결 과 5년 간의 언어폭력 노출지수는 우울을 1.180배, 자살사고를 1.276배 높였으며 이는 우울증상의 영향을 보정해도 유의하였다. 반면, 5년 간의 신체폭력 노출지수는 우울을 1.486배, 자살사고를 1.362배 높였으며 우울증상의 영향을 배제하였을 때는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 론 이전에는 자살 사고가 없었던 여성에게 IPV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었을 때 우울증상의 유무와 상관없이 자살 사고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것에 의의가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고려하면 IPV를 경험한 여성에 대한 정신과적 개입이 자살률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청소년의 학교폭력노출 유형에 따른 회복과 적응을 위한 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covery and Adaptation Factors According to Types of School Violence Exposure in Youth: Focusing o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 김동일;이혜은;금창민;박알뜨리;오지원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1호
    • /
    • pp.99-130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자료 중 3차 년도(2012년)에 학교폭력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을 보고한 초등학교 6학년 1,137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교폭력노출 청소년 유형(가해, 피해, 중복) 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6(2012), 중2(2014), 고1(2016)의 세 시점에서의 학교폭력노출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자기회귀 계수를 측정한 결과, 학교폭력노출의 모든 유형에서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에 정적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이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을 매우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교차지연효과의 경우, 이전 시점의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피해 경험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해 집단과 중복 경험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특히, 세 번째 연구 결과로, 회복탄력성에서 사회적지지로의 반대 경로에서는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의 경우에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이 다음 시점의 사회적지지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의 보호요인이라는 그동안의 횡단적 연구 결과를 종단적인 관점으로 보완하여, 학교폭력 가해 집단과 피해 집단에서 회복탄력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오히려 사회적지지에 대해 낮게 지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해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 관계와 본 연구의 한계를 논하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스마트폰에서 비속어 문자 관리를 위한 응용 설계 (A design of application for swear word management in smart phone)

  • 김소영;박선주;김희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1-143
    • /
    • 2017
  • 스마트 기기의 발전이 급격히 증가됨에 따라 현대인의 생활은 매우 편리해졌다. 그 반면 스마트 기기로 인한 피해 역시 늘어나고 있다. 청소년의 경우 스마트 폰 과다 사용, 게임 중독뿐만 아니라 SNS를 통한 비속어 문자에 노출되어 정신적으로 괴롭힘을 당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에 전송된 문자 중 모욕적인 단어나 수치심을 유발하는 단어, 자존감을 떨어지게 하는 단어, 폭력적인 단어가 포함되어 있을 때 부모님이나 학교 담임, 학교폭력담당경찰관에게 자동으로 전달되는 앱을 설계하고자 한다. 폭력 문자가 수신되었을 때 경위를 파악할 수 있고, 상담을 통한 피해 청소년의 괴로움 및 자살충동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에 대한 폭력: 폭력에 대한 경험, 인식, 대응 및 대처 (Violence against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Perception, Responses and Coping with Violence)

  • 박정은;김동희;박정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52-662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경험하는 폭력, 폭력에 대한 반응과 차후 행동을 알아내기 위함이다. 조사연구가 실시되었고, 자료는 2012년 4월 30일부터 7월 6일까지 수집되었다. 4개 도시의 6개 대학에서 290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설문방식이 사용되었다. 약 91%의 학생들이 폭력을 당하였다. 언어적 폭력(85.2%)이 가장 빈번하게 맞닥뜨리는 폭력의 종류였고, 신체적 위협(74.8%), 성폭력(41.0%), 신체적 폭력(26.2%)의 순서였다. 참가자들은 환자 또는 환자 가족, 의사 및 간호사와 같은 임상스탭에 의해 학대를 당하였다. 간호대학생은 폭력에 노출된 이후 생리적 또는 사회적인 면보다는 심리적인 면에서 더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의 대처 행동은 "폭력을 가한 사람에게 반응하지 않고, 임상실습을 지속함 (51.7%)"이었고, 이러한 반응은 폭력을 경험한 후의 대처행동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79.5%). 간호대학생이 임상 현장에서 경험하는 폭력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 수립되어야하며, 학생들은 교육 과정에서 폭력에 대처할 수 있는 의사소통 및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아동·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The effects of children's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on juvenile delinquency: A meta-analytic review)

  • 신선인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호
    • /
    • pp.153-182
    • /
    • 2008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07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가정폭력경험과 아동 청소년의 비행의 상관관계에 관한 101편의 연구물 중에서 분석에 필요한 통계치가 제시되어 있는 45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가정폭력 경험여부가 아동 청소년들의 비행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를 평균효과크기의 비교에 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연구의 특성변인에 따라서 평균효과크기가 어떻게 드러나는 지를 평가하였다. 메타분석결과, 총 125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으며, 가정폭력을 목격하거나 직접 폭력을 당하거나, 아동학대를 경험한 아동들이 비행행위를 할 확률이 그렇지 않은 아동들에 비해서 16.8% 높게 나타났다. 폭력경험 유형별로는 각각 14%, 17.8%, 17.2% 더 높았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가정폭력경험유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차이는 비행, 폭력행위, 공격성의 비행유형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가정폭력경험이 비행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학생, 초등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발생확률이 높았다. 논문의 발표년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는 최근일수록 더 크게 나타났으며, 연구물 종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메타분석결과를 통하여 가정폭력이 아동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아동 청소년 비행의 증가에 대한 사회환경의 책임을 강조하였다.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정생활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내재화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Family Violence Exposure on School Violence among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 Internalizing)

  • 김정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9-27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exposure and school violence,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nalizing on those relationship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services for those adolescents. 4,773 adolescents were selected for the questionnaire study in Gjwangju.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20.0 and SPSS 20.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amily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ternalizing and school violence offense with family violence exposure. Second,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revealed that family violence had no direct link with school violence. Third, Family violence had indirect effects on school violence, mediated by family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naliz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family focused services to prevent the school violence and suggested effective intervention plan.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관련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영향 요인 (Explorations of Dating Violence Related Factors that Affect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 김영은;윤미선;이현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58-269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데이트폭력의 심각성이 부각되고 있는 추세에 부합하여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을 포함한 다양한 영향 요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탐색하고 그 상대적 설명력의 크기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충청권 소재 1개 대학교의 508명의 대학생이 자기보고식 질문지에 응답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심리적 불편감 노출 및 상담에 대한 유용성기대는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연인 간의 비합리적 폭력인식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상담에 대한 위험기대, 및 도움 요청 장애 요인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부적 관계로 나타났다. 위 변인들의 총 설명량은 46.1% 으로 상담에 대한 유용성기대가 가장 큰 설명력을 지니고 위험기대와 도움요청 장애요인이 그 다음으로 큰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데이트폭력 연구 주제의 확장 및 대학생의 전문적 도움 서비스 활용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 제시를 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융복합 스마트 안전지킴이 앱 개발 (Development of Conversion Smart Monitoring App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 조한진;김진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211-217
    • /
    • 2015
  • 최근 학교 내 폭력문제가 심각하게 증가하고 있고 사회적인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더욱이 현실에서의 물리적인 폭력 행위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의 심각성은 매우 높아지고 있어 더욱 심각하다. 초등학생과 같이 사물에 대한 식별이나 인간에 대한 이해가 완전하지 못한 상태에서 위와 같은 사이버폭력에 노출될 경우, 그 심각성은 매우 높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집단 따돌림이나 욕설 등과 같은 사이버폭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대비책으로 스마트 안전 지킴이 앱을 제안하고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한 융복합 스마트 안전지킴이 앱은 초등학생 어린이를 가진 가정에서 아동의 위치를 파악하여 안전한 귀가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동들이 사용하는 메신저에서 욕설이나 비속어 등에 대한 사용을 언어지수와 관계지수로 정의하고 이에 대해 분석하는 실험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 대한 금지어 검색율과 응답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제안 시스템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