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면 및 배치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4초

모바일 무선충전 효율 및 충전 자유도 개선을 위한 3차원 이중 송신 코일시스템 (Three-Dimensional Magnetic Resonant Coil System with Double Transmitter Coil for Enhancement of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and Charging Flexibility)

  • 권기종;권용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9-16
    • /
    • 2020
  • 무선충전 기술은 사용자가 선 없이 충전할 수 있는 편리함의 이점으로 많은 모바일 전자기기의 필수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고, 지속적인 연구 개발에 의해 다양한 무선충전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으로는 송수신 코일의 배치와 충전효율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송수신 코일을 근거리 평면에 배치한 2D 평면 코일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어왔다. 최근에는 평면으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2D 코일시스템에 높이구배를 주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3차원 코일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3차원 코일시스템은 2D 코일시스템에 비해 충전효율이 낮고, 특히 송수신 코일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력전송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3차원 코일시스템의 단점인 낮은 충전효율과 충전자유도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무선충전 시스템 설계를 제안한다. 3차원 형상으로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을 설계하였고, 이때 송신코일 내부에 독립된 송신코일을 추가로 구성한 이중 송신코일 구조를 제안하여 전송효율과 자유도를 개선할 수 있었다. 측정실험 결과, 107 kHz 동작주파수에서 송수신 코일의 거리가 8 mm일 때 제안한 시스템의 효율은 40.10 %로 기존 코일의 최대전송효율인 20.5 %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3차원 이중송수신 코일시스템은 실제 무선충전 시스템 설계 시 다양한 디자인의 무선충전 시스템 설계 및 충전효율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5.8GHz ISM 대역 평면안테나의 송수신분리도 개선 (Tx/Rx Isolation enhancement of the Planar Patch Antenna at 5.8GHz ISM band)

  • 윤기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85-39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근접물체에 둔감하도록 평면 안테나의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분리도를 개선하는 회로구조를 제안하였으며 5.8GHz ISM 대역에서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도플러 레이다 센서에 적용하였다. 방사패치를 중심으로 2개의 3dB $90^{\circ}$ 전력분배기 들을 송신경로와 수신경로에 배치하여 평형회로 구조를 구성하였다. 이는 안테나에 근접된 물체가 있어도 높은 송수신 분리도 및 우수한 입출력 반사계수를 제공한다. 제안된 회로구조에 대한 이론 전개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고 제작된 시제품을 측정하여 입증하였다. 인체가 2mm까지 접근하여도 ISM대역에 걸쳐 송신단과 수신단에서 16dB 이상의 반사손실과 최소 30dB 이상의 분리도가 측정되었다.

전남지방 전통주택의 하절기 온습도 측정 및 주관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hermal Environmental Measurements and Subjective Reponses in Summer Season for the Korean Traditional Houses in Chonnam Province)

  • 김선우;이태강;김형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41-46
    • /
    • 2006
  • This study aims to analyzed thermal comfort characteristics and subject response for thermal environment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The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living area of the residence were measured in during a day. And the subject response were surveyed to evaluate of controling the thermal environment factor (temperature, humidity, comfort)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s. As a result, the variation of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of most rooms are considerably static while condition of outdoors are much varied, it is showed that indoor climate has been controled with traditional soiled walls. And environmental control for the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is estimated considerably satisfactory.

OpenCL 기반 근사곡면 렌즈어레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pproximate Surface Lens Array System based on OpenCL)

  • 김도형;송민호;정지성;권기철;김남;김경아;류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9
    • /
    • 2014
  •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되는 집적영상은 일반적으로 평면 렌즈어레이로부터 생성되고 있으나, 좁은 시야각으로 인해 관찰자에게 넓은 시야영역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곡면 렌즈어레이가 제안되었으며, 기술적, 비용적 한계로 인해 이상적인 곡면 렌즈어레이보다는 여러 개의 평면렌즈들을 곡면 유형으로 만든 근사곡면(Approximate Surface) 렌즈어레이가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반경 100mm의 구에 $20{\times}8$개의 사각형 평면 렌즈들을 배치하여 근사곡면 렌즈어레이를 구성하였으며, 그 결과 약 2배의 시야각을 넓힐 수 있었다. 특히, 기존연구에서는 집적영상을 수작업으로 만들어내고 있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집적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OpenCL GPU 병렬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 결과, 다양한 3D 볼륨데이터에 대하여 $15{\times}15$ 크기의 근사곡면 렌즈어레이로부터 집적영상을 12-20 frame/sec 속도로 생성할 수 있었다.

부정확한 속도 모델을 가정한 진원 결정 방법의 성능평가: 지표면 미소지진 모니터링 사례 (Performance Test of Hypocenter Determination Methods under the Assumption of Inaccurate Velocity Models: A case of surface microseismic monitoring)

  • 우정웅;이준기;강태섭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9권1호
    • /
    • pp.1-10
    • /
    • 2016
  • 셰일가스 개발 과정에서 수압 파쇄에 의해 발생하는 미소지진의 진원 분포는 균열대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진원에 대하여 부정확한 속도 구조 모델이 선형 역산법을 이용한 진원 결정 프로그램인 hypoellipse와 hypoDD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총 98개의 가상 관측소를 반경 4 km의 원내에 배치하였고, 25개의 지진들이 판상으로 분포한 가상 지진 세트를 관측망의 중심부에서부터 남쪽으로 1 km 간격으로 5곳에 배치하였다(S0 ~ S4). 역산 결과의 정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진원들의 평균 위치의 차이를 의미하는 $d_1$, 가정한 진원에 대한 면적비 r, 근사 평면과 실제 평면의 경사 차이 ${\theta}$, 근사 평면과 실제 평면의 주향 차이 ${\phi}$, 근사 평면으로부터 진원들이 떨어진 거리의 제곱평균제곱근 $d_2$, 평면상에서의 진원들의 패턴의 정확성 $d_3$의 6가지 파라미터를 정의하였다. 층상 구조를 가정한 기준 속도 구조를 만들어 합성 주시자료를 계산하였으며, 속도 구조의 부정확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진원 역산에 사용한 속도 구조 모델은 각 층의 기준 속도를 중심으로 0.1 km/s, 0.2 km/s, 및 0.3 km/s의 표준편차를 가지는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속도의 부정확성에 비례하여 오차가 커지는 파라미터에는 $d_1$, r, ${\theta}$, 및 $d_3$가 있으며, 나머지 두 파라미터는 S4의 경우를 제외하면 속도 부정확성의 정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오차를 보여준다. S0, S1, S2, S3의 경우, hypoellipse와 hypoDD 모두 비슷한 $d_1$ 값을 나타낸다. 하지만 다른 파라미터의 경우 hypoDD가 훨씬 나은 결과를 보여주며, 진원의 상대적 오차는 속도 구조의 부정확도와 관계없이 수 미터 이하이다. 수압 파쇄의 부피 양상을 알기 위한 목적으로 상대적 진원 위치 부정확성을 수 미터 이내로 제한시키기 위해서 hypoellipse에서는 0.2 km/s 이내의 속도 오차의 표준편차를 가져야하며, hypoDD에서는 속도 오차의 표준편차 값이 0.3 km/s일 때에도 상대적 진원 위치 오차를 수 미터 이내로 제한시킬 수 있다.

일제강점기 신축된 군청사의 설계주체와 평면구성의 특징 (The Designers and the Space-Compositions of the Goon Office Buildings which were newly construc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8-13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계획되거나 신축된 공통형 군청사 및 개별형 군청사의 설계주체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공통형 군청사의 평면구성을 기준으로 개별형 군청사의 평면구성 특징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국가기록원 소장 군청사 관련 도면, 그 해제, 조선총독부와 각 도가 주고받은 문서, 조선총독부관보 및 직원록, 신문과 잡지의 기사 도면 사진 등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방법이다. 공통형 군청사의 설계주체는 1910년대에는 조선총독부 직속 건축조직이었고, 늦어도 1926년 이후는 도 소속 건축조직이 가담했다. 개별형 군청사의 설계주체는 도 소속 건축조직이었다. 두 조직의 설계자 개인의 이름과 관등도 몇몇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도 소속 설계조직이 공통도면을 군의 사정에 맞게 변형하는 것도 당시에는 '설계'로 지칭되었다. 도 소속 설계조직은 군 업무에 필요한 실들을 사무공간-부속공간으로 분리 배치하는 방식을 유지하면서 건물 전체 규모를 일제히 축소하거나 확대하는 방식으로 공동도면을 활용하기도 했다. 개별형 군청사의 평면구성은 공통형과 공통점 및 차이점을 동시에 가지는데, 차이점은 개별형 군청사 설계자인 도 소속 건축조직의 능력과 개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ADS40영상 사진기준점측량 정확도에 관한 연구 (Accuracy of Photo Control Points Surveying in ADS40 Image)

  • 이준혁;김경종;신진규;이병길;이영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91-200
    • /
    • 2009
  • 항공디지털사진카메라의 기술개발 및 발전에 따라 국외에서는 2000년 이후 도입되었으며, 국내에서도 2006년 이후 선형센서와 면형센서 항공촬영용 디지털카메라를 도입하여 2008년부터 국가기본도제작 및 수정/갱신사업에 기존 아날로그방식 사진기준점측량 기준점수량 및 배치의 작업규정을 적용하여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 도입된 선형센서방식 항공디지털카메라 ADS40영상에 대하여 사진기준점측량을 수행하여 기준점수량 및 배치에 따른 성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RMSE가 기준점 평면은 ${\pm}0.068m$, ${\pm}0.073m$, ${\pm}0.071m$이고, 높이는 ${\pm}0.041m$, ${\pm}0.055m$, ${\pm}0.041m$이며, 검사점 평면은 ${\pm}0.167m$, ${\pm}0.113m$, ${\pm}0.110m$이고, 높이는 ${\pm}0.128m$, ${\pm}0.086m$, ${\pm}0.081m$로국토지리정보원의 항공사진측량작업내규에서 요구하는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었고, 대축척 수치지형도작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스마트폰 기반의 3차원 실내위치 인식 (3D Indoor Positioning System Based on Smartphone)

  • 오종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12호
    • /
    • pp.1126-1133
    • /
    • 2013
  • 사용자 맞춤형의 지능화 서비스를 위해 실내에서 사용자 및 기기들의 3차원 위치를 인식하는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폭발적으로 활성화된 스마트폰에서 음향신호를 발생하고 5개의 마이크들을 십자 형태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3차원 위치 측정 장치에서 TDOA 방식을 적용하여 스마트폰의 3차원 위치 좌표를 추정하는 2가지 방식을 제안하고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일제시대 사택건축의 배치ㆍ평면유형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ite and floor plan type of official residenc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aegu province.)

  • 윤재웅;이철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9-48
    • /
    • 1997
  • The official residences were built for japanese official who had lived in Taegu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rototypes of site and plan patterns for the official residences in Taegu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ir site-plans are classified into either individual and row type depending on the building's composition. These each have three and two branch types ass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innercourt and main entrance. The floor plans are classified into the four typ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rridor.

  • PDF

경북지방 동성마을의 주거배치 및 평면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 Research on the Residence Disposition and Feature of Ground Plan a Clan village in Kyuong-buk Area)

  • 김영만;곽동엽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 /
    • pp.235-242
    • /
    • 2003
  • This rese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of the residence disposition and feature of ground plan on Seomi 2 Dong in An-dong and Hyun-ri in Mun-gyong. The scope of this reserch concentrated on 33-housed which are 12-housed in Seomi 2 Dong and 21-housed in Hyun-ri. The focus of this reserch is mainl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the site, and ground plans on individual houses. As result of it, there are mostly Yeo-Kan houses (six spans sized) on Seomi 2-dong village in An-Dong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lot of Straight-Houses in Hyun-ri in Mun-gyong. Otherwise in characteristic of residence, There is dissimilarity between Seomi 2-dong which located in mountainous districts has space organization of utilitarian and Hyun-Ri has justification primacy as a farm vill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