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폐경관리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3초

중년여성의 폐경 증상,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 폐경태도 및 폐경관리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al Symptoms, Perceived Awareness of Menopausal Symptom, Menopausal Attitude and Menopausal Management in Middle Age Women)

  • 김성주;김영란;이옥숙;최소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47-35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폐경증상,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 폐경태도 및 폐경관리 정도를 확인한 후 변수 간의 관계와 폐경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3개 도시에 거주하는 만 40세 ~60세 중년여성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42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4월 10일부터 2019년 5월 30일까지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상관계수 및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폐경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β=. 51, p<.001), 월경상태(β=. 23, p<.001), 지각된 건강상태(β=. 19, p=. 002), 삶의 만족(β=. 14, p=. 019) 및 종교 유무(β=. 10, p= .045) 이었으며 그 중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페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폐경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폐경 단계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과거력과 혈관운동증상의 차별적 연관성 (Differential Association of History of Premenstrual Syndrome/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ith Vasomotor Symptoms According to Menopausal Stage)

  • 현홍대;조숙행;정현강;고영훈;권은주;김혜경;고승덕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1호
    • /
    • pp.57-65
    • /
    • 2015
  • 연구목적 급격한 호르몬 변화가 발생하는 월경과 폐경 시기에 기분증상 및 신체증상이 나타난다는 공통된 임상적 특징과 생물학적 기전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하여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와 폐경기 증상의 연관성이 제기되었으나 아직까지 일관된 결론이 내려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에서 각각의 폐경 단계에 따라 월경 전 증후군의 과거력과 대표적인 폐경기 증상 중의 하나인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한국건강관리협회 전국 16개 지사에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방문한 361명의 폐경주위기 여성과 693명의 폐경후기 여성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혈관운동증상과 월경전 증후군 과거력 및 여러 요인(연령, 결혼, 수입, 교육 수준, 음주, 운동, 흡연, 폐경에 대한 태도, 우울, 스트레스)에 대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결 과 전기 폐경주위기를 제외한 후기 폐경주위기, 전기 폐경후기, 후기 폐경후기에서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과거력이 있는 여성에서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증상을 호소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전기 폐경주위기, p=0.824 ; 후기 폐경주위기, p=0.001 ; 전기 폐경후기, p=0.001 ; 후기 폐경후기, p=0.01). 후기 폐경주위기와 전기 폐경후기에서 PSST score와 혈관운동증상의 심각도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후기 폐경주위기, r=0.213, p=0.010 ; 전기 폐경후기, r=0.246, p<0.001). 우울, 폐경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생활습관요인 등의 관련된 요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후기 폐경주위기와 전기 폐경후기에서 월경전 증후군/월졍전 불쾌장애의 과거력이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증상을 예측하는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다(후기 폐경주위기, OR=5.197, p=0.005 ; 전기 폐경후기, OR=3.017, p=0.010). 결 론 본 연구는 폐경 단계에 따라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와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이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규명하기 위한 추가적인 대단위의,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년여성의 폐경관리와 결혼만족도,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Correlational Study on Management of Menopause, Marit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 여정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1-269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 me the correlations among management of menopause, marit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Method: The sample was 158 middle-aged women who were 40-64 year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4 to July 10, 2003 using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0.0 PC+ program. Result: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as related positively to the level of quality of life(r=.504, p<.01) and management of menopause(r=.3l5, p<.0l).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and management of menopause(r=.251, p<.01).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25.9%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life was explained by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 Marital satisfaction and management of menopause serv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and management of menopause.

폐경기 여성의 폐경 지식 정도와 폐경 관리 실태 조사 (A Study on the Degree of Knowledge of Menopause and Management of Menopausal Women)

  • 최남연;최소영;조혜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402-415
    • /
    • 1998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menopausal of age knowledge and management of menopausal wom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st to May 31th in 1998 and 368 total.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was 45-50 years. General health state was good 71% mosty they were house keeper. 87.5% had religion. The married woman was 86.1%. Menopause treatment experience was 88.1%. The educational state was below middle school, 72.3%. 2. The high score of knowledge of menopause was the item of whether they conceive or not after menopause, irregularity of menopause, menopausal symptoms, of the possibility osteoporosis. 3. The score of knowledge was the highest at the group 45-50, the high education, and the high number of family members. 4. The score of management was the highest in self control category. No drinking & no smoking items were the highest. Sexual management and management by professional person were low score. 5. The higher score of the knowledge of menopause, the higher score of the management.

  • PDF

2008~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한 45~60세 한국여성의 폐경 여부에 따른 건강인자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Factors in 45~60 Year Old Korean Women related to Menopausal Stages - Based on 2008~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 이혜진;조광현;이경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0-462
    • /
    • 2012
  • 본 연구는 2008~200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45세~60세 중년여성의 식사의 질을 포함한 다각적인 건강 행태를 파악하고자 폐경 전 후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 신체적, 정신적, 혈액학적, 식사의 질의 특성을 분석하여 건강 요인과 폐경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조사대상자 중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에 비해 연령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 < 0.001), 교육수준(p < 0.001)과 월 소득(p < 0.01)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2) 체지방률(p < 0.001)과 허리둘레(p < 0.001)는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3) 혈액학적 지표 특성 중 혈당(p < 0.05), 총 콜레스테롤(p < 0.001), LDL-콜레스테롤(p < 0.001), 중성지방(p < 0.001), GOT(p < 0.001), GPT(p < 0.001)의 농도가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4) 삶의 질은 폐경 전 여성이 폐경 후 여성에 비해 유의적(p < 0.01)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안/우울 정도와 스트레스 수준은 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다. 5) 식사의 질은 평균 영양소 적정섭취비(MAR)가 0.78로 다소 낮았으며, 폐경 전 후 각 군을 비교 한 결과에서는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의 NAR 값이 폐경 후 여성에서 폐경 전 여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 < 0.05). 6) 중년여성의 연령, 허리둘레, 체지방률, BMI는 혈당,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폐경 후 여성의 비만도가 폐경 전 여성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중 지질 농도 또한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폐경 후 여성의 비만 및 혈중 지질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칼슘, 칼륨, 비타민 $B_2$ 등의 비타민, 무기질 영양상태가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폐경 후 여성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 앞으로 기대 수명이 증가하면서 폐경 후 의 삶이 증가된다는 점에서 볼 때 폐경 후 여성의 세밀한 건강관리와 식사의 질적 보완을 위한 체계적인 건강 및 영양교육 프로그램 구축이 사회적으로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폐경증상이 스트레스와 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nopause Symptoms 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 이미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98-205
    • /
    • 2020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이 경험하게 되는 폐경에 따른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를 모색하고 중년여성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09월 02일부터 11월 29일까지였으며,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62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폐경증상이 심할수록 신체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삶의 질 만족도에 있어 폐경증상이 심할수록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건강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관계와 환경적 관계의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폐경의 증상을 완화하고 관련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야할 것이며, 적극적인 폐경관리를 통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그로 인해 폐경 후 중년여성의 삶의 질이 좋아지길 제안한다.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 폐경지식과 폐경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Knowledge of Menopause, Menopausal Management in Middle-Aged Women)

  • 박형숙;이윤미;조규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21-52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reported climacteric symptoms, knowledge of menopause, menopausal management, in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9 women from 40 to 64 years of ag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program for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 reported climacteric symptoms were education(F=6.371, p<0.001), income (F=4.481, p<0.05), mensturation state(t=-2.004, p<0.05), mensturation cycle(t=-2.039, p<0.05), hormone therapy(t=2.107, p<0.05), health condition(F=21.111, p<0.001). 2.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knowledge of menopause were education(F=6.580, p<0.001), health condition (F=3.487, p<0.05). 3. The characteristic variable significantly related to menopausal management was income(F=3.080, p<0.05). 4.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reported climacteric symptoms and menopausal manag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negative correlation(r=-0.323, p<0.05). In conclusion, climacteric symptoms - based complaints by middle-aged women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menopausal management. Therefore, health promotions designed to increase climacteric women's health should be a planned program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 PDF

여성의 폐경기 클리닉

  • 황경진
    • 건강소식
    • /
    • 제30권9호통권334호
    • /
    • pp.28-29
    • /
    • 2006
  • 난소는 사춘기 때는 20~40만 개의 난포를 가지고 있는데 임신과 생리를 반복하면서 난포폐쇄 과정을 통해 많이 소모되고 36세 이후에는 34,000개 정도로 숫자가 중고 폐경이 가까워지면 그 숫자가 남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여성호르몬을 만들어 내는 기능이 점점 약화 되는 것이다. 결국에는 생리가 멈추고 호르몬 저하로 오는 여러 가지 폐경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 PDF

폐경관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Menopause and It로s Effect)

  • 송애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80-290
    • /
    • 1998
  • The two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Self-Efficacy Theory(SET) of Bandura, and 2)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program on the management of menopause. The investigation process of this study was done in two phases. The first phase was to development an educational program through video tape. A telephone coaching program served as a follow-up to the educational video program and provided encouragement and support to the subjects. The second phase was the experimental stage. This experiment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ory of Bandura would increase self-efficacy and management of menopause. Results : The developed video consisted of 2 parts. Part one discussed symtoms and management of menopause. Part two reflected the vicarious step-by-step success of middle-aged women's of menopause through the effective use of the 5 factors mentioned above. Telephone coaching program served as a followed to the educational video program and provided encouragement and support to the subjects. Total length of video is 32 minutes. Hypothesis stated in phase two were supported by the following result.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general-self-efficacy scores.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concrete-self-efficacy scores.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objective and subjective management of menopause sc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