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폐경기 증후군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구강작열감증후군의 병인론과 병태생리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Etiopathogenesis of Burning Mouth Syndrome)

  • 임현대;강진규;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1호
    • /
    • pp.41-47
    • /
    • 2010
  •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임상적 증상이나 검사실 소견없이 구강점막에 나타나는 작열감을 말하며 중년이후 폐경기 여성에게 높은 발생율을 보인다.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보여지는 통증은 자발적이며 뚜렷한 악화요인을 보이고 있지 않다. 통증 유발과 관련해서 치과적 술식, 최근의 질환, 투약(항생제 요법)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작열감이 한 번 시작되면 수년간 지속된다. 대부분의 구강작열감 환자는 국소적 또는 전신적 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신경병리학적 활성화에서 기원되는 만성구강증상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정신학적 원인에 대한 역할은 아직은 명확하지 않다. 구강작열감의 신경학적 측면에 대하여 연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런 연구는 구강작열감에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가 관여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에 하나로 대두 되고 있는 것이 미각에서의 이상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supertaster의 존재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이는 미각과 유해수용성 기전에 상호작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즉 중추신경계에서 미각과 구강 통증 감각이 연결되어 있고 이것은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고삭신경, 설인신경수준에서 미각체계 변형에 의한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가 같이 상호 작용하여 구강작열감증후군을 발생시킴을 보여준다. 이에 본 저자는 만성구강통증으로 여겨지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유발하는 요인과 병태 생리를 고찰하여 환자의 진단과 원인 지향적인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폐경기 증후군의 사회심리적 측면 (Psychosocial Aspects of Menopause Syndrome)

  • 김현우
    • 정신신체의학
    • /
    • 제4권1호
    • /
    • pp.120-123
    • /
    • 1996
  • Regarding menopause as a turning point in woman's lift, the author reviewed the psychosocial aspects of menopause. Seeing menstruation as the symbolic meaning of female sexuality, psychoanalysts argue that menopause, the loss of symbolic meaning of female sexuality, may bring a mourning reaction to woman. It is reported that the high ratio of depression does not have a serious relationship with the menopause syndrome, and that depression cannot be viewed as a different symptoms. It is also proved that most women successfully recover themselves from temporary menopause symptom. Research data shows that some women have a negative thought on the meaning of menopause. Others, however, have a positive concept on the meaning of menopause because of the feeling of release and freedom. In sum, the author suggests that psychosocial consideration is very important as much as bilogical consideration in considering the meaning of menopausal syndrome.

  • PDF

구강작열감 증후군에 대한 논문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burning mouth syndrome)

  • 최성현;이빈나;임회순;오원만;김재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3호
    • /
    • pp.123-131
    • /
    • 2019
  •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점막 이상 등의 임상소견이 없는 상태에서 혀 및 구강점막의 작열감과 구강건조감, 미각이상 등의 불편감을 호소하는 증상으로, 남녀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으나 중년의 폐경기 여성에서 빈발한다. 임상에서 진단이 쉽지 않고 명확한 원인을 밝히기 어려워 증상 경감을 치료목표로 해왔다. 병인은 국소적, 전신적 및 심리적 요인으로 나뉘고 치료는 ${\alpha}$-lipoic acid, clonazepam, 영양보충 등의 약물요법과 인지행동치료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단일 치료법보다는 복합요법의 높은 효과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다각적인 면에서 원인요소를 고려하여 약물적 접근과 인지행동요법을 포함한 심리치료 병행으로 환자들의 증상을 경감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비(非)비만 및 비만 폐경 여성의 대사이상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Metabolic Abnormalities in None-Obese and Obese Postmenopausal Women)

  • 라진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6호
    • /
    • pp.107-12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심리사회 모델을 기반으로 비(非)비만 및 비만 폐경 여성의 대사이상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15~2021)에 참여한 우리나라 폐경 여성 5,335명의 통계 자료를 이용해 이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폐경 여성의 비만도와 대상이상의 수준을 고려하여, 다음의 4개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1) 비(非)비만이며 1-2개 대사이상 요인을 갖고 있는 그룹, 2) 비(非)비만이며 대사증후군(3-5개 대사이상 요인)을 갖고 있는 그룹, 3) 비만이며 1-2개 대사이상 요인을 갖고 있는 그룹, 4) 비만이며 대사증후군을 갖고 있는 그룹.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각 그룹 별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관련요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비만도와 무관하게 생물의학적 요인(연령 증가, 고혈압,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및 심혈관 질환 가족력)과 생물사회적 요인(낮은 교육수준)이 1-2개의 대사이상 및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비만도와 무관하게 생물사회적 요인인 가계의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심리사회적 요인인 장시간의 좌식행동이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었다. 불충분한 신체 활동은 비만 폐경기 여성의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폐경 여성의 비만도와 대사이상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이를 통해 폐경 여성의 비만도에 따라 수정 가능한 요인(좌식 행동 및 신체 활동)을 조기에 식별하고 중재할 수 있을 것이다.

안동 농촌지역 중년 및 노인 주민의 대사증후군 유병율과 관련 위험요인 분석 1. 신체계측결과와 건강습관을 중심으로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Risk Factors of Elderly Residents in Andong Rural Area 1. Based on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Health Behaviors)

  • 이혜상;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11-517
    • /
    • 2010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영양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45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신체특성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이 대사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로지스틱회귀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자 1,431명 중 대사증후군 유병율은 38.2%(남자 23.5%, 여자 46.9%)로 남자에 비해 여자의 유병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폐경기 이후 여성에서의 대사증후군 비율이 증가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중 유병율이 가장 높은 요인은 혈압이었고, 다음은 낮은 HDL-콜레스테롤, 복부비만, 높은 혈당, 높은 혈중 중성지방 순으로 나타나 이 지역 주민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혈압을 내리고 HDL-콜레스테롤을 높이며 복부비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한 개 이상 가진 사람은 94.7%, 두 개이상은 68.9%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발생위험요인과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도는 남자에 비해 여자가 2.953배 높았다. 체지방율의 경우 정상체중에 비해 비만에서 남녀 각각 5.786배와 13.498배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았으며, 체질량지수로는 정상체중에 비해 비만에서 남녀 각각 3.782배, 13.301배, 고도비만에서는 21.516배, 21.482배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높았다. 건강관련 습관인 흡연, 음주, 운동, 농사활동 시간은 대사증후군 발생위험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안동 농촌지역 주민들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혈압과 폐경 여성들의 복부비만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건강관련 습관인 흡연, 음주, 운동 등이 대사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중년 이후 여성에서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폐경 형태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Impact of Menopausal Status, Metabolic Syndrome and its Risk Factors on Impaired Quality of Life above Middle-aged Women)

  • 김지순;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5-28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QoL) above middle-aged women in relation to demographic factors, health-related factors, menopausal status, metabolic syndrome (MS) and its risk factors. Methods: This study was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that utilized a complex, multi-stage probability sample design. Study sample of 2,310 was inclusive of (28.8%) of women who were over 40. To evaluate the factors that would influence an impaired quality of life, $x^2$ test, GLM,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Results: Level of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women with late post-menopause(over 10 years since menopause) than women with pre-menopause. Factors influencing impaired QoL were as follows: graduated middle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or less (OR=2.43, 4.42, respectively, p<.05), no job (OR=1.92, p<.001), stress (OR=1.92, p=.001), depression (OR=1.93, p=.001), insufficient sleep (OR=1.64, p=.003), late post-menopause (OR=2.61, p=.044) and over 85cm of waist circumference (OR=1.76, p=.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te post-menopause may be an independent factor influencing an impaired QoL. To promote post-menopausal womens' health, a nursing strategy is required to teach women how to manage levels of stress, depression, insufficient sleep, and abdominal obesity through health education, nutritional counselling,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

폐경기 증후군의 한의학적 치료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ocioeconomic Costs of Menopausal Syndrome Treated with Oriental Medicine)

  • 강정아;조한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2-8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annual socioeconomic costs of menopausal syndrome treated with oriental medicine in Korea 2008. Methods: Study subjects selected were patients aged 40 years or older who had national health insurance(NHI) claims record with menopausal syndrome(KCDO codes: K04, K04.0, K04.2, K04.3, K04.4) for oriental medicine treatment in 2008. Direct medical cost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for menopausal syndrome were measured from NHI claims records. Direct non-medical costs were estimated as transportation costs incurred when visiting hospitals. Indirect costs were defined as patients' productivity loss associated with office visits or hospitalization. Also, the costs of unpaid-household chores were calculated. Results: The total cost for the oriental medicine treatment of menopausal syndrome in the nation was estimated to be 743,091,219 Korean won(KRW) which included direct costs at 442,971,637 KRW and indirect costs at 300,119,583 KRW.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n important perspective of socioecnomic influence due to menopausal syndrome treated with oriental medicine. And this results can be used as elementary data for menopausal syndrome-related health policy of oriental medicine.

자감초탕 가미방을 포함한 한의 복합 치료로 호전된 부정맥을 동반한 폐경기 증후군 1례 : 증례 보고 (A Improved Case Report of Postmenopausal Syndrome with Palpitation Treated by Korean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Jagamcho-tang-gami)

  • 이희윤;윤영진;박장경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0-102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postmenopausal syndrome. Methods: The patient with postmenopausal syndrome with palpitation wa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during 14 days of hospitalization. The patient received Korean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 effect of treatment on postmenopausal syndrome was evaluated through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questionnaire. Palpitation and arrhythmia was evaluated by Electrocardiogram (ECG) and manual pulse diagnosis three times a day. Result: After the treatment, the clinical postmenopausal symptoms of palpitation and hot flush were improved. Also, ECG's result was improved ventricular premature contraction to normal ECG. Conclusions: This case report proved that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may be effective for improving postmenopausal syndrome with palpitation and hot flush. However, further clinical study is needed in the futur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postmenopausal syndrome with palpitation and hot flush.

체중과 심혈관 질환에 대한 폐경기 호르몬 요법의 효과 (Menopausal Hormone Therapy for Preventing Weight Gain and Cardiovascular Disease)

  • 윤영숙
    • 비만대사연구학술지
    • /
    • 제2권2호
    • /
    • pp.54-63
    • /
    • 2023
  • Estrogen is crucial in regulating food intake, energy expenditure, glucose metabolism, and lipid metabolism. During menopause, the decline in estrogen levels predisposes women to weight gain, abdominal obesity, insulin resistance, type 2 diabetes,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CVD). Menopausal hormone therapy (MHT) prevents weight gain, improves lipid metabolism by lowering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hile raising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delays the onset of type 2 diabetes in menopausal women. The effect of MHT on CVD in menopausal women remains controversial.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study was terminated prematurely after it revealed that hormone administration increased the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and thromboembolism. However, some studies have found that MHT had no effect or decreased the risk of CVD. The inconsistent results were likely due to multiple factors, including the timing of hormone therapy initiation, duration of therapy, type and dosage, and presence or absence of CVD risk factors at the start of treatment. Despite its benefits in terms of managing weight gain and reducing the risk of type 2 diabetes, dyslipidemia, and CVD associated with obesity, it is not recommended as the primary therapy for weight loss or diabetes prevention. MHT is primarily indicated for postmenopausal women, who are likely to benefit from its potential to prevent weight gain and improve lipid metabolism.

한약재를 첨가한 오소리 발효액이 폐경기 증후군과 Estradiol 농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Liquid of Males meles with Medicinal Plants on the Menopausal Symptoms, Estradiol Content and Bone Health Indices in the Postmenopausal Women)

  • 박성혜;한종현;김윤홍;이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3-24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Meles meles as an edible functional resource. To assess the effects of Meles meles fermented liquid(ML) with medicinal plant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menopause symptoms, hematological and serum chemical variables and bone health indices were examined. Twenty five postmenopausal wo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result, in postmenopausal women, ML supplements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incidence of menopause symptoms, such as insomnia(44.0%), sensitivity(40.0%), headache(34.0%), hot flush and decreased vaginal lubrication(20.0%) after 12 weeks. Also serum estradiol and calcitonin and calcium levels were 23.27 pg/mL, 14.88 pg/mL and 8.86 mg/dL before the ML intake.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f estradiol and calcitonin and calcium after ML intake during 12 weeks to 30.36 pg/mL, 21.61 pg/mL and 10.01 mg/dL. Osteocalcin and bon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ere 14.36 ng/mL, 21.55 U/L before the ML intake, but according to ML intake, the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nclusion, ML play benefical roles in the prevention of bone loss and menopause symptoms. Howere current data are not sufficient to determine the effective doses for benefical effect as well as harmful effect and support dietary recommendation level for ML. Therefore, our results should be viewed with caution. But Meles meles fermented liquid with medicinal plants can be used as possible food resources and functional food materials, more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proper mechanism of M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