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 해수면과 그변화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hange of Mean Sea Level due to Coastal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해안개발과 기후변화로 인한 서해 연안해역의 평균해수면 변화)

  • Jung, Tae 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6 no.3
    • /
    • pp.120-130
    • /
    • 2014
  • Change of mean sea level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was estimated with the observed tide data of the KHOA. The cause of the change was investigated. Mean sea levels in the western coast have been changed due to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in the coastal zone. The estimated variations, whic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regionally, vary from -6.8 cm in Incheon to 38 cm in Gunsan. The changing rate of mean sea level occurred by natural factors such as global warming varies from 1.1 mm/year in the north to 4.4 mm/year in the south of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In Jeju, sea level rise and rise of sea temperature showed a close relationship. Water temperature rise of one degree increases mean sea level to 0.6 mm in Jeju. Rising rate of mean sea level has increased rapidly after the mid-1980s.

해수면 상승에 따른 영도 침수대책 연구

  • Hong, Seong-Gi;Gang, Yeong-Hun;Lee,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267-269
    • /
    • 2013
  •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의 평균 해수면이 상승하고 그에 따라 연안지역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해수면의 상승이 연안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면이 바다와 접한 부산의 영도지역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선정, 해수면 상승 영향에 따라 해수면을 평행단면으로 하여 상승 시 침수범위와 재해위험지역을 종합적으로 고려, 피해 예상지역 추출하고 침수취약지역을 그 침수특성 및 지역특성에 따라 세부적인 침수구역으로 구분하고 침수구역별로 자세한 침수대책을 마련한다.

  • PDF

Analysis of Sea Level Rise Trend using Long-term Observation Data (장기 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수면 상승경향 분석)

  • Yang, Su-Hyun;HWang, Ky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2-212
    • /
    • 2021
  • 지구온난화에 따른 가장 큰 영향 중의 하나인 해수면 상승은 인구 및 산업시설이 집중되어 있는 연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안 저지대 범람, 하천과 지하수로의 해수 유입, 하천의 수위증가, 조석 및 퇴적물의 변화 등의 직접적 피해를 증가시키고(국립해양조사원, 2012; Nicholls, 2002; 오상명 등, 2011), 시설물의 설계고 추산 및 흐름, 파랑의 흐름에 영향을 미쳐 연안 시설물의 안정성이나 기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윤종주·김상익, 2012).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의 5차 보고서(2014)에 따르면, 1901~2010년 동안 전 지구 평균해수면 상승률은 1.7mm/year에 이르며, 1990년대 이후에 더 높은 해수면 상승률을 예측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 말까지의 자료분석 결과에서 2.48mm/year의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을 보여 전세계 평균상승률보다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정태성, 2014; 윤종주 등, 2012). 이와 같이 전 지구적 평균해수면의 변화와는 별개로 지역적 해수면 변동특성은 그 양상이 크게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지구온난화와 같은 자연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지역별 다양한 인위적 요인(풍속, 기압, 연안역 개발정도 등)에 따라 지역적 해수면 상승이 크게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안역에 분포한 조위관측소의 장기 관측자료(수위)를 이용하여 각 지역별 해수면의 상승경향을 분석하였으며, 동/서/남해안 및 제주권역은 권역별 조석특성이 현저하게 다른 특성을 보이므로 권열별로 구분하여 분석이 수행되었는데 우리나라 대부분의 관측지점에서 평균해수면이 증가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ignal Treatement for Topex/Poseidon Satellite Altimetric Data and Its Application near the Korean Seas (Topex/Poseidon위성 고도계 자료에 대한 신호처리 및 한반도 주변해역에 대한 그 적용)

  • Yoon, Hong-J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 no.1
    • /
    • pp.12-31
    • /
    • 1999
  • Topex/Poseidon satellite altimetric data are used to estimate characteristics on the oceanic and atmospheric correction factors, and the mean sea level and its variations in the Yellow Sea, the East China Sea and the East Sea from September 1992 through August 1994(70cycles). For the atmospheric correction factors, the variations of dry troposphere, humid troposphere, ionosphere and inverted barometer were very small as a few centimeters, but the variations of electromagnetic bias were higher than other factors. For the oceanic correction factors, the variations of ocean tide(35cm in track 127 and 60cm in track 214) showed high ranges compared to elastic tide(5cm in track 127 and 1cm in track 214) and loading tide(1.8cm in track 127 and 1cm in track 214).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ations of ocean free surface is mainly under the influence of, firstly, ocean tide and, secondly, electromagnetic bias. Mean sea level in the Yellow Sea are higher than in the rest of Seas. Then its range generally comprised between -60cm and 210cm with mean value of about 100cm. Also its variations showed high values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especially 5.689cm in Youngampo. This result is mainly due to the effects of local topography and tidal current.

  • PDF

Analysis of Freeboard of Levee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하천 제방 여유고 분석)

  • Kim, Kyung-Tae;Kim, Yon-Soo;Eo, Gyu;Choi, Chang-Hyu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56-258
    • /
    • 2015
  • 연안지역에서는 강우의 증가로 인한 재해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재해 등 두 개 이상의 재해가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그 피해도 더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동시에 고려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화강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량의 증가와 해수면 상승이 연안 지역과 인접한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수문모형과 수리모형을 구축하였고, 미래 평균 확률강우량 증가율과, 해수면 상승고를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량 및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제방에 대한 여유고를 구하였고, 하천설계기준의 여유고를 만족하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구간 40.17km중 약57~78.9%의 구간이 여유고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해수면 상승의 영향으로 홍수위의 변화는 하류부의 일정 구간까지만 영향 미쳤고, 해수면 상승을 고려하지 않을 때 여유고가 만족하지 못하는 구간은 약1.9~3.8% 감소하였다.

  • PDF

Steric sea level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for a $CO_2$ quadrupling (북서 태평양에서의 지구온난화로 인한 $CO_2$ 4배증시 해수면의 공간적 변화)

  • 최병호;김동훈;최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9a
    • /
    • pp.188-194
    • /
    • 2000
  • 지역적 기후변동은 전구평균 변화와는 다른 양상을 가진다. 그러나, 현재 전구적 기후변동과 해수면의 변화가 국지적으로 미칠 영향에 대한 추정능력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NCAR(국립 대기 연구소)의 CSM (Climate System Model) 버전 1.2를 이용하여 전구뿐만 아니라 국지적인 시뮬레이션을 함께 수행하였다, 특히 북서태평양과 그 부근지역에 대한 해수변화를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중략)

  • PDF

An analysis of Haeundae Beach Coastal Topography change and Sea Level Rise (해수면 상승과 해운대 해수욕장해안지형 변화분석)

  • Kim, Ji-Yong;Choe, Cheol-Ung;Kim, Ye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173-174
    • /
    • 2008
  • 해안 침식이 진행되고 있는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선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1947년부터 2008년까지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해안선을 추출하였는데 사진촬영시간에 따라 해안선의 위치가 현저히 변화하기 때문에 위치만으로는 비교할 수 없고, 평균적인 해안선 부근의 경사와 촬영시의 조수상태를 고려한 수심별 해빈 면적 산정 공식을 활용하여 해안선 면적을 구하였다. 또한 조위자료를 통하여 40년 동안의 해수면 상승량을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해안선 후퇴거리를 계산해 보았다. 그 결과 3008년도 해빈 면적은 1947년도와 비교하면 약 29% 면적이 감소하였고, 1992년도에는 일시적으로 해빈 면적이 상승하는데 이는 양빈 사업으로 인한 것으로 이후 다시 감소현상을 보인다. 그리고 조위자료 분석 결과 해수면은 연평균 2.462mm/year의 속도로 상승하였다.

  • PDF

Relations between Varia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South Sea of Korea and Intensity of Typhoons (남해 해수면온도 변화와 태풍 세기와의 관계)

  • Seol, Dong-Il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2 no.5
    • /
    • pp.403-407
    • /
    • 2008
  • Relations between variation of SSTs(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South Sea of Korea and intensity of typhoons which passed through the South Sea of Korea was analyzed for 36 years from 1970 to 2005. The SSTs in the South Sea show the rising trends continuously. The mean SST of the last 10 years(1996-2005) is higher $1.03^{\circ}C$ than the mean SST during 10 years(1970-1979). The rising trends are especially strong after 1994. The intensity of typhoon can be shown by the minimum sea level pressure. The minimum sea level pressures of typhoons which passed through the South Sea show the descending trends. The mean minimum sea level pressure of the last 10 years(1996-2005) is lower 10.1hPa than that during 10 years(1970-1979).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rising of SSTs in the South Sea has relations with the strengthening of intensity of typhoons.

Relation between SSTs in the South Sea and Intensity of Typhoons (남해 해수면온도와 태풍 세기와의 관계)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198-199
    • /
    • 2007
  • Relation between SSTs(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South Sea and intensity of typhoons which passed through the South Sea was analyzed for 36 years from 1970 to 2005. The SSTs in the South Sea show the rising trends continuously. The mean SST of the last 6 years(2000-2005) is higher 1.21$^{circ}C$ than the mean SST during 10 years(1970-1979). The rising trends are especially strong after 1994. The intensity of typhoon am be seen by the central pressure. The minimum central pressures of typhoons which passed through the South Sea show the descending trends. The mean minimum central pressure of the last 6 years(2000-2005) is lower 9hPa than t1m during 10 years(1970-1979).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rising of SSTs in the South Sea has relations with the strengthening of intensity of typhoons.

  • PDF

Spatial Distribution of Extremely Low Sea-Surface Temperature in the Global Ocean and Analysis of Data Visualization in Earth Science Textbooks (전구 대양의 극저 해수면온도 공간 분포와 지구과학교과서 데이터 시각화 분석)

  • Park, Kyung-Ae;Son, Yu-Mi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1 no.6
    • /
    • pp.599-616
    • /
    • 2020
  • Sea-surface temperature (S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ceanic variables for understanding air-sea interactions, heat flux variations, and oceanic circulation in the global ocean. Extremely low SSTs from 0℃ down to -2℃ should be more important than other normal temperatures because of their notable roles in inducing and regulating global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To understand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such extremely low SSTs in the global ocean, the long-term SST climatology was calculated using the daily SST database of satellites observed for the period from 1982 to 2018. In addition, the locations of regions with extremely low surface temperatures of less than 0℃ and monthly variations of isothermal lines of 0℃ were investigated using World Ocean Atlas (WOA) climatology based on in-situ oceanic measurements. As a result, extremely low temperatures occupied considerable areas in polar regions such as the Arctic Ocean and Antarctic Ocean, and marginal seas at high latitudes. Six earth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how these extremely low temperatures were visualized. In most textbooks, illustrations of SSTs began not from extremely low temperatures below 0℃ but from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of 0℃ or higher, which prevented students from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roles of the low SSTs. As data visualization is one of the key elements of data literacy, illustrations of the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ensure that SST data are adequately visualized in the textbooks. This study emphasized that oceanic literacy and data literacy could be cultivated and strengthened simultaneously through visualizations of oceanic big data by using satellite SST data and oceanic in-situ measur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