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이에시스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교육논의에서 '메타 프락시스'의 구조와 의미 (An Analysis on Meta-praxis in the Educational Discoyrse)

  • 김정래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67-87
    • /
    • 2016
  • 교육활동의 성격과 교육이론의 실행성을 규명하고자 메타 프락시스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메타 프락시스의 중층구조는 다시 메타 프락시스의 되먹임구조를 드러낸다. 교육논의에서 메타 프락시스의 성격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은 이 되먹임구조가 교육현장에서 아이러니를 야기하고, 실행 지침 자체가 실행성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인간 활동의 영역에서 교육은 단순히 포이에시스로 파악되어서 안 되며, 프락시스로 파악되어야 한다. 하지만 교육이 이론화하는 과정에서 메타 프락시스의 속성을 지닌다. 그 결과 교육학의 독자성 확보를 정당화해 준다. 특히 메타 프락시스의 중층구조는 교육활동과 교사의 존재와 역할 등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에서 되먹임구조를 상즉(相卽), 상입(相入), 원증(圓證)과 관련하여 파악하였으며, 교사의 존재의의를 할아버지론(論)에 비추어 파악하였다.

이론(理論, Theoria)에 있어서의 실기의 의미 (The Meaning of Practice in Theory)

  • 강태성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호
    • /
    • pp.7-22
    • /
    • 2003
  • What is 'Art Theory'? In the western sense, the term poses a vague ambiguity, and in the eastern, it is rather an abstract and metaphysical concept. As for etymology, theory is derived from theoria and theoria from theoros. It refers to an act of viewing or seeing, of course not in a metaphysical sense. Plato understood it as 'eide'. During the time of Plotinus, theoria encompassed gazing at every possible reality, and this gazing, that is theoria, is closely related to reality as aunit that theoriacan perceive. However, we tend to distinguish, as other scientists of dualism have done, studio art from theory since a pre-modern approach to art has been particularly tuned to studio practice, set apart from theory. Therefore, in studio classes, students are expected to learn the subject based on the foundational curriculum methods such as medium, genre, technique:, rather than bringing out their own interpretations and discussing theories. As a result, students have become artists, who are not able to understand their own art. Art professors who conduct class in studio are required to proceed with specific 'theories' as well as 'intellectual reflections'. In this respect, this thesis presents poiesis and an idea of 'acting out'. Although art history and aesthetic theory tend to view art as a finished product, actual art-making and related theories should not only be acknowledged as 'completion' (finition) but also be accompanied by theoretic interpretations of the act itself and process. Accordingly, it is to accept and appreciate art as finished result in view of current theory and aesthetics thus boils down to aisthesis. Likewise, poietics starts from a point where an artist is related to studio and examines the 'work process' that extends as far as to the exact end of work. Through the study of such relationship, it is possible that theory understands 'studio' and 'process', and an artist can grant an independent meaning to studio where s/he pours her/his heart out creating a work of art. Theory is a study on artistic discovery thus should be equipped with functions that can accommodate fortuity, imitation, thinking, culture, and surrounding.

  • PDF

오토포이에시스, 어포던스, 미메시스: 환경과 인간의 인지적 상호작용의 복잡성 해명을 위한 밑그림 (Autopoiesis, Affordance, and Mimesis: Layout for Explication of Complexity of Cognitiv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 and Human)

  • 심광현
    • 인지과학
    • /
    • 제25권4호
    • /
    • pp.343-384
    • /
    • 2014
  • 마음의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 오늘날 인지과학은 과거의 컴퓨터 모델이나 신경망 모델이라는 좁은 틀에서 벗어나 뇌와 상호작용하는 신체와 상호작용하는 환경이라는 넓은 틀로 시야를 확대하고 있다. 그 결과로 등장한 <확장된 마음>이나 <체화된 마음> 혹은 <발제적 마음>의 이론들은 마음에서 환경으로 나아가는 길을 개척하는 데에 주력한 반면, 마음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복잡한 과정 자체를 해명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는 1960~70년대에 마음의 문제를 뇌와 신체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선구적으로 해명하려 했던 깁슨과 마투라나와 바렐라에게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깁슨이 환경이 제공하는 어포던스에 방점을 찍었다면, 마투라나와 바렐라는 생명체의 자기생산의 자율성에 방점을 찍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경이 제공하는 어포던스에는 불변적 요소가 존재하고 생명체 역시 고유한 자율성을 가지면서, 어포던스의 가변적 요소와 환경에 대해 열려 있는 생명체가 함께 구조적 짝패를 이룬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럴 경우 깁슨과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대립점은 해소될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벤야민의 미메시스 이론이 양자를 매개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하려 한다. 벤야민의 미메시스 개념에는 어포던스적 요소들을 체화함과 동시에 환경에 새로운 어포던스를 발제하는 측면이 함께 어우려져 하나의 성좌를 만들어내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깁슨의 어포던스 개념과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체화와 발제 개념은 벤야민의 미메시스 개념을 매개로 할 경우 원활하게 연결되어 순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