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접화합물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1초

새로운 오메프라졸염의 약효검색에 관한 연구

  • 이영근;이송득;김승희;박윤주;강석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02-302
    • /
    • 1994
  • 오메프라졸의 산 불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신규 합성한 오메프라졸 cholestyramin resin 염 복합체와 오메프라졸 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HP-$\beta$-CD) 포접화합물의 약효를 검색하였다. 생체외 실험 (in vitro test)으로 H$^{+}$/K$^{+}$-ATPase 활성도 저해효과를 검토하였으며 생체내 실험 (in vivo test)으로 Shay 결찰법에 의한 위산분비 억제효과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오메프라종 염 복합체와 오매프라졸 포접화합물은 1$\times$$10^{-5}$-1$\times$$10^{-3}$M농도 범위에서 용랴의존적으로 H$^{+}$K$^{+}$-ATPase 활성을 억제시켰으며 $IC_{50}$/치는 오메프라졸 결과와 유사하였다. 셍체네 실험에서는 오메프라졸 HP-$\beta$-CD 포접화합물이 오메프라졸과 그 resin염복합체보다 위액분비량, 펩신 활성도에 대한 $IC_{50}$/치가 낮았으며 이는 생체내에서 포접 화합물이 오메프라졸의 안정성을 증가시킴으로서 위산분비 억제효과를 증가시킨것으로 사료된다.

  • PDF

TMA 농도에 따른 포접화합물의 냉각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oling Characteristics of Clathrate Compound with Concentration of TMA)

  • 김진흥;정낙규;김창오
    • 에너지공학
    • /
    • 제14권1호
    • /
    • pp.18-23
    • /
    • 2005
  • 본 연구는 저온축열물질로서 TMA(Tri-methyl-amine, (CH₃)₃N)를 20~25 wt%로 포함하고 있는 TMA-물계 포접화합물의 냉각특성에 대하여 냉열원온도 -5℃에서 실험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TMA의 질량농도가 증가할수록 상변화온도와 비열이 증가하였으며, 과냉도가 감소하고 액상유지시간이 단축되었다 특히, TMA 25wt%를 포함한 TMA-물계 포접화합물은 상변화온도 평균 5.8℃, 과냉도 8.0℃, 액상유지시간 10분, 비열 4.099kJ/kg℃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TMA-물계 포접화합물은 물보다 높은 상변화온도를 나타내었으며, 과냉도가 감소하고, 액상유지시간이 단축되는 과냉각 억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고분자/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 화합물로 이루어진 고분자 혼성체 필름의 물성 및 구조에 미치는 게스트 분자의 영향 (Effect of Guest Molecules on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mer/beta-Cyclodextrin Inclusion Compound Hybrid Films)

  • 배준원
    • 공업화학
    • /
    • 제32권5호
    • /
    • pp.504-50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게스트 분자(guest molecule)의 특성이 고분자/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포접화합물(inclusion compound)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의 구조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게스트 분자는 미백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알려진 3가지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HQ), 알부틴(arbutin, AB), 그리고 트랜액사믹 애시드(tranexamic acid, TA)이다. 먼저,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과 게스트 분자 간의 포접화합물의 성공적인 형성과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여부를 라만(Raman) 분광학으로 확인하였다. 포접화합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의 구조 및 물성은 엑스선 회절법(X-ray diffraction)과 주사열용량법 및 열중량추적법 같은 열분석법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트랜액사믹 애시드의 영향이 다른 분자의 영향과 비교하여 상당히 상이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간단한 분자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재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포접화합물을 형성하는 게스트 분자들의 상이한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통한 실험적 검증의 사례로 향후 관련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접화합물의 열물성에 미치는 첨가제의 효과 (II) -TMA 물계 포접화합물에 Ethylene Glycol을 첨가한 경우-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a Clathrate Compound (II) -The Case of Ethylene Glycol-)

  • 정낙규;김진흥;김창오;김광일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499-505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ercooling repression on the TMA clathrate by adding ethylene glycol. For this purpose, phase change temperature, supercooling, specific heat, latent heat and rate of volume change were measured and evaluated experimentally for heat source temperatures of -6$^{\circ}C$, -7$^{\circ}C$, -8$^{\circ}C$. The results show that supercooling was decreased. Thu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the increase of coefficient of performance of low temperature thermal storage system in the building.

포접화합물의 열물성에 미치는 첨가제의 효과 (IV) - TMA 물계 포접화합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경우 - (The Effects of an Additive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a Clathrate Compound (IV) - The Case of TMA Clathrate Compound with Surfactant -)

  • 정낙규;김진흥;김창오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12호
    • /
    • pp.1212-1217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effect of a small portion of surfactant on the supercooling and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of TMA 30 wt% clathrate compound when surfactant is added to the clathrate compound. Th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concentration of additive ranges between 0.08~0.12 wt% and the temperature of heat source ranges between -8 and -6$^{\circ}C$.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with the surfactant of 0.1 wt% is lower by 1$^{\circ}C$ than TMA 30 wt% and the supercooling is reduced by 1$0^{\circ}C$.

포접화합물의 열물성에 미치는 첨가제의 효과(I) -TMA 물계 포접화합물에 Ethanol을 첨가한 경우-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a Clathrate Compound(I) -The Case of Ethanol-)

  • 김진흥;정낙규;김석현;김창오;강승현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258-264
    • /
    • 2004
  • The ice thermal storage system is to use consolation latent heat of water. But, supercooling phenomenon of water during phase change is to increase the cooling capacity and to decrease COP of the refrigerator. Furthermore, this causes the operation cost of system to increase and the efficiency of energy to decrease. Therefore, the better thermal storage material than the water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upercooling characteristics and thermal properties of TMA 30wt% clathrate by using Ethanol.

Nitrobenzene을 guest로 포접한 3차원 금속착체 포접화합물의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Metal Complex Inclusion Compound Clathrated Nitrobenzene Guest)

  • 박기민;박상윤;이욱;이와모토 토시타케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509-514
    • /
    • 1996
  • 3차원 금속착체 포접화합물 $Cd(pn)Ni(CN)_4{\cdot}0.5NO_2C_6H_5$(pn: 1,2-diaminopropane=propylenediamine)은 사방정계 공간군 $Pn2_1$a로, a=13.868(5), b=26.591(4), c=7.840(1)${\AA}$, V=2891(1)${\AA}^3$, Z=4이며, 28000개의 독립적인 회절반점에 대한 R값은 0.054이다. 이 포접화합물의 host구조는 가지 달린 지방족 guest 분자를 포접한 포접화합물의 host 구조(T-type)와 같다. Nitrobenzene guest 분자는 T-type의 nodal형 턴넬속에 안정하게 포접되는데, 이는 node 위치체 pn-amino group이 놓이고, antinode 위치에 부피가 큰 방향조 고리가 놓이며, 이들 사이에 극성인 nitro group이 있기 때문이다. 턴넬형의 포접골간을 갖는 금속착체 $Cd(pn)Ni(CN)_4$의 host 구조가 가지 달린 방향족 guest 분자를 포접하고 있다.

  • PDF

포접화합물의 열물성에 미치는 첨가제의 효과 (III) - TMA 물계 포접화합물에 Acetone을 첨가한 경우 - (The Effects of an Additive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a Clathrate Compound (III) - The Case of TMA Clathrate Compound with Acetone -)

  • 김진흥;정낙규;김석현;김창오;강승현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12호
    • /
    • pp.1183-1189
    • /
    • 2004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s conducted to measure phase change temperature and supercooling when acetone is added to TMA 30 wt% clathrate during cooling process in heat source. Also rate of volume change is investigated when acetone is added to TMA 30 wt% clathrate during the cooling process in heat source -8$^{\circ}C$. The results show that phase change temperature is about 4.5~5.5$^{\circ}C$ when acetone is added to TMA 30 wt% clathrate during the cooling process for heat sink temperature of -6, -7$^{\circ}C$ and -8$^{\circ}C$. Supercooling is repressed about 2~1$0^{\circ}C$ when 0.08 wt% acetone is added to it and rate of volume change is decreased about 2.9% when 0.1 wt% acetone is added for the heat sink temperature of -8$^{\circ}C$.

첨가제에 의한 TMA의 냉각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ling Characteristics of TMA by an Additive)

  • 정낙규;김진흥;김창오;강승현
    • 에너지공학
    • /
    • 제14권2호
    • /
    • pp.117-12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TMA $25\;wt\%$-물계 포접화합물에 첨가제를 첨가하며 상변화온도, 과냉도, 비열 그리고 체적변화율의 냉각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된 첨가제는 에탄올 이며, 냉열원온도는 $-7^{\circ}C$이다. 실험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1) 상변화온도는 $25\;wt\%$-물계 포접화합물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냉각과정동안 $0.32\~0.96^{\circ}C$가 상승되었다. 2) 과냉도는 TMA $25\;wt\%$-물계 포접화합물에 에탄올 $0.5\;wt\%$를 첨가한 경우에 $0.9^{\circ}C$가 억제되었다. 3) 비열은 TMA $25\;wt\%$-물계 포접화합물에 에탄올 $0.1\;wt\%$를 첨가한 경우에 $0.19\;kJ/kg^{\circ}C$가 증가하였다. 4) 체적변화율은 TMA $25\;wt\%$-물계 포접화합물에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에 $1.15\~l.5\%$가 감소하였다.

새로운 오메프라졸염의 개발 및 제제화 연구

  • 이계주;이기명;이창현;우종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29-329
    • /
    • 1994
  • OMZ과 HP-$\beta$-CD 포접화합물의 유형은 $A_{L}$ type의 가용성 복합체이며, CD, UV, IR, DSC, XRD pattern 및 $^1$H-NMR 방법으로 측정한 포접화합물의 결함형태는 OMZ의 benzimidazole부분이 HP-$\beta$-CD 공동에 포접된 형태이었고, OMZ과 HP-$\beta$-CD의 결합조성몰비는 1:1, 안정도 상수는 약 34 M$^{-1}$이었다. 또한 cholestyramine 수지와 OMZ 복합체는 방출양상이 신속하였다. OMZ-cholestyramine 수지염은 안정성이 양호하고 용출율이 우수한복합체로 경구용 재제를 개발할 수 있었으며, 용출시험 및 산 저항성이 양호하고 pellet의 제조에 있어서 core의 제조는 정제수 : 에탄올(7: 3) 결합액을 이용하여 lactose를 주로 사용하고 기타 PEG 6000, sorbitol, Avicel PH101, sodium lauryl sulfate 및 무수 PVP K-30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조하고, 장용코팅의 내산성은 90.5% 이었으며, 소장에서의 용출경향이 85%이상이 10분 이내에 용출되어 규정에 적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