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생교육법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7초

원격교육솔루션의 동향과 전망

  • 성기영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0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69-84
    • /
    • 2000
  • 교육 시장의 변화 ; 1. 평생 교육법 및 시행령 공포(1995. 9. 5. 평생교육법 선포, 2000. 3. 13 평생교육법 시행령 공포, 200. 3. 31 평생교육법 시행 규칙 제정), 2. 교육 시장의 변화 과외금지 위헌 판결; 30조원 사교육 시장 부상, 온라인 가상 대학 증가 ; 대학 컨소시엄(OCU, KCU, KDU, SDU 등), 가상대학(16개교 81개 과 설립 신청), 직장 내 가상대학(삼성 반도체 공과대학 2개학과).(중략)

  • PDF

「평생교육법」 개정에 따른 장애인평생교육과 직업재활 연계방안 (Exploratory Research on the Linkage betwee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under the Lifelong Education Act Revised)

  • 정연수;박경순
    • 재활복지
    • /
    • 제22권4호
    • /
    • pp.123-15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법"개정에 따라 확대된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장애인 재활상담사의 역할과 직무영역을 살펴봄으로서 장애인 재활상담사가 장애인평생교육 분야에 어떻게 참여하고 또 연계해 갈 것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법개정의 의의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장애인평생교육 및 직업재활 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 개정이후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국가의 책무성이 강조되었고 이에 따라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법개정으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역할이 강화되었고 전문인력제공이란 측면에서 직업재활영역과 연계할 때 교육적 성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문가 간 심층면담을 통해 나타난 연계방안은 개념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 장애영역별 평생교육지원 요구, 업무의 재구성과 지원의 필요, 상생하기 위한 방안 찾기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인평생교육과 직업재활은 장애인의 성인기 삶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인력배치문제나 운영측면에서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개념재정립과 함께 서로의 영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 토대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평생교육제도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on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in Korea)

  • 신명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47-153
    • /
    • 2014
  •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제도는 2007년 새롭게 개정 공포된 평생교육법에 의거하여 평생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평생교육정책의 실시에 따라 평생교육의 안정적인 기틀이 마련되어 왔다. 그 후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은 그 체계를 갖추어 가면서 발전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 평생교육과 관련하여 평생교육제도의 연혁, 평생교육법의 내용,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 평생교육제도에 대한 개괄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이 연구는 우리나라 평생교육에 대하여 포괄적인 차원에서 논의가 이루어졌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 위상정립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tatus establishment of public library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 김형각;이응봉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년도 제8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7-280
    • /
    • 2001
  •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회 보장을 목적으로 제정된 평생교육법이 도서관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역기능으로 작용되고 있는 현실에서 도서관 기능을 수행하는 평생교육기관의 바람직한 운영방안 및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위상을 재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 PDF

한국 평생교육 정책의 유형화와 발전과제 (Characteristics of Lifelong Learning Policy and Developmental Tasks of South Korea)

  • 최돈민;김현수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47-69
    • /
    • 2018
  • 이 연구는 한국의 평생학습 정책 집행과정을 정책의사결정 모형으로 유형화하고 발전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평생학습 정책은 2000년에 평생교육법의 제정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평생교육법에 따라 평생학습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으로 다양한 열린 교육제도를 도입하였다. 그 결과 한국 정부는 취약계층을 위한 학습기회의 제공, 평생학습도시 선정, 평생학습문화 구축, 평생학습결과의 인정, 평생학습 중심대학 선정 등 다양한 평생교육 정책을 수립하여 국민의 평생학습을 지원하였다. 한국은 정부가 평생교육정책을 결정하고 재정 지원을 담당하지만 평생교육예산이 교육부 예산의 0.07%에 불과하여 아직도 학교교육 위주의 교육정책을 추진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한국의 정부관료적 평생교육정책은 그린(Green, 2000)의 입법모형에 비추었을 때 국가주도 모형이다. 그러나 이는 교육비 부담을 국가가 담당하는 것이 특징인 모델이므로 학습비를 대부분 개인이 부담하는 한국의 현실과는 맞지 않는다. 따라서 한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생교육 모형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한국의 평생교육 제도는 앨리슨(Allison, 1971)의 정부 / 관료주의 모델, 지글러와 존슨(Ziegler and Johnson, 1972)의 입법모델, 그리핀(Griffin, 1987)의 사회통제 모델, 그린(Green, 2000)의 국가주도 모델로 특징지을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생학습 활동은 학습시장의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관리되어야 하며, NGO의 활동과 취약계층에 대한 학습비 지원을 통해 평생학습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AHP분석 방법을 통한 경상남도 평생교육진흥 정책 우선순위 결정 (Determining the Priority of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Policy in Gyeongsangnam-do through AHP Analysis)

  • 윤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517-526
    • /
    • 2013
  • 본 연구는 평생교육법 개정(2007.12)으로 시 도지사의 평생교육진흥책무가 강조됨에 따라 지역주민을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평생교육 영역과 경남평생교육진흥원이 설립된다면 추진해야 할 주요업무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경상남도 평생교육진흥을 위한 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 도출에 있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Expert Choice 2000활용) 경상남도 평생교육진흥정책의 추진방향을 평생교육 6대 영역과 시 도 평생교육진흥원에서 추진해야 할 업무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생교육 6대 영역 분석결과,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영역은 직업능력 향상교육(0.335)으로 나타났다. 경남평생교육진흥원이 설립되어 추진해야 할 주요업무는 첫 번째로 지역실정에 맞는 평생교육정책개발(0.238)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0.148), 도내 평생교육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0.139)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경남 평생교육진흥 사업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지역의 산업정책 흐름에 발맞추어 "5대 핵심전략산업 연계를 통한 평생학습 추진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지상(紙上) 블로그 -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도서관 및 평생학습관 변천

  • 윤수정
    • 도서관문화
    • /
    • 제53권5호
    • /
    • pp.27-30
    • /
    • 2012
  • "도서관법" 제2조에서는 "공공도서관이라 함은 공중의 정보이용 문화활동 독서활동 및 평생교육을 위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설립 운영하는 도서관 또는 법인, 단체 및 개인이 설립 운영하는 도서관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공공도서관에 몸담아 온 지 30여년이 가까워 오는 사서로서 도서관 경영, 시스템, 이용자서비스, 프로그램 등의 영역에서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고, 앞으로 더욱 빠른 변화가 예상되기에 현 시점에서 서울특별시 공공도서관의 변천을 돌아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2010년 국가도서관통계를 기준으로 서울에는 총 666개의 공공도서관(작은도서관 등 포함)이 있고, 그중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평생학습관 포함)은 총 22개가 있다. 여기에서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및 평생학습관의 변천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살펴보되 도서관 설립과 통계 부문을 다루고자 한다.

  • PDF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 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erceived by Adult Learners)

  • 안현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38-450
    • /
    • 2020
  • 이 연구는 대학평생교육 성인학습자 1,782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 특성,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가설1의 결과 성별, 연령은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교육내용, 교수법,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지원)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학력 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시간은 교육내용, 교육환경, 제도·지원 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설2의 결과 교수자, 제도·지원 운영요인 만족도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교육 환경 요인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검증결과 대학평생교육 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 혁신으로서의 대학의 평생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실제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및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의 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는데 있어, 향후 새로운 대학평생교육 모형 구축에 있어 유용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정과 교사의 학교평생교육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School Life Long Education through Home and Family Life Education by Home Economics Teachers)

  • 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45
    • /
    • 2004
  • 본 연구는 학교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교육과 관련된 제반 양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체계적 접근법을 통하여 모형화 시키고 이를 기초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본 탐색적 연구이다. 관련문헌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변화하는 사회에서 평생교육과 가정생활교육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는 학교가 가진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제반 특성 때문에 평생교육의 구심체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평생 교육적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교육은 교육 수요자의 교육요구 측면이나. 교과 이미지와 정체성 강화 및 전공자의 사회적 기여를 증진시키는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 평생 교육적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교육의 연구와 현장 실천을 위하여 탐색적 체계모형이 제안되었고. 이 모형에 근거한 활성화 방안이 모색되었다.

  • PDF

국민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차세대 스마트직업훈련플랫폼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ext-generation Smart Training Education Platform(STEP)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Lifelong Vocational Skills)

  • 임경화;정일찬;이두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43-15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이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으로 개정되면서 직업능력개발의 지원대상과 직업능력개발훈련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직업훈련플랫폼(STEP)이 맞춤형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해 지향해야 하는 공공 온라인 플랫폼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공공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사례연구, 전문가 FGI 등을 바탕으로 STEP의 공공서비스 역할과 기능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전문가 검증회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TEP의 공공 온라인 플랫폼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