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등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23초

양성평등 관념과 노동시장 불안정성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지역별 차별출산력의 분석 (On Regional Fertility Differentials;Understanding the Causal Mechanisms of Low Fertility in Korea)

  • 유삼현
    • 한국인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구학회 2006년도 후기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31-152
    • /
    • 2006
  • 이 논문은 제2차 출산력변천 이론을 바탕으로 지역의 차별출산력을 통해 한국의 저출산 인과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양성평등 관념, 노동시장 불안정성, 가족형성을 결정요인으로 저출산 인과구조의 분석모형을 구성하였다. 자료는 2005년 센서스와 동태통계, 2004년 사업체노동실태현황을 활용하였다. 이 논문은 GIS를 이용하여 주요 변수들의 구 $\cdot$$\cdot$ 군별 분포를 지도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저출산 인과구조에 대한 일반화된 설명을 위해 분산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양성평등 관념과 노동시장 불안정성은 가족형성과 출산력을 낮추는 부적관계를, 가족형성은 출산력을 높이는 정적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평등 관념과 노동시장 불안정성은 가족형성을 매개로 출산력에 직 $\cdot$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출산력 저하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제2차 출산력변천에서 양성평등 관념은 전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노동시장 불안정성은 대도시 지역에서 초저출산 현상을 크게 가중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간호대학생의 성태도, 성고정관념, 자아존중감이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xual Attitude, Gender Stereotype and Self-Esteem on Gender Egalitarianism in Nursing Student)

  • 김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82-49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힉생의 성태도, 성고정관념, 자아존중감이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 10월 15일부터 11월 31일까지 경북 G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서면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양성평등의식은 성별(t=-3.091, p=.002)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양성평등의식은 성고정관념(r=-.811, p<.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자아존중감(r=.345,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고정관념(β=-.787, p<.001)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5.4%였다. 간호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성고정관념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기혼 여성의 부부 평등성이 추가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rried Women's Couple Equality on the Intent to Additional Childbirth)

  • 이단비;남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79-389
    • /
    • 2022
  •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이 인지하는 부부 평등성과 출산 행위에 있어 중요한 결정 요인인 추가출산 의향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기혼 여성 10,35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 분석과 카이 제곱 검정 분석을 시행하였고 각 변수와 추가출산 간 관련성 분석을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층화 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부부 평등성이 가장 낮은 0점 그룹 기준 4점 그룹은 2.01배 추가출산 의향이 높았다. 또한 3점 그룹과 2점 그룹은 각각 1.46배, 1.41배 높아 부부 평등성과 추가출산 의향이 정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 외에 자녀 수가 많을수록, 집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아내가 비정규직이거나 무직일 경우 기혼 여성의 추가출산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부부평등성에 초점을 맞춰 추가출산 의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출산율 제고를 위해 거시적 차원의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이 요구됨을 제언한다.

한국사회 청년층의 기회평등 인식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of Equality of Opportunity among Young People in Korean Society)

  • 곽수란;송미옥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81-391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II(KEEP II) 1차, 2차 그리고 4차 부가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한국사회 청년층의 기회평등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방향은 고등학교 시기의 가정배경과 학업활동(진로성숙도, 학업성취) 그리고 청년기의 경제상황, 사회적관계, 개인역량 발휘 정도가 기회평등 인식과 연계되어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은 기회평등 인식을 최종 종속변인으로 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LISR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층의 기회평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청년기 현재 시점의 경제상황과 개인역량 발휘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는 한국사회 초년생으로 진입한 청년층의 기회평등 인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회구성원으로 책임감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회적 기반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양성평등 관점에서 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남녀 삽화 연구 (A Study on the Illustrations of Male and Female o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Gender Equality Perspective)

  • 이은선;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7-153
    • /
    • 2019
  • 성 고정관념에서 오는 성별 불평등의 해결을 위해서는 여성과 남성 즉 젠더적 민감성과 더불어 젠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인지하고 개선 및 보안하고자 가정 교과에서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양성평등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반면 2015 교육과정 개편이 새로이 있었으나 성 평등적 관점에 기초한 교과서 분석은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성평등 관점에 기반을 두고 기술 가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기술·가정」 교과서 내 삽화가 학생들에게 균형적인 사회상을 제시한다는 교과서로서의 책임을 다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2개 출판사에서 발행한 검정교과서 「기술·가정 1」과 기술·가정 2」를 기준으로 총 24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삽화의 외형적 특징과 내용적 특징을 분석범주로 삼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판단해보자면 우리 교과서가 모든 면에서 성 평등적이라고 평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부분적으로는 많은 개선이 있었지만 여전히 특정 성별에 편중되어 성 정형성이 잔재하고 있었으며 개선이 필요한 점으로 보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자발적이며 능동적인 태도를 갖추고 비판의식을 함양한다는 성 평등교육의 목적을 이루기위해서는 여성과 남성이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협력하며 활약하는 균형적인 사회상을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과서 편집 시 성별의 처방적 고정관념이 존재하는 것은 아닌지 주의하고 편견 요소를 축소하여 양성평등 한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지속적인 점검 및 검토를 진행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중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기술.가정 교과 선호도 및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echnology.Home Economic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최동숙;전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5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따른 기술 가정 교과의 선호도와 학습효과를 차이를 분석하여 남녀학생 모두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춘천시의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과 기술 가정 교과에 대한 선호도 및 학습효과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은 높은 수준이나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 유형에 따라서는 여학교, 남녀공학, 남학교의 순으로, 담당 교사 유형에 따라서는 통합인 경우가 분리 보다 양성평등의식이 높았다. 기술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는 남녀학생 모두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가 높았으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고, 기술 선호도와 학습효과는 남녀학생 모두 낮았으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낮아 여학생의 기술과 가정 편차가 남학생에 비해 더 컸다. 학교 유형에 따라서는 여학교의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가 높은 반면 기술선호도와 학습효과는 남학교가 높았다. 담당 교사 유형에 따라서는 통합인 경우가 분리인 경우보다 가정 선호도와 기술선호도가 높았다. 양성평등의식에 따라서는 양성평등의식이 상과 중 집단이 하 집단 보다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가 더 높았고, 기술 선호도는 양성평등의식이 상 집단이 중과 하 집단 보다 더 낮았다. 결론적으로 기술 가정 교과 선호도와 학습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양성평등의식과 성별이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첫째, 남학생의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이 필요하다. 둘째, 기술 선호도와 학습효과는 가정에 비해 낮으므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현저하게 낮은 여학생의 기술 선호도와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기술 가정 담당교사는 1인의 교사가 모든 단원을 전담하여 지도하는 통합형이 바람직하다. 넷째, 중등학생의 성 역할 고정관념을 제거하여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교과지도 프로그램을 기술 가정교과에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 PDF

지금 해외에선 - 평준화와 동등의 문제점

  • 김순규
    • 과학과기술
    • /
    • 제32권2호통권357호
    • /
    • pp.28-29
    • /
    • 1999
  • 우리나라 교육은 너무나 동등과 평준화를 내세워 키워야할 인재를 제대로 키우지 못했고 세계적인 대학과 연구소를 세우지도 못한 것이 현실이다. 우수한 학생에게는 그에게 맞는 과목을 가르쳐야 평등이지 모든 학생에게 같은 것을 가르친다고 평등이 되는 것은 아니다. 신입생을 선발하고 교수를 채용하는 일은 완전히 학교측 자율에 맡겨야 한다. 획일적인 동등ㆍ평준화 아래선 일류대학 육성과 세계적 과학자ㆍ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할 수 없다.

  • PDF

사회적 이슈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 성평등 주제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Direction of Communication Design for Social Issue - Focusing on Gender Equality Storytelling -)

  • 문다영;김보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279-284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외 활발히 펼쳐지는 사회적 이슈 중에서 성평등 주제의 스토리텔링을 심층면담 기법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방향에 관해 연구하고, 더 나은 소셜 이슈 소통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 1차 사례 연구를 통하여 국내의 성평등 주제 매거진 이프, ?, 우먼카인드 매거진의 특징과 스토리텔링 매거진 예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2차 실증 연구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성평등 스토리텔링 경험에 대한 연령대별 여성과 남성 대상자의 감정 형용사와 이슈 인지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소셜 이슈 소통 방향에 필요한 두 가지 요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전달하는 콘텐츠의 주제가 민감한 이슈일수록 일상과 밀접한 서사를 소구하여 진입장벽을 낮출 것을 제안한다. 둘째, 사회적 이슈가 지속가능하려면 점진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신뢰도와 공감도를 높이는 방향을 채택한다. 이 연구는 불통을 해소하는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조사를 통해 국내 성평등 이슈 콘텐츠 전달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해 국내 성평등 주제 소통 방식을 보완하고, 사회적 이슈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양성평등 수학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이론적 고찰 (Feminist Perspectives on the Development of a Gender-Neutral Mathematics Program)

  • 권오남;주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55-75
    • /
    • 2005
  • 본 연구는 양성평등을 추구하는 수학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서, 수학 학습 프로그램의 구성 원리와 개발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공한다. 여성학적 관점에서 볼 때, 수학에서 나타나는 성별차이는 남성지배적인 수학 문화 속에서 파생된 여성의 수학은 여성의 수학적 역량에 대한 왜곡된 이해이다. 나아가 남성지배적인 수학 문화를 수용하는 학교수학은 여성의 수학적 역량을 공정하게 평가할 수 없으며 그들의 수학적 성숙을 촉진하기에 근원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여성학적 인식론과 교수법에 기반한 양성평등 수학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여학생의 수학 참여를 증진하고 자신의 수학적 역량을 재발견할 수 있는 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수학 관련 분야에서 여성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나아가 현대 사회에서의 여성의 삶의 질적 향상 및 사회적 지위향상이라는 장기적인 목표를 추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