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병탄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장약에 기반한 포병탄 EFD 산출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tillery shell's EFD based on Charge)

  • 김현식;마정목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1-21
    • /
    • 2019
  • 무기효과 산출을 위해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포병탄에 대한 무기효과 산출도 일부 진행되었으나, 장약의 선택에 따른 영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장약에 기반한 포병탄 EFD 산출모형을 제시하고, 장약의 선택에 따른 3차원 건물표적에 대한 무기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우선 산출모형의 입력데이터를 수집하고, 제시한 모형을 이용하여 요망효과 달성을 위한 발사탄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야전포병과 종말유도

  • 한국방위산업진흥회
    • 국방과기술
    • /
    • 5호통권41호
    • /
    • pp.61-65
    • /
    • 1982
  • 공경중 적기갑부대 및 포병부대를 격파하는 야전포병에 대한 요구는, 현재로서는 현존의 탄종 사용으로 또는 불이한 힘으로서는 한정적으로 만족하는데 지나지 않다. 장갑목표, 즉 전차를 야포로서 물리치기 위하여는 게올그.돈하스중령이 기고한 내용과 같이 될수 있으면 신속히 부대에서 종말유도탄을 사용해야만 된다. 현존 전장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포탄은 cOPPERHEAD 종말유도 155MM탄이다. 이제까지 이 탄은 14,400만불의 비용으로 개발해서 현재는 10억불에 조달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90년대에는 지역사격에 투입되는 원자포탄의 집중공격으로 기갑부대의 격파가 처음으로 가능할 것으로 본다.

  • PDF

항력증가장치 (1-D Trajectory Correction Device)의 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Drag Improvement Device(1-D Trajectory Correction Device))

  • 정수인;김귀순;홍경명;백기봉;윤원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3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6-15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탄의 정밀타격을 위한 항력증가장치의 항력특성에 관한 전산해석을 실시하였다. 전산해석에서는 항력증가장치의 부착에 따른 항력증가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항력증가장치의 펼침 각도와 위치가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항력증가장치 펼침각이 $20^{\circ}$일 때 항력은 항력증가장치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3.5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때 필요한 항력증가장치의 무게는 약 26g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K-55A1 자주포 급속장전장치의 장전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crease of the Reliability of the Flick Rammer on K-55A1 Self Propelled Artillery)

  • 나라별;김병현;이주승;김병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62-68
    • /
    • 2018
  • 본 연구는 군 포병 전력의 핵심 장비인 자주포의 급속장전장치에 장착된 밀대 시스템 개선을 통해 탄의 장전 안정성향상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종래의 자주포에는 수동 장전장치가 적용되어 있었다. 군에서 운용하는 장비의 현대화와 연속사격 속도 향상을 위해 급속 장전장치를 설치하였으며, 이러한 급속 장전장치를 통해 탄이 장전되는 과정에서 약실 내부와 간섭되는 현상을 줄이고, 비행시간을 감소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밀대를 통해 탄의 급속장전이 이루어지는 슈팅 방식의 장전시스템에서는 탄 흐름(fall-back) 현상이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장전 과정의 실제 조건을 반영한 전산모사(C.A.E.)를 통해 탄이 장전되는 과정에서 비행 거리를 감소시키면 탄 흐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이론적으로 확인 하였고, 탄의 비행거리를 줄이는 최적의 설계 방안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야전에 배치된 자주포에 장착하여 시험한 결과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