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Meta-praxis in the Educational Discoyrse

교육논의에서 '메타 프락시스'의 구조와 의미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aper has tried to analyze the sense of 'meta-praxis' in the educational discourse. Against the dichotomy of theory vs practice, the senses of practice and 'meta-praxis' can be hold under the Greek conception of human activities such as theoria, poiesis and praxis. We can establish the meaning of meta-praxis contrasted with one of metaphysics, not with one of meta-theory. Some significant points included in the concept then have been minutely examined so as to lead us to get the recursive structure and practicability. The Buddhist notion such as 'Well-Rounded Discretion' and the linguistic one such as 'Grand Father' throw light on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discourse. These are ones that we never fail to recognize in terms of 'meta-praxis'.

교육활동의 성격과 교육이론의 실행성을 규명하고자 메타 프락시스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메타 프락시스의 중층구조는 다시 메타 프락시스의 되먹임구조를 드러낸다. 교육논의에서 메타 프락시스의 성격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은 이 되먹임구조가 교육현장에서 아이러니를 야기하고, 실행 지침 자체가 실행성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인간 활동의 영역에서 교육은 단순히 포이에시스로 파악되어서 안 되며, 프락시스로 파악되어야 한다. 하지만 교육이 이론화하는 과정에서 메타 프락시스의 속성을 지닌다. 그 결과 교육학의 독자성 확보를 정당화해 준다. 특히 메타 프락시스의 중층구조는 교육활동과 교사의 존재와 역할 등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에서 되먹임구조를 상즉(相卽), 상입(相入), 원증(圓證)과 관련하여 파악하였으며, 교사의 존재의의를 할아버지론(論)에 비추어 파악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