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직물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9초

내부판 구조물이 결합된 강 및 평직 복합재료 원통셸의 구조진동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Steel and Plain Weave Composite Cylindrical Shells Combined with Internal Plate Structures)

  • 이영신;최명환
    • 소음진동
    • /
    • 제9권1호
    • /
    • pp.149-162
    • /
    • 1999
  • A method for the analysis of free vibrations of steel and plain weave composite cylindrical shells with a longitudinal, interior rectangular plate is developed by using the receptance method. This method is based on the ratio of a deflection (or slope) response to a harmonic force(or moment) at the joint. In this study, after getting the fre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imply supported plate and shell, the frequency equation of the combined system is obtained by considering the continuity condition at the joint between the plate and the shell. The numerical results are compared with published results and experiment results in order to show the validate of the formulation, and shown that the analytical results agreed with those from other methods. The effects of the loca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plate on the natural frequencies are also investigated.

  • PDF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평직 세라믹 기지 복합재료의 등가물성치 산정 (Finite Element Analysis for Effective Properties of Ceramic Matrix Plain Woven Textile Composites)

  • 이성욱;조종두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63-1167
    • /
    • 2003
  • Effective properties of ceramic matrix plain woven textile composites were calculat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The considered geometry is a unit cell of plain weave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mmercial finite element program, ANSYS. The materials for analysis are 3 types for matrix, 1 type for fiber with various volume frac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effective properties of ceramic matrix composites can be controlled by the volume fraction. The result can be used for numerical analysis using ceramic matrix composites.

  • PDF

평직물의 구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se Recovery of Plain Woven Fabrics)

  • 안명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8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rease recovery and the elastic recovery as a function of the direction of plain woven fabrics. The crease recovery was measured by Mosanto's Method and the elastic recovery was investigated by Autograph for ten kinds of plain woven fabric samp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Values of crease recovery were in the order of bias>weft>warp. 2. The lengthening of recovery time had a little effect on crease recovery. 3. The directions of crease recovery were affected by that of thread twist. 4. The linearity was shown between total crease recovery and warp-weft crease recovery. 5. The linearity was found between crease recovery and elastic recovery in the fabrics.

  • PDF

Fractal 차원과 면 혼방직물 셔츠의 착용 쾌적감 (Subjective Wear Comfort and Related Fabric Surface Parameters Including Fractal Dimension of Contact Points)

  • 김정화;이현영;홍경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7-161
    • /
    • 1999
  • 본 연구에서 직물의 열, 수분 전달특성과 KES-FB의 역학적 특성치, 직물표면의 fractal dimension을 측정하여 주관적 의복 착용 쾌적감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실험의복에 사용된 직물은 면 100% 평직물, 면/PET 혼방직물, 피치가공된 면/PET 혼방직물, PET 100% 평직물, 알칼리 감량가공된 PET 100% 크레이프 직물이었으며, 실험의복의 형태는 긴 소매 셔츠로 하였다. 착용실험은 온도 29$\pm$0.5$^{\circ}C$, 상대습도 75$\pm$2%RH, 기류 0.15m/s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실에서 실시하였고 36명의 여성 피험자(20-23세)들이 참여하였다. 의복 착용감의 하위 구성차원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결과를 요인분석한 결과 5 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제 1 요인은 체온상승, 수분특성과 관련이 있는 온열.발한감이었으며, 제 2 요인은 무게ㆍ두께감, 제 3 요인은 회복특성감, 제 4 요인은 표면접촉감, 제 5 요인은 온냉감으로 구성되었다. 직물의 표면특성을 정량화하는 방법으로 도입한 fractal dimension 의 분석값들과 종래의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어 온 KES_FB 의 표면 특성치들이 주관적 착용쾌적감 예측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비교해 본 결과, 표면접촉감은 fractal dimension, 접촉점들의 총면적, 접촉점들의 평균 axis ratio, MMD, SMD와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종합적 착용쾌적감에 대해서는 SMD 를 제외한 척도들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fractal dimension 과 접촉점들의 총면적은 0.8 이상의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착용쾌적감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에서는 fractal dimension 만으로 쾌적감의 74%가 설명되었으며 공기 투과도를 첨가하면 두 변수로 $R^2$=.792가 되었다. 설명되는 누적분산값은 67.18%였다.주관적 평가의 결과와 객관적 평가 결과를 이용해 마직물의 태를 평가하는 산출식을 제시하였다. 태 평가치의 경우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과 stepwise 방법, 또 Kawabatark 사용한 순차적 군 회귀법의 세가지 방법의 회귀식 중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았다.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origin of the letter designs in t

  • PDF

이징(1580년~1642년) 묘 출토 목질류 및 직물류 분석 (Analysis of Wooden Materials and Fabrics from the Tomb of Yi Jing)

  • 이효선;박운지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19-34
    • /
    • 2017
  • 이징 묘 출토 목질류에 대한 수종 분석 및 복식 중에서 대표 직물류에 대한 재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목질류로 분류된 외관, 내관, 칠성판, 삽은 모두 소나무류(Pinus densiflora)로 식별되었다. 직물류 분석 결과, 삽 부착 직물과 명정, 오낭은 견직물이었다. 적삼은 평직 면직물이었으며 버선의 경우 겉감은 면직물, 안감은 마직물이었다. 견직물 중에서 오낭의 우족·좌족은 수자직(繻子織) 문단이고 나머지는 평직 견직물인 주(紬)로 확인되었다. 적외선 분석 결과, 삽에는 구름무늬가 전체적으로 그려져 있었으며, 명정과 오낭에는 묵서가 있었다.

조선 중.후기 사찰 견직물에 나타난 특성 (Characteristics of Silk fabrics which was Collected in Temples of the Middle and the Latter Term Chosun Period)

  • 장현주;권영숙
    • 복식
    • /
    • 제51권8호
    • /
    • pp.1-12
    • /
    • 2001
  • An empirical review on silk fabrics of the Chosen period showed that they varied in kind and design according to their us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fabrics into temple and excavated fabrics according to their uses and collected places and then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Concerning fabrics collected in temples. satin was most used, followed by twill, tabby, multiply, leno and gauze and clossing fabrics in order. Tabby and silk fabrics used Ju(紬) as their main material. Cho( ) was much more used in fabrics collected in temples than in excavated ones. This indicate that Cho( ), more luxurious than Ju(紬), had divine applications such as covering Buddha s bones of temples. Brilliant, colorful multiply fabrics using goldern and color threads had high effects of ornamenting altar covers, umbrellas, surplices and palanquins. Fabrics held in temples adapted composite designs, in which more than two shapes were used, rather than single ones. Single designs employed plant shapes in most cases. followed by treasures pattern, geometrical, cloud and animal shapes in order. Most composite designs used a combination of animal and plant shapes, followed by plant and geometry, treasures pattern and plant, cloud and animal, and animal, treasures pattern and plant in order. Few excavated fabrics used animal designs while fabrics collected in temples were often designed with shapes of propitious animals such as dragon. Treasures pattern. representing a good omen of Buddhism, was often used sing1y or sometimes compositely with another design.nother design.

  • PDF

조선시대 출토 견직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Silk Fabrics of Chosun Period)

  • 장현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5호
    • /
    • pp.532-541
    • /
    • 2002
  • An empirical review on silk fabrics of the Chosun period showed that they varied in kind and design according to their us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fabrics into excavated and temple fabrics according to their uses and collected places and then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Excavated fabrics were most accounted for by tabby fabric, followed by satin, twill, leno and gauze and union cloth. Tabby fabric was most used throughout the Chosun period, followed by satin. This is supported by many literary records. Concerning excavated dresses of the same period, tabby fabric, especially Ju was the main material, followed by satin. Leno and gauze fabric was much less used than in the Koryo period. Among excavated dresses surveyed in this study, none was made of compound woven fabrics such as Brocade. Other excavation reports said that Brocade had been used for a cuff of coat in few cases, if any. Tabby fabric was widely used for both the right side and lining while twill and satin fabrics were mainly adapted to weave the right side because they had luster higher than the former, smooth sense of touching and unique designs.

  • PDF

사이징 및 전처리 공정에서의 열처리 온도 변화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염색성 변화 (Effects of Heat Temperature in Sizing and Pretreatment Processes on the Appearance Colour of the Polyester Fabrics)

  • 조대현;김승진;장동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
    • /
    • 1999
  • 이 연구에서는 사이징 공정을 포함해서 수세, 전처리 그리고 최종 열처리 둥의 염색.가공 공정에서의 습열 및 건열 처리 온도가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열응력과 염색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는 경사가 50d/24f 스파크사이며 위사는 75d/72f semi-dull사이다. 평직물은 션틀직기, 주자직물은 water jet 직기로 제직하였으며, sizing dryer 온도는 $90^\circ{C}$, $125^\circ{C}$, $150^\circ{C}$, 수세공정의 습열처리 온도는 $90^\circ{C}$, $110^\circ{C}$, $120^\circ{C}$, 전처리 공정의 건열처리 온도는 $180^\circ{C}$, $200^\circ{C}$, $220^\circ{C}$, 마지막 세팅 공정의 건열처리 온도는 $170^\circ{C}$, $180^\circ{C}$, $200^\circ{C}$로 변화시켰다. 이들 습열과 건열처리 온도 변화에 따른 직물내의 필라멘트사의 열 수축률과 직물의 겉보기 염색성의 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 PDF

견직물의 스치는 소리로부터 변환된 색채의 물리량과 감성 (Physical Properties and Sensibility on the Transformed Colors from the Rustling Sounds of Fabrics)

  • 김춘정;최계연;김수아;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5권1호
    • /
    • pp.25-3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7가지 실크직물의 스치는 소리를 녹음한 후, 색채로 변환시켜 변환색채에 대한 감각과 감성을 평가하고, 2차원 모형을 제시하여 감각/감성과 직물의 관계를 시각화하였다. 피험자 30명을 대상으로 변환색채에 대한 감각과 감성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색채의 물리량은 홍색비율(RP), 녹색비율(GP), 청색비율(BP)과 색채 빈도수(CC)를 계산하였다. 감성차원에 대하여 활동감, 우아함, 터프함의 세 요인이 도출되었다. 활동감 차원은 GP, CC와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능직물과 견방사의 교직물을 가장 활동적이라고 평가하였다 우아함 차원은 RP와는 정적상관을, CC와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수자직물과 평직물이 가장 우아하다고 평가되었다. 터프함 차원은 RP와 높은 정적상관을 가졌다. 능직물과 같이 색채 빈도수가 많고 홍색비율과 녹색비율이 많은 변환색채를 선호하였다.

  • PDF

평직 CFRP 적층복합재료의 섬유배열각도에 따른 파괴강도 예측 (Prediction of Fracture Strength of Woven CFRP Laminates According to Fiber Orientation)

  • 강민성;박홍선;최정훈;구재민;석창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8호
    • /
    • pp.881-887
    • /
    • 2012
  •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금속 재료보다 비강성 및 비강도가 높아 경량화가 요구되는 산업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방향성을 가진 섬유 원사를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하고 에폭시 수지와 같은 레진을 이용하여 경화한 후 사용하게 된다.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구조적인 특성상 섬유배열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재료물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강도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이들을 구성요소로 하는 복합재료 구조물의 설계 또는 파괴에 대응한 설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평직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 적층판을 대상으로 섬유배열각도($0^{\circ}/90^{\circ}$, $30^{\circ}/-60^{\circ}$, $+45^{\circ}/-45^{\circ}$)에 따른 인장시험을 통하여 정적 파괴강도를 평가하였으며, 복합재료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의 구조적인 주기성을 포함하는 Tan과 Cheng의 강도함수와 조화함수를 이용하여 섬유배열각도에 따른 평직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정적 파괴강도를 예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