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장방제가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23초

오디 생산용 뽕나무에서 뽕나무이 발생소장과 친환경 방제 (Seasonal Occurrence And Environment-Friendly Control Of Mulberry Sucker, Anomoneura Mori, On The Mulberry Grown For Fruit Production)

  • 문형철;임주락;김동완;권석주;한수곤;김정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83-388
    • /
    • 2016
  • 전북 부안지역에서 오디용 뽕나무에 발생하는 뽕나무이의 발생 양상과 친환경자재에 의한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뽕나무이 월동 성충은 3월 하순부터 5월 중순까지 뽕나무 포장으로 비래하였으며 발생최성기는 4월 중순이었다. 알은 4월 중순부터 관찰되었으며 약충은 5월 상순부터 부화하기 시작하여 5월 중순에 발생피크를 나타냈다. 신성충은 6월 상순부터 관찰되었으며 이후 비산하여 6월 중순 이후에는 뽕나무 포장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뽕나무이의 발생소장에 의한 방제 적기로 월동 성충은 4월 중순, 약충은 5월 상순으로 판단되었다. 뽕나무이 약충 방제에 고삼 추출물과 데리스 추출물이 효과적이었으며, 뽕나무 포장에서 뽕나무이 약충 방제적기에 데리스 제제를 5일 간격으로 2~3회 처리한 결과 방제 효과가 높았다.

식물추출물에 의한 벼 도열병균(Magnaprothe oryzae)의 ABC transporter발현 억제 및 포장에서의 방제

  • 주명호;여유미;최필선;이재혁;양광열;이영진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7-37
    • /
    • 2019
  • 벼 재배포장에서 화학약제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병원균의 약제내성과 환경오염은 커다란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약제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유전자수준의 약제내성기작의 규명과 대체물질의 발굴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물종이 지니는 광범위한 다양성에 주목하였고, 700여 종의 식물추출물을 벼 도열병균에 처리해 균사성장억제효과를 조사하는 선별실험을 실시하였고, 영릉향과 지모추출물이 높은 균사성장억제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영릉향과 지모 추출물이 화학약제를 대체하는 대안물질로서 가능성을 조사하기위해 균사성장억제능력 확인실험, 분획,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포자발아 및 부착기 형성확인검정, ABC transporter의 발현조사, 환경독성실험등을 실시했다. 실험 결과, 영릉향과 지모 추출물을 벼 도열병균에 처리하였을 때 약제저항성유전자 ABC transporter의 기능이 저하되고 화학약제에 대한 내성이 감소를 확인했으며, 분획과 HPLC분석을 통해 영릉향과 지모의 유효성분을 확인했다. 또한, 실제 포장에서 영릉향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을 사용하여 벼 도열병 방제가를 확인하는 포장시험을 실시한 결과, 각각 63%와 62%의 목 도열병 방제가를 확인 하였으며, 인축환경에 대한 유해성을 조사하기 위해 어류, 설치류, 중치류, 곤충을 대상으로 영릉향 추출물을 처리해 급성독성시험 실시한 결과, 고농도의 투여량에서도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 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영릉향과 지모추출물이 화학농약에 의한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고, 인축과 환경에 피해를 입히지 않는 친환경자재로 친환경적인 생물농약의 신소재로서 가능성을 나타냈다고 사료된다.

  • PDF

감자 더뎅이병 화학적 방제 (Effect of Soil and Tuber Disinfection on Potato Common Scab(S. scabies) in Jeju Field Conditions)

  • 홍순영;강영길;함영일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38-141
    • /
    • 2004
  • 제주지역 감자재배포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더뎅이병의 방제대책 마련을 위해 2001년에 더뎅이병의 화학적 방제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토양소독처리만 한 결과 방제가가 40.5%로 효과가 저조했으며, 종서소독을 한 결과는 토양소독처리보다 더 방제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감자 연작 재배지의 병원균 밀도가 높은 곳에서는 단기적으로 토양소독과 씨감자소독을 병행함으로서, 토양소독 단독처리에 비해 방제가가 15∼27% 높일 수 있어 현재로서는 가장 확실한 방제법이라고 생각된다.

살균제 나무주사를 이용한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Fungicide Injection on Oak Wilt in the Field)

  • 손수연;서상태;박지현
    • 식물병연구
    • /
    • 제20권4호
    • /
    • pp.295-298
    • /
    • 2014
  • 참나무 시들음병(병원균 Raffaelea quercus-mongolicae)은 2004년 국내에 처음 발견되어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를 위한 나무주사용 살균제를 선발하기 위해 실내시험과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검정에서는 10종의 살균제와 1종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국내균주 R. quercus-mongolicae와 일본균주 R. quercivora에 대한 생육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국내균주에 대해서는 chlorothalonil, benomyl, propiconazole 순으로 생육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균주에 대해서는 propiconazole, benomyl, bitertanol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균주와 일본균주에 대하여 실내 항균효과가 우수하였던 약제 중 침투이행성이 우수한 propiconazole을 이용하여 약제방제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나무주사 처리 당해 연도 방제효과는 87.5%, 처리 다음 연도 방제효과는 66.7%까지 나타나 약제처리 효과는 적어도 1년 이상이었다.

갈대(Reed, Phragmites communis Trin.)의 방제를 위한 제초제 스크리닝방법의 확립 - II. Tetrapion 의 효과 (Establishment of Herbicide Screening Methods for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Control - II. Tetrapion Effect)

  • 황인택;최정섭;이희재;김기주;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8-35
    • /
    • 1996
  • 갈대방제용 선택성 제초제를 스크리닝하기 위한 대조약제로서의 tetrapion의 특성을 온실 및 포장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1. Tetrapion을 처리한 식물은 잎이 휘면서 황화되고 생장이 억제되는 증상을 나타내었는데 처리농도가 높을 때에는 식물체 전체가 고사되었다. 2. Tetrapion은 목화를 제외한 모든 작물에 심한 약해를 일으켰으며 벼에 대해서는 직파 벼나 이앙벼의 경우 모두 약해를 일으켰다. 3. Tetrapion의 효과는 광엽 잡초보다 화본과 잡초에 대해 크게 나타났다. 4. Tetrapion은 경엽처리시보다 토양처리시에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5. 포장실험시 tetrapion의 갈대방제효과는 처리시기와 포장의 토성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으며 40kg/ha 이상의 고농도로 tetrapion을 처리하였을 경우에 갈대가 효과적으로 방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억새의 경우에서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6. Tetrapion은 온실에서 키운 갈대에 대해 토양 및 경엽처리시 모두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갈대방제용 제초제의 스크리닝에 사용할 수 있는 대조약제로서의 가치가 있었다.

  • PDF

해충 방제를 위한 곡물의 포장방법 및 인화늄 정제의 효과 (Effects of Packing Methods and Fumigation of Phosphine for Control of Rice Weevil(Sitophilus oryzae))

  • 김영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65-269
    • /
    • 1989
  • 쌀 포장을 밀봉함으로서 해충 방제 효과와 최적 인화늄 훈증 농도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가마니, PP대, 종이 포대에서는 쌀바구미가 증가되었으나 0.1mm PE 밀봉과 완전 밀봉한 병에서는 저장후 60일에 완전히 사멸되었으며 품질 변화도 적었다. 곡물 $m^3$당 1 정(錠)의 인화늄 정제를 0.15mm 두께의 PE film으로 복포하여 훈증함으로써 쌀바구미를 완전히 사멸할 수 있었다.

  • PDF

우리나라 감귤 주요 병의 최근 발생 동향 (Current Status of the Occurrence of Mandarins in Korea)

  • 고영진;송장훈;권혁모;문덕영;문두길;한해룡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66-470
    • /
    • 1996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감귤에 발생하는 주요 병의 최근 발생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995년과 1996년 조사 포장에서 12종의 병해가 확인되었는데 그 중에서 검은점무늬병, 더뎅이병 및 잿빛곰팡이병이 감귤 재배에서 주요 병해로 밝혀졌다. 1995년과 1996년 무방제 포장에서 조사한 더뎅이병의 이병과율은 89.0∼100%, 검은점무늬병의 이병과율은 99.0∼99.5%인 반면에 잿빛곰팡이병의 이병과율은 23.0∼24.0%였다. 한편 더뎅이병과 검은점무늬병은 발병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약제 방제가 비교적 잘 되지만 잿빛곰팡이병은 노지에 비해 비닐하우스에서 발생이 많고 약제 방제가 잘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과거 주요 병해였던 궤양병은 지금은 경미한 피해를 주는 병해로 전환되어 온주밀감 수출단지가 아닌 일부 재배지에서만 경미하게 발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매실 복숭아씨살이좀벌에 대한 유기농업자재 선정 및 방제적기 (Eco-friendly Materials Selection and Control timing to Eurytoma maslovskii in Japanese Apricot)

  • 조영식;송장훈;최진호;최장전;김명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3-130
    • /
    • 2016
  • 실내에서 복숭아씨살이좀벌 성충 침적법으로 유기농업자재에 의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2014년에 'Extract of Sophora flavescens roots'가 84.7%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Extracts of Neem II' 등 5개 자재는 100%의 살충률을 보였고, 2015년에 'Plant extract Matrine 0.5%+paraffin oil 8%'와 'Plant extract+pyrolignous acid Matrine 0.45%'가 각각 100, 94.6%의 보정살충율을 보였는데, 광양 다압 지역에서의 방제효과가 2014년과 2015년 4년 4월 21일에 살포시 방제효과가 좋아 실내와 포장에서 처리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고, Plant extract Matrine 0.5%+paraffin oil 8%'도 2015년에 실내와 포장에서의 살충효과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한편, 유기농업자재 살포시기에 따른 방제효과는 대체로 광양 다압 농가에서는 4월 하순 살포가, 순천 황전 농가에서는 4월 하순~5월 상순에 살포하는 것이 방제효과가 좋았는데, 광양 다압에서 2015년에 4월 21일과 27일 각각 1회씩 살포한 것과 2회 살포한 시험수에서 방제효과 차이는 없었으나 순전 황전 지역의 농가에서는 2회 살포한 시험수에서 방제 효과가 더 좋았다. 따라서, 유기재배 매실에서 살충효과가 있는 유기농업자재의 사용은 4월 중하순에 2회 이상 방제가 필요하고, 피해 양상이나 주변의 여건에 맞추어 방제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살균제와 미생물제 처리시기에 따른 딸기 잿빛곰팡이병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Gray Mold on Strawberry Fruits by Timing of Chemical and Microbial Fungicide Applications)

  • 남명현;김현숙;이원근;;김홍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2호
    • /
    • pp.151-155
    • /
    • 2011
  • Botrytis cinerea에 의한 딸기 잿빛곰팡이병은 최대 50%까지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는 딸기의 주요 병해이다. 약제살포시기는 잿빛곰팡이병의 성공적인 방제를 좌우하는 필수적 요소이다. 딸기 '설향' 품종에 대한 잿빛곰팡이병 방제효과 검정을 위해 fenhexamid + imonoctadine tris, cyprodinil + fludioxonil, Bacillus subtilis QST713을 ex vivo에서 개화전, 개화기, 미착색과, 성숙과 단계부터 처리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설향' 품종을 공시하여 ex vivo와 재배포장에서 cyprodinil + fludioxonil 혹은 fludioxonil을 저온($0^{\circ}C$, 5시간) 전후 처리하여 잿빛곰팡이병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딸기 꽃과 성숙과실은 미착색과실보다 B. cinerea에 더 감수성이었다. ex vivo에서 개화단계별 약제방제효과는 fenhexamid + iminoctadine tris는 개화직전과 개화기, cyprodinil + fludioxonil은 개화기에 효과적이었으나 Bacillus subtilis QST713은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다. 2010년 딸기 잿빛곰팡이병 방제효과는 fludioxonil을 개화기에 1주일 간격으로 2회 처리시 효과적이었다. 딸기 'Redpearl'과 '설향' 품종은 '매향'과 'Akihime' 품종보다 저온에 더 감수성이어서 주의를 요했으며 cyprodinil + fludioxonil을 저온처리 전에 살포시 90%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2010년 재배포장에서 잿빛곰팡이병 방제효과는 저온 발생 전 혹은 저온 발생 후 1주일 간격 2-3회 fludioxonil처리가 효과적이었다. 이런 결과로 딸기 잿빛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약제의 효과적인 처리시기는 개화와 저온이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합성 성페로몬에 의한 파밤나방의 방제. II. 교미교란에 의한 방제 (Control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Lepidoptera: Noctuidae), using Synthetic Sex Pheromone. II. Control Using Mating Disruption dispensers in Field)

  • 박종대;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9-173
    • /
    • 1995
  • 파밤나방의 합성 성페로몬의 교미교란 효과를 이용한 방제 기능성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3년 부터 1994년까지 2년간 야외포장에서 검정한 결과 충의 밀도는 '93년에는 무처리에 비해 외대파에서 1.9%, 고추에서는 12.5%, 감자에서는 4.4%정도이었으며, '94년에는 외대파 처리면적 10 ha, 20 ha 에서 각각 5.9%, 5.2% 수준이었다. 또한 작물별 피해율은 '93년에 외대파 0.2%, 고추와 감자에서는 0.0%이엇고 '94년에는 10ha에서 16%, 20ha에서 3.0%로 낮게 조절되었다. 처리면적에 따른 방제효과는 10월까지 10ha에서 80%, 20 ha 에서는 90% 수준을 유지하여 1회처리로 방제가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