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커스집단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6초

골관절염 노인의 운동지속 경험: 포커스 집단면접 (Experience of Exercise Maintenance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Focus Group Interview)

  • 이유미;박연환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experiences of exercise maintenance in elderly with osteoarthritis (OA). Methods: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9 older adults with OA who have been exercising for more than six months. Results: Two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the changing exercise in life's journey (exercise maintained by self and family affection, exercise maintained by social networking expansion, exercise changing for function and body-image and exercise changing for economic efficiency) and the exercise pervaded into the life (Exercise used as a side effect-free treatment, exercise internalized by will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exercise become daily routine habits). Conclusion: Despite the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aging and OA, participants made exercise a part of their lives by changing it to fit their own functions, abilities and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positive aspects of the overall situation and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and exercise based on the theory as well as the individual's overall fitness and limitations.

음주가정폭력행위자에 개입하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실무자의 실천경험 (Practitioners' Experience at the Community Addiction Management Centers on intervening Alcoholic-batterers)

  • 장수미;김주현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7호
    • /
    • pp.5-37
    • /
    • 2017
  • 본 연구는 음주가정폭력행위자에 개입하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실무자의 실천경험이 어떠했는지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15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포커스집단인터뷰, 개별인터뷰를수행한 녹취자료와 수퍼비전 및 자문, 워크샵 등을 통해 수집한 제반자료에 대하여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음주가정폭력행위자에 개입하는 실무자의 실천경험 영역에서는 상위범주로서 '음주가정폭력행위자에 대한 버거운 대응', '선 실천을 통한 역량강화', '난제해결을 위해 계속되는 고민들', '음주가폭 개입으로 인한 원하지 않은 변화'로 나타났다. 음주가정폭력 실천현장의 현실과 대안 영역에서는 '현장의 필요와 현실간의 괴리', '역량강화를 위한 구체적 필요'의 상위범주로 구분되었다. 이를 근거로 음주가정폭력행위자 개입에 필요한 효과적인 전략으로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라는 현장의 특수성을 반영한 실천적, 정책적,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음악치료 인턴들의 치료적 노래만들기 경험에 대한 주제분석: 포커스 그룹을 중심으로 (Thematic Analysis of the Therapeutic Song Writing Experience of Music Therapy Interns: A Focus Group)

  • 박찬양;김진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7권1호
    • /
    • pp.1-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인턴들의 치료적 노래만들기 경험을 심층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 인턴 다섯 명을 대상으로 경험적 음악치료 집단의 일환으로 치료적 노래만들기 워크샵을 240분씩 총 2회 진행한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들의 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자료를 Braun & Clarke(2006)의 방법으로 주제분석하여, 총 6개의 주제와 18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6개의 주제는 '치료적 노래만들기에 대한 선입견', '의미있는 작사 과정', '작곡에서의 도전적 경험', '치료적 노래만들기 기법의 구조성 경험', '음악을 통한 자기인식의 발전', '집단작업을 통한 관계적 경험'으로 나타났다. 음악치료 인턴들은 치료적 노래만들기의 단계적 구조를 통해 집단의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소통하면서 자신들의 이야기를 하나의 노래로 완성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들의 약점이라 느꼈던 작곡에 대한 부담감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욕구와 필요성을 인식하며 개인적 성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음악치료 인턴은 치료적 노래만들기 과정에 참여하면서 인턴훈련 과정에서 직면하는 도전을 규명할 수 있었고 더 나아가 개인적 성장과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여대생의 신체상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Perception on Body Ima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오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89-300
    • /
    • 2014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에 대한 인식을 그들의 시각에서 그 의미를 확인함으로써 긍정적인 신체상을 안정적으로 정립하는데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12년 10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수집하였고 수집방법은 포커스 그룹을 활용하여 심층면담 및 참여 관찰을 사용하였다. 각 포커스 그룹 별 구성원은 3명~4명으로 집단 구성원간의 친숙도를 고려하여 현상에 대한 진술이 포화되는 시점을 고려하여 경험의 진술이 반복되는 시점까지로 총 3개 집단, 10명이 참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Giorgi(1985)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참여자가 진술한 내용을 중심으로 확인한 여대생의 신체상 인식에 대한 의미구조는 12개의 주제와 5개의 중심의미로 분류하여 일반적으로 구조화하였다. 여대생의 신체상 인식에 관한 의미구조는 "건강한 성격", "건강한 신체", "인위적 몸 만들기", "사회적 편견", "이상적 신체를 향한 개성 존중"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여대생이 긍정적인 신체상을 정립하고 신체상 관련 건강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조화로운 대인관계를 맺는 기술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사회적 편견으로 인한 왜곡된 신체상에 대해 인식하고 자신만의 개성을 찾고 그 가치를 인식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정생활 적응 요인에 대한 연구 (Adjustment Factors for Family Life of Multi Cultural Family Couples)

  • 강기정;정천석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2호
    • /
    • pp.153-167
    • /
    • 2009
  • This research analyzes factors of family life adjustment in mixed-culture families through a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nine mixed-culture couples eighteen people who live in city C. First, the reason that women of other cultures wants to marry Korean men is because they find it a good opportunity, as they expect that Korean husbands will take responsibility of their family. On the other hand, Korean men also expect that they would have some similarities to each other. Also, in southeastern Asian men have more freedom than women to choose an international marriage in Southeastern Asia. Second, mixed-culture couples in everyday life are affected by communication problems, cultural differences, natural environment, financial situation, male -dominant attitude, self-adjustment pressure, house-work role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ir own country. Third, wives from other cultures ask for social support to adjust in Korea and make a healthy family. These women can be important, as they have their own role in the family even though they may be far from their mother in law's strong expectation in how well she can adopt Korean culture.

  • PDF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 송미숙;박경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43-52
    • /
    • 2018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의 의미와 그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결혼이주여성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5월 15일부터 7월13일까지 9명씩 2개의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은 한 집단 당 1회씩 시행하였다. 1회당 인터뷰는 1시간 30분에서 2시간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로 수집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모음(theme clusters)으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구조로는 '물과 기름', '자녀교육에 대한 욕심', '설상가상', '해결의 길을 따라 튼튼해지는 가족건강'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현장 인식 연구 -미디어를 중심으로- (Focus Group Interview for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utilizing the media)

  • 배수민;윤정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533-54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이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현장의 인식 탐색에 있다. 먼저,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의 실태와 인식, 요구에 대해 유아교육 전문가 로 교수 3인과 유아교육 현장 전문가로 유아교육기관 원장 1인, 원감 1인, 교사 1인을 대상으로 총 6인의 전문가 집단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로 첫째,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의 실태는 전자 칠판, 애니메이션 동요나 애니메이션 동화 등을 활용하여 교육을 하고 있다. 둘째,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으로는 유아들은 미디어 매체와 함께 자라고 있어 이를 단절시킬 수 없으니 유아교육기관에서도 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요구는 교사 교육 또는 연수, 예비 유아교사에게 교육을 함으로써 바람직하게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추후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빈곤부모의 역량강화 경험 연구 -위스타트 사례관리 대상 부모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mpowerment Experience of Parents in Poverty -An Example of Parents Participating in the We Start Program-)

  • 허남순;허소영;고윤순;이경욱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167-199
    • /
    • 2012
  • 본 연구는 빈곤부모의 역량강화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스타트 사례관리 대상 부모를 대상으로 포커스 집단면접과 개별면접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부모의 역량강화과정은 '막다른 상황에서 고립되고 무력해짐', '관심과 존중받으며 함께 해결함', '희망가지고 자녀 양육함', '적극적으로 세상속으로 들어감'의 4단계로 나타났다. 둘째, 역량강화의 의미는 '희망을 가지고 자녀를 양육하고 적극적으로 세상 속으로 들어감'이며, 셋째, 역량강화 결과 개인차원의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차원의 자녀관계 개선과 원조전문가와의 협력관계, 지역사회 차원의 자조모임과 봉사활동 참여가 나타났다. 넷째, 역량강화의 주요한 계기는 '원조전문가와 신뢰관계를 맺고 도움받기'와 '자녀의 변화'이다. 다섯째, 원조전문가의 적극적 관계형성과 정확한 정보제공이 역량강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빈곤가족과 일하는 현장에서 빈곤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산재장애인을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Empowerment Program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 김미옥;김연수;김희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307-332
    • /
    • 2009
  •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이 우울, 불안 및 심리적 좌절감 등을 극복하고 보다 긍정적인 자아 이미지로,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찾아 임파워링(empowering)될 수 있도록 돕는 집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산재장애인에 대한 직접서비스를 제공하는 재활상담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였으며, Miley 외(1995)의 임파워먼트 모델을 적용하여 요양환자용과 치료종결자용의 두 가지 유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요양환자용과 치료종결자용 프로그램을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된 연구대상자에게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임파워먼트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하위영역 중 자아 이미지 영역의 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되어 개발된 프로그램이 산재장애인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은 개별상담 중심의 산재장애인에 대한 개입을 집단사회복지실천으로 확대한 점, 임파워먼트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실제 집단프로그램으로 개발한 점, 산재장애인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향상시킨 점 등 그 실천적 함의가 크다.

  • PDF

고엽제 노출 경험과 우울 및 삶의 질: 통합방법론 (Experience of Agent Orange and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Mixed Method)

  • 주은우;이재신;김수경;차태현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4호
    • /
    • pp.33-43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통합방법론을 이용하여 고엽제 환자의 우울 및 삶의 질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D병원에 입원한 고엽제 환자 29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우울, 삶의 질과 29명의 대상자 중 1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통합방법론은 모형 중 Teddlie와 Tashakkori(2003)가 제시한 순차적 통합설계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 및 백분율로 산출하고 우울 및 삶의 질은 기술통계 분석, 포커스그룹 면담은 내용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고엽제 환자의 우울 및 삶의 질은 순차적 통합설계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고엽제 환자의 연령은 75세~79세(58.6%)가 가장 많았고, 70~74세(34.3%), 85세 이상(3.4%), 65~69세(3.4%) 순이었다. 고엽제 환자의 우울은 19.24점, 삶의 질은 평균 57.66점으로 나타났다. 포커스그룹 면담 결과 3가지의 주제와 7개의 구성 요소, 14개의 하위구성 요소로 3가지의 주제는 "파병 경로", "고엽제 노출 경로", "고엽제 노출 이후의 삶"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통합방법론을 이용하여 선행연구들과는 차별되게 고엽제 환자의 우울 및 삶의 질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향후 고엽제 환자의 우울 및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신체활동이 포함된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와 사회적 관심과 제도적 지원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