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폐광석

Search Result 8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장풍광산 폐광석의 중금속 존재형태 연구

  • 이평구;이인경;최상훈;신성천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53-56
    • /
    • 2003
  • 폐광석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원소는 물리ㆍ화학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안정화 되어 자연적으로 정화가 진행되거나 혹은 재 용출될 수 있어 중요한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폐광석에 함유된 중금속이 흡착된 상태로 존재하는지, 광물형태(탄산염광물, 산화광물, 황산염광물 및 황화광물)로 존재하는지, 산화환경 혹은 환원환경에서 안정한 다른 광물의 결정 내에 치환된 형태로 존재하는 지를 규명하는 것은 물리화학적 환경변화에 따른 중금속의 거동(흡착반응, 탈착반응, 용해반응, 침전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평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서보광산의 폐광석 내 2차 산화광물의 중금속 고정화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 강민주;이평구;박성원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43-47
    • /
    • 2003
  • 산화환경에 노출된 폐광석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광물은 산소와 물과의 화학반응을 통한 산화작용을 받게 되고 주변 환경에 유해한 금속원소의 용출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용해된 금속이온은 침전(precipitation), 공침(coprecipitation), 흡착(adsorption)반응에 의해 수용액으로부터 제거되어 자연적으로 고정화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서보광산의 폐광석 내 용해된 중금속원소들의 이동을 제한하는 요인으로서 2차 산화광물의 침전 및 용해된 중금속 원소들의 흡착 가능성을 광물학적으로 연구하였다. (중략)

  • PDF

장풍광산 폐광석의 중금속오염 연구와 pH변화가 중금속의 용출거동에 미치는 영향평가

  • 이인경;이평구;최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385-388
    • /
    • 2003
  • 폐광석에 함유되어 있는 총중금속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함량분석과 중금속을 다량 함유한 폐광석이 산성환경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중금속의 지화학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산도를 변화시키면서 용출실험을 실시하였다. 전함량분석과 용출실험을 종합한 결과, 중금속 및 미량원소의 용출거동 특성을 크게 As-Co-Fe 형태와 Cu-Mn-Cd-Zn형태와 Pb로 구분할 수 있었다. As-Co-Fe의 용출특성은 약산성의 환경에서는 용출이 미약하나, 최종 pH 1.5이하의 강산성환경에서는 용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Cu-Mn-Cd-Zn형태에서는 최초로 용해되는 pH가 5.0-3.0으로 As-Co-Fe 보다 다소 높았다. Pb는 다른 형태에 비해 상당히 적게 용출되었다 최종 용출된 함량과 관계없이 초기 용출이 발생하는 pH값을 기준으로 한 각 원소의 상대적인 이동성은 Mn =Zn>Cd=Cu>>Fe=Co>As>Pb 순서이며, 산성비는 Zn, Mn 및 Cu를 쉽게 용출시켜 이동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청양광산 폐광석의 산화작용 연구를 이용한 자연 고정화 가능성 평가

  • 이평구;강민주;박성원;최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132-136
    • /
    • 2003
  • 폐광된 광산에 방치된 폐광석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광물이 분해되어 다른 광물에 흡착되거나, 산화환경에 안정한 형태의 2차 광물로 침전 혹은 공침 되는가에 대한 연구는 광산복 원을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지구화학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청양광산에 방치된 폐광석을 대상으로 XRD, SEM/EDS연구를 이용하여 산화작용으로 인한 황화광물 주변에 침전된 2차 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물학적 연구 결과, 산화환경에서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으로 인하여 용출된 중금속 이온과 철과 망간 이온들은 침전(Fe, Mn, Pb), 공침 (Fe, Mn, As, Pb) 및 흡착(As, Cu, Pb, Zn) 등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다시 고정화됨으로서, 현장에서 자연적으로 정화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청양중석광산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 및 황화광물의 산화작용 연구

  • 이평구;강민주;최상훈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52
    • /
    • 2003
  • 폐광된 금속광산의 폐광석 적치장, 선광시설, 광미장 등에는 폐광석과 황화광물의 분말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어, 풍화작용에 기인된 황화광물의 산화과정에서 용해된 유해 중금속의 이동과 확산이 심각한 중금속 오염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2차 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는 유해 중금속의 물리$\cdot$화학적인 거동, 오염물질의 확산 등을 규제하고 있는 지구화학적 메카니즘 규명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며, 폐광석 및 광미에 대한 복원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결정적인 판단 자료가 될 수 있다 (강민주, 2003). (중략)

  • PDF

The Leaching of Valuable Metal from Mine Waste Rock by the Adaptation Effect and the Direct Oxidation with Indigenous Bacteria (토착박테리아의 중금속 적응효과와 직접산화작용에 의한 폐광석으로부터 유용금속 용출)

  • Kim, Bong-Ju;Cho, Kang-Hee;Choi, Nag-Choul;Park, Cheon-Young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8 no.3
    • /
    • pp.209-220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leaching valuable metal ions from mine waste rocks which were abandoned mine site using indigenous aerobic bacteria. In order to tolerate the the indigenous aerobic bacteria to the heavy metal ions they were repeatedly adapted in $CuSO_4{\cdot}5H_2O$ environment. As the repeated generation-adaptation progressed, the pH values of the growth-medium were gradually decreased. During bio-leaching experiments with indigenous aerobic bacteria raised in a heavy metal ion environment for 42 days, the pH of the leaching solution was decreased while increasing the adaptation period. The indigeous bacteria were much more active on the surface of Younhwa waste rocks which contained relatively few the chalcopyrite and Cu content than the Goseong mine waste rocks, and also the amount of Cu and Fe ions were leached more in the Younhwa sample(leaching rate of 92.79% and 55.88%, respectively) than the Goseong sample(leaching rate of 66.77% and 21.83%, respectively). Accordingly, it is confirmed that valuable metal ions can be leached from the mine waste rocks, if any indigenous bacteria which inhabits a mine environment site for a long time with heavy metal ions can be used, and these bacteria can be progressively adapted in the growth-solutions containing the target heavy metals.

삼산제일광산 폐광석의 풍화와 2차광물의 침전에 관한 광물학적 연구

  • 연규훈;이평구;최상훈;박성원;염승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396-399
    • /
    • 2004
  • 산화환경에 노출된 폐광석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광물은 산소와 물과의 화학반응을 통해 산화작용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Fe, Mn, Pb, Zn, Cu 및 As등의 원소의 용해반응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용해된 금속이온은 pH등 환경의 변화에 따라 2차광물(산화광물 및 황산염광물)로 침전되거나 흡착되어 수용액으로부터 제거되어 자연적으로 고정화 될 수 있다. 이처럼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2차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는 광산복원을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지구화학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삼산제일광산에 방치된 폐광석을 대상으로 XRD, SEM/EDS을 이용하여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침전과 공침, 흡착 등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현재 고정화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Geophysical surveys for delineation of leachate flows from AMD and buried rock wastes in Kwangyang abandoned mine (광양 폐광산의 산성광산배수의 유동경로 및 폐광석 탐지를 위한 지구물리탐사)

  • 김지수;한수형;윤왕중;김대화;이경주;최상훈;이평구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6 no.2
    • /
    • pp.123-131
    • /
    • 2003
  • Geophysical surveys(electrical resistivity, self-potential, seismic refraction, GPR)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ubsurface, and to delineate the flow channel of leachate from a AMD(acid mine drainage), buried rock wastes and tailings, and drainage pipes at an abandoned mine(Kwangyang mine). Especially in rainy season the sites appear to be abundant in AMD leachate, characterized by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0.98-1.10 ms/S. Electrical resistivity sections indicate that the leachate flows running in two directions at southern part rise up through the narrow fracture zones at the central part and contaminates the surrounding soil and stream. Such schematic features at the anomalous zone are well correlated with negative peaks in self-potential data, the limited penetration depth in GPR data and low velocity zone in seismic refraction data. Shallow high-resistivity zone is associated with the buried rock wastes which cause the diffractions in GPR image. In addition, the events at depth of approximately 1-1.25 m in GPR sections must be the metal pipes through which AMD is drained off to the inner bay.

Utilization of Scheelite Mine Tailing as Raw Material of Ordinary Portland Cement (보통포틀랜드시멘트 원료로서 회중석 광미의 활용)

  • 김형석;정수복;김완태;안지환;채영배
    • Resources Recycling
    • /
    • v.13 no.3
    • /
    • pp.19-26
    • /
    • 2004
  • In order to use the mine tailing which was generated in the flotation process of scheelite ore into the raw material of ordinary portland ce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pared cement clinker was investigated. Scheelite mine tailing is composed of 68.8% of $SiO_2$, 8.6% of $Al_2$$O_3$, 10.8% of $Fe_2$$O_3$, 5.0% of CaO, respectively. It exists as $\alpha$-quartz, muscovite, clinochlore and has 8.0% of 88 $\mu\textrm{m}$ residue. When LSF, SM, and IM of the raw materials (such as limestone, convertor slag, fly ash, and mine tailing) are 91.0, 2.60, and 1.60, respectively, the burnability index of the raw materials is 50.7, the crystal size of $C_3$S and $\beta$-C$_2$S in the prepared clinker is 15∼35$\mu\textrm{m}$, and about 3.8% of scheelite mine tailing can be used as raw material.

Chemical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Geologic Environments on the Abandoned Jangpoong Cu Mine Area (장풍 폐광산 주변 지질환경에서 중금속의 존재형태)

  • Lee In-Gyeong;Lee Pyeong-Koo;Choi Sang-Hoon;Kim Ji-Soo;So Chil-Sup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8 no.6 s.175
    • /
    • pp.699-705
    • /
    • 2005
  •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ation of As and trace elements which are contained weathered waste rocks on the abandoned Jangpoong Cu mine area, five fraction sequential extraction was carried out.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ion solutions which were acquaired each fraction were mesured by ICP-AES. Mineral characters of weathered waste rocks were determinated by XRD. The weathered waste rocks could divide into two types (Type I and type II). Type land type II weathered waste rocks are mainly composed of a quartz and a calcite, respectively. The most dominant speciation of As, Co and Fe is residual phase. Most of the speciation of Cd, Mn and Zn is residual phase for type I and Fe-Mn oxide phase for type II. In case of Cu, residual phase is predominant in type I and sulfide is predominet in type II. The most dominant speciation of Pb for type I and type II is associated with the residual phase and Fe-Mn oxide phase, respectively. At pH 4-7 range, the order of relative mobility considers Zn>Cu>Cd>Pb>Co>AS in type I, and Cd>Cu>Zn>Pb>As>Co in type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