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포자수

Search Result 67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저질내의 와편모조류 휴면포자 계수방법 비교 연구

  • 박기홍;김창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29-129
    • /
    • 2003
  • 해양저질에서 휴면포자의 분포와 분포량에 대한 조사는 미래의 와편모조류 적조발생 시기나 장소를 예측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저질내의 휴면포자를 찾고 분리하는 기술이 기본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지금까지 여러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휴면포자 계수방법들을 비교함으로써 연구의 효율을 제고 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실험에서는 새만금 해역의 동일정점 저질내에 존재하는 휴면포자를 형광 염색하여 계수하는 Primuline 염색법, 해수, 휴면포자, sodium polytungstate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밀도구배원심법으로 분리하는 방법, 그리고 10% HCl로 탄산질을 제거하고 47% HF로 규산질을 제거한 뒤 휴면포자를 계수하는 고전적 계수방법 (palynological technique)을 사용하여 저질 내의 휴면포자를 분리 비교하였다. Primuline 염색법을 이용하였을 경우 Alexandrium famarense/catenella complex, Alexandrium sp. (spherical), Gonyaulax verior, Gonyaulax scrippsea, Gonyaulax spinifera complex등의 일부 종만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sodium polytungstate를 비중 1.3 g$cm^{-3}$으로 조정한 후 휴면포자를 분리한 밀도구배 원심법은 생물에 거의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발아가 가능해 휴면포자와 영양세포간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계수에 있어서는 재현성이 떨어졌다. 반면 Palynological technique은 발아는 되지 않지만 석회질 벽을 가지는 휴면포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들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실험 목적별로 휴면포자 계수방법을 달리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발아실험을 할 경우에는 밀도구배원심법을, Alexandrium과 같은 특정종의 계수목적시에는 Primuline 염색법을, 정점 내 정확한 종 분포 파악을 위해서는 palynological technique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종분포 파악시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좀더 신속하고 정확한 실험을 위해 분자생물학적인 기법들이 요구된다.

  • PDF

Population Changes of Arbuscular Mycorrhizal Spores in the Different Soil Environments (환경변화에 따른 내생균근 포자증식의 변화)

  • Lee, Seok-Koo;Eum, An-Heum;Lee, Sang-Sun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20 no.2
    • /
    • pp.134-143
    • /
    • 1992
  • The association of soil environments and sporul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e was investigated using pot cultures. Increased arbuscular mycorrhizal spores as well as the better growth of the host plants were observed when sorghum (Sorghum bicolor) was treated with different soil conditions using several fertilizer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For to five fold increase of sporul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e was noticed depending on the mycorrhizal species.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arbuscular mycorrhizae species and the conditions of soil environments, maximum populations of spores were reached at about 30-40 days after cultivation. The populations of four arbuscular mycorrhizal species was individually fluctuated. Also, the growth rate of host plants were different from the fertilizers over 2-3 times, but the increase of spores were not influenced by it.

  • PDF

Trials for Developing the Measures to Reduce the Inoculum Sources of Apple White Rot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전염원 경감법 개발을 위한 시도)

  • 김대희;김이부;엄재열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2
    • /
    • pp.219-255
    • /
    • 1996
  •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주 전염원은 가지 병반에서 형성되는 자낭포자 및 병포자이므로, 가지에서의 포자형성 또는 포자의 분산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으로 저해할 수만 있다면 효과적으로 병을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전염원을 줄이기 위한 첫 번째 시도로 1992년 이른봄 가지에 형성된 사마귀를 호미로 제거한 결과, 병포자의 분산과 과실발병 억제효과에 있어서 무처리와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두 번째 시도로 포자의 분산을 막기 위해 1993년 이른봄에 겹무늬썩음병에 걸린 가지를 비닐필름으로 감고 5월부터 9월까지 20일 간격으로 살균제를 살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는 병 방제효과가 있었고, 나무의 생육에 있어서도 콜크층이 이상 비대하는 것 이외에 별다른 이상이 없었다. 이 개념을 더욱 발전시켜 1994년 이른봄에는 병든 가지를 수용성 고분자 물질인 polyvinyl alcohol로 도포하고 수배 분산 포자의 수를 조사한 결과, 포자의 분산량이 크게 줄어져 실용화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The Changes of Bacillus spp.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 B3 process. (B3 공법을 사용하는 하수종말처리장에서 Bacillus 속 세균의 변화)

  • 안태석;홍선희;김옥선;유재준;전선옥;최승익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37 no.3
    • /
    • pp.209-213
    • /
    • 2001
  • By FISH and spore staining methods, the changes of Bacillus spp. numbers were investigated at municipal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which operated with B3 process. Total bacterial numbers, which is the sum ofDAPI bound cells and numbers of spore, were ranged TEX>$3.2{\times}10^8 ~ 4.4{\times}10^8 $ cells/ml. The Bacilli numbers whichis the sum of probe S-G-Bacill-0597-a-A-22 bound cells and numbers of spore were from $0.3{\times}10^7 ~ 8.4{\times}10^7 $ cells/ml. The ratios of Bacillus sp. to total bacteria were ranged from 8 to 60%. Among 4 aeration tanks, thefirst tank had shown the highest proportions of Bacillus sp. And third and fourth tanks, the numbers of sporewere increasing.

  • PDF

Supplemental knowledge on survival of Thelohanellus kitauei spores in vitro (In vitro에서 Thelohanellus kitauei 포자의 운명에 관한 지견보유)

  • 이재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2 no.1
    • /
    • pp.57-60
    • /
    • 1994
  • In order to search the fate of Thelohonellus kitauei spores the extrusion rates of the polar filaments were monitored in uipo chronologically. Preserved spores suspended with various solutions at $-70^{\circ}C$ showed almost the same vigorous pattern as early freezing stages up to 1,750 days after initial preservation. It revealed that the vlabllltles of some spores suspended with 0.45% and 0.9% NaCl solutions and distilled water at $5^{\circ}C$ continued for 1,628 days, 1,614 days and 1,721 days, respectively. And, the life spans of some spores in the previous solutions added with antibiotics at $5^{\circ}C$ were 1,628 days, 1,614 days and 1,714 days, respectively. Key words: TheLohanellus kitnuei, spore, extrusion rate of polar filament, life span

  • PDF

The Destruction of Bacterial Spores Upon Compressional Pressure (타정 압력에 의한 세균포자의 파괴현상)

  • Lee, Cherl-Ho;Kim, Young-Man;Lee, Jung-Chi;Jung, Pil-Keu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12 no.4
    • /
    • pp.272-277
    • /
    • 1980
  • The tolerance of useful bacterial spores to the conditions of tablet making, specifically, the destruction of bacterial spores upon compressional pressure was investigated. The damage of bacterial spores occurred mainly during the tabletting. The bacterial spores obeyed a logarithmic destruction rate upon compressional pressure. The spore destruction rate was dependent upon the strains of microorganism. The Decimal Reduction Pressure, designated as P-value, were $2.9\;ton/cm^2$, $2.6\;ton/cm^2$ and $2.1\;ton/cm^2$ for the spores of Bacillus subtilis, Bacilus coagulans and Clostridium butyricum, respectively, and $1.7\;ton/cm^2$ for the vegetative cell of Streptococcus faecalis. The spore destruction upon compressional pressure was influenced by the type of filler. The P-value of the spore of B. coagulans was $2.8\;ton/cm^2$ in the lactose filler, but $2.0\;ton/cm^2$ in the starch filler. The number of viable spores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hardness and density of tablet, in case that the same type of filler was used. The starch filler, which resulted in the lower hardness and lower density of tablet, caused higher spore destruction rate compared with the lactose filler.

  • PDF

Organ Fossils of Neocalamites carrerei from the Amisan Formation of the Nampo Group, Korea (남포층군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Neocalamites carrerei의 기관화석)

  • Kim, Jong-Heon;Roh, Heon-S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6
    • /
    • pp.466-473
    • /
    • 2008
  • This study deals wit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organ fossils of Neocalamites carrerei such as rhizomes, aerial leafy stems, and cones collected in situ from the Amisan Formation of Nampo Group. Judging from the size of some extant Equisetum and paleoclimate of Daedong flora, it is considered that the size of Neocalamites carrerei was probably very large. The cone of Neocalamites takahashii (Kon'no)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eaves of Neocalamites carrerei. It indicates that two organ fossils mentioned above probably belong to the same species. Comparing with very abundant occurrence of aerial leafy stems and rhizomes in the Amisan Formation, cones are very rare. This fact implies that Neocalamites reproduce not only by spore reproduction, but also by asexual reproduction. Neocalamites largely differ in the leaf form and size from Equisetum.

Effects of Light on Reproduction of Gibberella zeae and Overwintering of Soil-Borne Conidia (밀붉은곰팡이병균의 분생포자 및 자낭각 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영향 및 토양에서의 분생포자월동)

  • Kim Hee Kyu;Chung Hoo Sup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11 no.1
    • /
    • pp.31-35
    • /
    • 1972
  • 1. Continuous light induced more conidia than alternating light and darkness treatment in isolate Chinju 1. Isolate Suwon 3 produced much more conidia on synthetic medium than Chinju 1 in light. Conidial formation in Suwon 3 increased remarkably with alternate light and darkness in 8 days incubation. 2. Light was essential for perithecial formation in Chinju 1. No matured perithecia were observed in Suwon 3 with any treatment. Abundant perithecia were produced in Chinju 1 but only perithecial initiation occurred in Suwon 3. Suwon 3 produced significantly more conidia than Chinju 1, while perithecial formation was reversed. 3. Conidial numbers in soil decreased significantly through the winter at 10, 30 and 50 per cent soil moisture, with the most striking decrease at 10 per cent levels, but the number recovered again beginning in March, regardless of the soil moisture. The above results provide us a useful clue to support the possbility the conidia may serve as a primary inoculum.

  • PDF

바실러스에 의한 중금속 제거 및 EPS 추출물질 비교에 관한 연구

  • Son, Han-Hyeong;Kim, Pan-Su;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423-427
    • /
    • 2006
  • 1) 바실러스는 불리한 환경조건에서 포자를 형성하며 포자는 균체가 죽어도 살아 남고, 외부 환경이 좋아지면 다시 발아하여 영양형 균체를 형성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바실러스를 우점화와 포자의 활성화를 위해 열처리(80$^{\circ}C$, 10min)를 한다 울산분뇨처리장 슬러지 Cake를 배양하여 포자화 전 후 상태의 미생물의 EPS 추출결과 RCF법을 적용하였을 때 Carbohydrate물질이 다른 추출법에 비해 가장 많이 추출되었고, Steaming extraction법을 적용하였을 때 Protein이 가장 많이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자화 전 보다 포자화 후의 EPS 양이 더 많이 추출될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실험한 결과 포자화 전보다 포자화 후의 EPS 양이 더 많이 추출되었다. 울산분뇨처리장의 슬러지 Cake를 배양하여 포자화 전 후의 Cu의 제거정도를 비교한 결과 포자화 후의 EPS물질이 포자화 전의 EPS물질보다 Cu를 더 많이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PS 물질이 중금속 제거능력이 탁월하다고 할 수 있겠다. 2) 용인분뇨처리장과 천안하수처리장의 MLSS의 중금속 제거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미생물량을 고려했을 경우와 미생물량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서 실험을 하였는데 울산분뇨처리장의 슬러지 Cake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Bacillus의 EPS물질이 중금속 제거에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Baillus를 사용하는 김천 식품폐수 처리장과 활성슬러지를 사용하는 천안하수처리장과의 EPS 함량을 비교한 결과 김천 식품폐수 처리장의 EPS 물질중 Protein과 Carbohydrate가 천안하수처리장의 활성슬러지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TEX>, DIN/DIP비 표층수 $23.91\pm3.42$, 저층수 $23.43\pm3.38$이었으며, 전반적으로 해역별 수질기준 I등급 내지는 II등급을 유지하고 있었고, 공간적으로는 외해측으로 갈수록 외해수와 혼합 확산되어 양호한 수질을 나타내었다. 장기적인 변동특성은 세그룹으로 구분되어진다.기 실험결과 용출용매로 증류수와 해수를 이용했을 때, 제강 슬래그에서 용출되는 납, 구리, 카드뮴, 수은의 용출 경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서, 납, 구리, 카드뮴의 용출 유해성은 낮기 때문에 해양구조물로의 제강슬래그 유효이용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im80%$로 계산되었다. 열형광선량계로 측정된 방사선량은 각각 1.8, 1.2, 0.8, 1.2, 0.8 (70 cm 거리) cGy로 측정되었으며, 환자의 복부 표면에서의 서베이메터를 이용한 측정량은 10.9 mR/h였다. 차폐구조물의 사용 시 전체 치료 동안에 태아선량은 약 1 cGy 정도로 평가되었다. 결론 : AAPM Report No.50의 자료에 따르면, 임산부의 방사선 치료 시 태아의 방사선 피폭선량은 5 cGy 이하일 경우에 방사선 피폭에 따른 태아의 위험이 거의 없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원에서 차폐 구조물을 설치하였을 경우에 측정된 태아선량은 약 1 cGy로 측정되었고, 고안된 차폐구조물은 태아에 도달하는 방사선량을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설계임이 입증되었다. 아니라 일반종합병원에서도 CTX-M형 ESBL 생성 E. coli와 K. pneumoniae가 존재하며 확산 중임을 시사한다. 앞으로 CTX-M형 ESBL의 만연과 변종 CTX-M형 ESBL의 출연을 감시하기 위한 정기적인 연구와 조사가 필

  • PDF

Effect of Conidial Number and Nutrition on the Germination of Conidia in Septoria glycines (분생포자수 및 영양상태가 대두갈색무늬병균의 분생포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 Oh Jeung Haing;Chung Hoo Sup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23 no.1 s.58
    • /
    • pp.61-67
    • /
    • 1984
  • Conidial germination of Septoria glycines Hemmi, brown spot fungus of soybean, was studied by slide germination test. Poor conidial germination of S. glycines was observed on sterile distilled water, but potato dextrose agar(PDA) and distilled water floated with soybean leaf disc furnished a satisfactory medium for conidial germination. Exogenous supply of carbon source was essential for conidial germination, while phosphorous and potassium were not evident as that for carbon. Soluble starch was the most suitable as a carbon source for conidial germination and followed by D-glucose, D-galactose and lactose in that order. Maximum germination was attained in the $5\times10^{-2}mol$. concentration of glucose. Germination was decreased with increment of conidial concentration and was almost completely suppressed in the density of 10,000 conidia per $mm^2$. It suggested existing a self-inhibitor(s). Non-washed conidia germinated more than washed conidia and this was obvious when the conidia density was over $2\times10^3$ conidia per $mm^2$ on the dry agar bloc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