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포탄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정밀 유도포탄 개발 및 기술 현황

  • Kim, Byeong-Su
    • Journal of the KSME
    • /
    • v.50 no.4
    • /
    • pp.36-41
    • /
    • 2010
  • 이 글에서는 정밀유도포탄의 국내외 개발 현황과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고, 정밀유도포탄을 개발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관점에서의 주요 설계 요소와 설계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소프트웨어적으로 해결해야 되는 문제로 초기자세 예측과 바람 예측을 제기하였으며, 칼만필터를 활용하여 각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밀한 결과를 위하여 GPS/INS 통합 알고리즘과 유도명령을 구성하는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Classification Type of Weap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Counter-battery RadarPaper Title (인공지능을 이용한 대포병탐지레이더의 탄종 식별)

  • Park, Sung-Jin;Jin, Hyung-Seuk
    • Journal of IKEEE
    • /
    • v.24 no.4
    • /
    • pp.921-930
    • /
    • 2020
  • The Counter-battery radar estimates the origin and impact point of the artillery by tracking the trajectory of the shell. In addition, it has the ability of identifying the type of weapon. Depending on the position between the shell and the radar, the detected signals appear differently. This has ambiguity to distinguish the type of shells. This paper compares fuzzy logic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classifies type of shell using the parameter of signal processing step.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improve identification rate of type of shell. The data used in the experiment was obtained from a live fire detection test.

서독이 개발한 센서 신관탄-SM Art 1

  • Chae, Hui-Yeo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 s.143
    • /
    • pp.58-65
    • /
    • 1991
  • 종말유도포탄과 동등한 효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센서신관부의 탄약에 의한 사격은 통상 약 3배의 탄두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탄가가 약 4분의 1-5분의 1로 싸기 때문에 포탄수의 증가가 비경제적이라기 보다 비용대 효과면에서 오히려 유리하게 된다는 것이다. 수년 전에는 센서신관부의 탄약개발이 국제적으로 유행되어, 서독에서는 Diehi사와 Rheinmetall사가 참가하여 HABICHT 및 ZEPL 계획이라고 하는 2개의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다. 그 후 이것은 하나로 통합되어 SMArt 155(155미리 포용 센서신관부 포탄의 약어)가 되었다

  • PDF

고휘도 엘이디 섬광기를 적용한 해상용 등명기의 방열 특성에 관한 연구

  • Im, Min-Seok;Jeong, Tae-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1-33
    • /
    • 2013
  • 종래의 전구식 등명기의 경우 중량이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전구의 교체시기가 짧고 전력소모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5mm 포탄형 저휘도 LED램프의 경우에는 수명이 길고 저전력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근래에는 해상의 배후광이 높아져 개당 소비전력이 1W(와트) 이상인 고휘도 파워 LED를 광원으로서 채택하는 등명기가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고휘도 파워 LED의 경우 종래의 포탄형 LED에 비하여 광도는 매우 높으나,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으며, 그에 따라 발열이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휘도 파워 LED를 채용하여 등명기의 광도를 높이는 경우에는 반드시 방열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고휘도 파워 LED의 발열로 인하여 제품이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없으며, 결국에는 관련 부품의 고장이나 파손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종래의 전구식 램프나 저전력 포탄형 LED램프를 대체하여 고휘도 파워 LED램프를 광원으로 적용함에 있어, 등명기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구조로서 보다 효과가 우수한 방열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 PDF

Diameter Effect of Induced Voltage in Sensing Coil Buried in Projectile for Application of Air Bursting Munition (공중파열탄용 포탄에 묻혀있는 탐지코일의 직경에 의한 유도전압 변화)

  • Ryu, Kwon Sang;Nahm, Seung Hoon;Jung, Jae Gap;Son, Derac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26 no.2
    • /
    • pp.62-66
    • /
    • 2016
  • We designed a model composed a ring type magnet, a yoke, and a sensing coil buried in a projectile for calculating the muzzle velocity based on the voltage induced from sensing coil by simulation. The muzzle velocity was calculated from the master curve obtained through the voltage induced from sensing coil by simulation. The induced voltag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diameter of sensing coil. The projectile's velocity was proportional to the induced voltage when the sensing coil was buried in projectile. The projectile will be surely exploded at the target region by inputting the information of muzzle velocity variation corrected the diameter effect of induced voltage of sensing coil.

A Guidance Law to Maintain Ballistic Trajectory for Smart Munitions (지능형 포탄을 위한 탄도궤적 유지 유도법칙)

  • Park, Woo-Sung;Ryoo, Chang-Kyung;Kim, Yong-Ho;Kim, Jong-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9
    • /
    • pp.839-847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new guidance law for increasing the lethality of munitions. The well known PNG (Proportional Navigation Guidance) is inadequate for the munitions because of some weaknesses. Even if the munition does not have the impact point error, the acceleration command is non zero because the line-of-sight changes at all times in flight. Therefore, we use a difference between a target and an impact point. This proposed guidance law is similar to PNG in the form, but this guidance law concentrates a correction rate of flight path angle instead of the LOS (Line of Sight) rate. The correction of flight path angle is defined as the amount of impact point error. This impact point error can be calculated by neural networks rapidly. Finally, we show that the simulation results prove the suitability of this law.

Deceleration Method of Munition to used Soft Recovery System for Smart Munition (지능형 포탄의 저 감속 회수장치를 이용한 포탄의 감속방법)

  • Kim, Myoung-Gu;Cho, Chong-Du;Lee, Seung-Su;Yu, I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1-196
    • /
    • 2007
  • With the development of micro electronic circuits and optical equipment, the demand for developing smart munitions with the ability to autonomously search for and attack targets has increased. Since the electronic components within smart munitions are affected by high temperatures, pressure, and impulsive forces upon the combustion of gunpowder, stability and reliability need to be secured for them. Securing those stability and reliability requires soft recovery system which can decelerate smart munitions. A theoretical analysis of flow is performed for the secure recovery of bullets on the basis of Navier-Stokes equation for compressible fluids. The inner pressure on a pressure tube, the speeds of bullets, and the deceleration of munitions are calculated theoretically. Theoretic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data from the experiment with soft recovery system set up at the laboratory.

  • PDF

Dynamics of a projectile with an Additional 3 DOF Head (분리 가능한 탄두를 갖는 포탄의 동역학에 대한 기초연구)

  • Lee, Hyun-Chang;Park, Woo-Ch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200-20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포탄의 탄두를 본체와 분리, 움직임이 가능한 형태로 부착하여 탄착점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포탄의 탄착점은 대포의 형상, 제작공차, 제어시스템 그리고 발사체의 제작공차 등 여러 변수의 함수이다. 탄두를 분리하여 탄두부분이 추가적인 3자유도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그러한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시도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가변탄두를 갖는 발사체가 탄두부분의 피치(pitch)와 요(yaw) 회전운동을 통하여 발사 초기의 불확실성을 흡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미국의 화학무기 근대화계획

  • Kim, Yeong-Hwa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8 s.102
    • /
    • pp.32-38
    • /
    • 1987
  • 미상원 군사위원회는 87년 3월 25일 국방성의 베커원자력 담당차관보가 3월 23일 동위원회 전략.핵시스템 소위원회에서 증언한 의사록을 발표했다. 그것에 의하면 미국이 현재 개발.생산을 추진하고 있는 화학무기는 3종류가 있는데 FY 1991년까지 이를 모두 생산쳬제에 들어갈 계획을 분명히 하고 있다. 신형화학무기로는 155mm 포탄, Big Eye 폭탄, 다연장로케트탄의 세가지로 155mm 포탄은 현재 생산중이고, Nig Eye 는 실험중이며, 로케트탄은 개발중이라 한다. 화학무기근대화계획중 가장 중점이 두어진 것은 Big Eye 폭탄으로 소련군의 NATO 군에 대한 화학무리공격에 가장 효과적인 억지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

  • PDF

야전포병과 종말유도

  • Korea Defense Industry Associatio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5 s.41
    • /
    • pp.61-65
    • /
    • 1982
  • 공경중 적기갑부대 및 포병부대를 격파하는 야전포병에 대한 요구는, 현재로서는 현존의 탄종 사용으로 또는 불이한 힘으로서는 한정적으로 만족하는데 지나지 않다. 장갑목표, 즉 전차를 야포로서 물리치기 위하여는 게올그.돈하스중령이 기고한 내용과 같이 될수 있으면 신속히 부대에서 종말유도탄을 사용해야만 된다. 현존 전장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포탄은 cOPPERHEAD 종말유도 155MM탄이다. 이제까지 이 탄은 14,400만불의 비용으로 개발해서 현재는 10억불에 조달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90년대에는 지역사격에 투입되는 원자포탄의 집중공격으로 기갑부대의 격파가 처음으로 가능할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