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폐염전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4초

흉부 방사선 촬영과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폐염전의 진단 4례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in Four Dogs with Lung Lobe Torsion)

  • 이기자;최성진;김영환;정인성;최호정;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90-393
    • /
    • 2013
  • 폐염전으로 진단한 소형견 4 마리의 흉부 방사선 사진 및 컴퓨터단층촬영 (CT) 영상을 평가하였다. 흉수 및 폐염전이 발생한 폐엽의 밀도 증가는 4 마리 환자의 흉부 방사선 사진 및 CT 영상에서 모두 확인되었다. 폐염전이 발생한 기시부에서의 기관지의 협착/허탈은 CT 영상을 통해 4 마리의 개에서 모두 확인된 반면,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는 오직 1 마리의 환자에서만 확인되었다. 폐포성 폐기종 패턴 (vesicular emphysema pattern) 역시, CT 영상을 통해 4 마리의 환자에서 모두 확인된 반면,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는 3 마리에서 관찰되었다. 폐염전의 특이소견은 폐포성 폐기종 패턴과 폐염전이 발생한 폐엽 기시부의 기관지의 협착/허탈이며, 이 소견은 흉부 방사선 사진보다 CT 영상을 통해 좀 더 용이하고 빈번하게 확인되었다.

Miniature Pinscher 견에서 발생한 폐염전의 진단영상 1례 (Diagnostic Imaging for Lung Lobe Torsion in a Miniature Pinscher)

  • 최지혜;김현욱;장재영;반현정;김혜진;김진경;김준영;윤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10-413
    • /
    • 2007
  • 암컷 4살령치 미니어쳐 핀셔가 간헐적인 기침 증상으로 본 원에 내원하였다. 흉부 방사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좌측 폐의 전엽이 경화되고 흉수가 동반된 것을 확인하고 개흉술을 통해 염전된 폐엽을 절제하였다. 본 증례는 흥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폐염전을 진단하여 신속히 수술적인 치료를 적용함으로써 좋은 예후를 얻을 수 있었다. 폐염전은 대형견종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근래 소형 견종에서의 발생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본 증례는 소형 견종 중 미니어쳐 핀셔에서는 처음 보고되는 폐염전 증례로 갑작스러운 호흡 곤란을 보이고 흉부 방사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상 흉수와 폐경화, 비정상적인 폐엽의 방향 등의 이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 본 증례와 같이 이전에 폐염전이 발생한 보고가 없거나 드문 소형 견종에서도 폐염전을 감별 진단 리스트에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전남 해안 지역에 분포하는 폐염전 염생식물의 군락분류학적 연구 (A Syntaxonom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Ruined Salt Field in Chonnam Province)

  • 양효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265-270
    • /
    • 1999
  • 전라남도의 해안에 방치된 염전에 생육하고 있는 식생에 대하여 군락 분류학적 연구와 토양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종조성을 바탕으로 Mueller-Dombois와 Ellenberg 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남 해안에 방치되어 있는 폐염전의 식물군락분류를 통한 식생형을 규정하고, 군락생태를 밝히는데 있다. 폐염전에 분포하는 일년생 초본 염생식물군락은 퉁퉁마디군락, 칠면초군락, 해홍나물군락, 가는갯능쟁이군락, 갯개미자리군락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다년생 초본 염생식물군락으로는 갯개미취군락, 천일사초군락, 갈대군락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안 습지 식생에 대한 군락분류 및 구성종에 대한 정보의 축적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해안 습지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 PDF

가사도 폐염전의 식생 현황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Abandoned Salt field in Gasado)

  • 김하송;임병선;이점숙;박송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3-132
    • /
    • 2003
  • 본 조사는 2002년 7월부터 9월까지 진도군 가사도에서 도서연안 폐염전의 식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Braun-Blanquet and Elenberg의 방법에 따라 21개의 방형구(1${\times}$1m, 1${\times}$2m)를 설치하여 생태학적 조사하였다. 조사된 폐염전의 관속식물은 17과 48종이며, 이중에서 염생식물은 20종(42%), 중성식물은 28종 (58%)이 나타났다. 또한 폐염전에서 서식지의 교란은 염생식물의 교란으로 나타났으며, 이 지역에서 귀화식물은 오리새, 달맞이꽃, 망초, 코스모스 등의 23종이 분포하고, 이중에서 중성식물이 20종(71%) 분포하고 있었다. 식생군락은 염생식물 초지군락은 갯질경군락, 갯개미자리군락, 칠면초군락, 습지 초지군락은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가는잎모새달군락, 중성 초지군락은 실망초군락과 갯당근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각 군락들의 폐염전에서 식생의 구조, 분포, 변화에 대해서 설명하고, 식생표와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폐염전에서 채취한 함초(Salicornia herbacea L.)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Grown in Closed Sea Beach)

  • 한승관;김선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7-210
    • /
    • 2003
  • 폐염전에서 채취한 함초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식육에 함초를 첨가하여 5$^{\circ}C$에서 저장기간 14일 동안의 TBARS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결건조한 잎(CBf3L-F)이 BHT 다음으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유지산화 안정도를 측정 한 결과에서 구운소금(roasted salt)은 산화를 촉진하였으나 온풍건조한 줄기 (CSBS-D)는 ascorbic acid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 것은 단시간의 유지산화안 정 에는 동결건조하는 쪽이, 장기간의 산화 안정에는 온풍건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시료에 대한 함초의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유지산화 억제 효과가 증가함을 나타냈는데 시료의 10% 함초를 첨가한 것은 천연 항산화제인 a-tocopherol을 1% 첨가한 것과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 것은 폐염전 함초가 천연 항산화 물질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인천 논현동 일대 염습지의 식물다양성과 보존방안 (Plant Diversity and Conservation of Salt Marsh in Nonhyun-Dong, Inchoen)

  • 정주영;이만우;조강현;최병희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337-345
    • /
    • 2000
  • 해안생태공원 조성이 추진중인 인천광역시 논현동 일대 염습지의 식물상 및 식생을 1999년 6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이 지역에는 소래포구의 조간대를 따라 발달한 자연염습지와 함께 조수가 차단된 폐염전이 있다. 이 지역에서 14종의 염생식물이 조사되었는데, 그중 해흥나물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그밖에 퉁퉁마디, 비쑥, 갯개미취 등도 많이 관찰되었다. 폐염전에서 관찰된 염생식물의 종류는 자연염습지에서 조사된 것과 매우 유사하였다. 그러나, 폐염전과 자연염습지 사이의 제방 지역은 염습지 보다 다양한 종이 자라고 있었는데, 귀화식물도 21종이 관찰되었다. 자연염습지의 식생은 해흥나물-비쑥군집과 해흥나물군집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지역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한편, 폐염전에서는 해흥나물-퉁퉁마디, 나문재-해흥나물, 갈대-애기부들, 갈대군집 등 다양한 군집이 조사되었다. 식생상관과 종다양도에 기초하여 조사지역을 식생양호지역, 인간활동에 따른 교란지역, 식물고사지역 등의 세 구역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해안생태공원 조성에 따른 각 구역의 보존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난소종양이 병발한 암컷 푸들에서 오른쪽 중간엽 폐염전으로 인한 만성적인 출혈성 흉수 증례 (Hemorrhargic Effusion Caused by Chronic Torsion of Right Middle Lung Lobe with Concurrent Ovarian Tumor in a Female Miniature Poodle Dog)

  • 김태환;홍수빈;김민경;신정인;장윤설;이재훈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30-535
    • /
    • 2015
  • 11년령의 암컷 미니어처 푸들이 4개월의 혈흉으로 본 병원에 의뢰되었다. 신체검사에서, 비록 청진상에서 오른쪽 흉곽의 심음이 희미했으나 환축은 기민한 상태였다. 방사선 상에서 흉강은 흉수로 가득 차 있었다. 초음파 상에서는 양쪽 난소는 낭포성 변화가 관찰되었고 간에서 여러 개를 결절을 확인했다.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오른쪽 중간엽으로 들어가는 기관지의 허탈을 확인한 후에 거칠게 보였던 오른쪽 폐의 음영은 오른 중간엽 폐염전으로 진단되었다. 진단 5일후에 오른쪽 5번째 갈비뼈 사이로 접근하여 중간엽을 절제하였고 동시에 난소자궁적출술도 실시되었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양쪽 난소에서는 유두상 선암종이 나타났고, 중간엽에서는 난소에서 전이된 것으로 의심되는 선암종이 진단되었다. 환축은 2달동안 순조롭게 회복되었다. 그러나 4달 후에 환축은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상에서 흉수와 오른쪽 앞엽과 왼쪽 뒤엽이 허탈 되어 있었다. 그리고 흉수에서 전이로 의심되는 악성 상피종 세포가 관찰되었다. 보호자에게 항암 치료를 권해드렸으나 보류하셨고 환축은 퇴원하였다. 본 보고의 목적은 종양으로 인한 출혈성 흉수로 폐염전이 발생할 수 있는 드문 증례를 보고 하기 위함이다.

페키니즈견에서 발생한 연속적 폐염전의 전정맥마취하 자가 절단식 선형 복강경 스테플러를 이용한 치료 (Treatment of Spontaneous Serial Lung Lobe Torsion Using Self-Cutting Linear Endoscopic Stapler in a Pekingese Dog under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 박지영;이영원;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0-495
    • /
    • 2013
  • 9년령의 중성화 수컷, 6.9kg의 케피니즈견이1주일간 지속된 호흡곤란, 침울, 황색 구토와 복부 팽만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폐야의 밀도 항진은 CT 촬영에서 우폐중엽의 허탈을 동반한 우폐전엽의 염전으로 진단되었다. 진단으로부터 4일째, 프로포폴과 레미펜타닐을 이용한 전정맥 마취하에 우4늑간 개흉술을 실시하였을 때 우폐중엽과 우폐전엽은 함께 시계방향으로 꼬여있었다. 자가 절단식 선형 복강경 스테플러(ENDOPATHETS-FLEX-45)를 우폐전엽과 우폐중엽의 폐문부에 적용하였고, 폐엽절제 후 복합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증례는 우폐전엽의 염전을 따라 연속적으로 우중엽의 염전이 진행된 경우로, 소동물에서 흔하지 않은 폐염전은 진단 후 즉각적 수술 처치가 필요함을 지시하며, 덧붙여 개에서 폐엽 절제시 자가 절단식 스테플러의 적용과 전정맥 마취의 유용성을 나타낸다.

대하 양식장 수질에 미치는 probiotics (유익세균)의 효과

  • 임현정;최용석;장인권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03-204
    • /
    • 2000
  • 80년대 초부터 시작된 대하 양식은 양식 생산량이 연간 2천톤 이상 달하여 우리나라 주요 양식 산업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특히 서해안은 광활한 갯벌과 폐염전, 유휴 농경지의 이용 등 지형적으로 대하 양식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해마다 양식면적과 양식장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지속되는 양식활동과 양식장의 적정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과밀양식으로 인하여 양식장의 노화와 환경악화가 가속화됨으로써 각종 세균성 및 바이러스성 질병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양식어업인에게 큰 피해를 입히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