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 평점

Search Result 13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Impact of Admission Indices and Social-Demographic Features on Grade Point Average (GLM을 이용한 대학학업성취도 분석)

  • 최국렬;이동석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3 no.1
    • /
    • pp.11-18
    • /
    • 2000
  • 대학의 학업성취도를 나타내는 평점평균은 많은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형행입시제도하에서 획득 가능한 요인과 평점평균과의 관련성을 일반 화선형모형(GLM)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평가하고자 한다. 여기서 얻어진 경과는 요즈음 변화가 모색되고 있는 입시제도나 대학교육제도의 개선에 적으나마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믿어진다. 분석자료는 1996, 97학년도 인제대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의 입시자료와 96,97학년도의 평점평균, 기숙사입사 여부 등을 대상으로 삼았다.

  • PDF

입학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의 관련성 분석

  • Choi, Guk-Ryeol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4a
    • /
    • pp.191-194
    • /
    • 2006
  • 대학에서 학생 개인의 학업성취도를 나타내는 평점평균(GPA)은 많은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입시제도하에서 획득 가능한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부 성적과 수학능력시험성적이 대학의 학업성취도를 나타내는 평점평균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 일반화선형모형(GLM)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 평가하고자 한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는 2008학년도부터 적용되는 제7차 교육과정의 수학능력시험성적과 학생부 성적 반영 비율 산정에 필요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믿어진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003, 2004학년도 인제대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의 입학성적과 2003, 04, 05학년도의 평점평균을 대상으로 삼았다.

  • PDF

리뷰어 평점 이력이 리뷰 조작에 대한 인식 및 리뷰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여행플랫폼을 중심으로

  • Jang, Mun-Gyeong;Lee, Sae-Rom;Baek, Hyeon-M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181-185
    • /
    • 2022
  • 고객들은 조작된 온라인 리뷰가 범람하는 가운데 진정성과 가치를 지닌 리뷰를 보고자한다.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의 관점에서, 사람들은 리뷰어의 과거 평가 이력을 바탕으로 리뷰가 진정성 있는지를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리뷰어의 과거 평점 이력이 조작된 리뷰로 인식하는 것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최종적으로 리뷰 유용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제안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차 데이터 분석(연구1)과 실험(연구2)을 수행했으며, 두 연구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준다. 연구 1은 리뷰어의 과거 평가 이력이 리뷰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귀인이론에 근거하면, 사람들은 리뷰를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고 인식할 경우에 리뷰가 조작되었다고 생각하고, 그 리뷰가 물건이나 서비스의 진정한 가치를 평가하지 않았다고 간주한다. 따라서 해당 리뷰는 유용성이 낮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2차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우리는 Python을 이용한 웹 스크레이퍼를 개발하여 TripAdvisor(TripAdvisor.com)에서 호텔 정보, 리뷰, 리뷰 정보 등의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890명 리뷰어에 대한 100,621개의 리뷰를 분석하기 위해 음이항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 평점을 낮게 주는 리뷰어의 경우에 리뷰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은 극단적인 평점을 거의 주지 않는 리뷰어가 작성한 리뷰가 더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연구 2는 리뷰어의 과거 평점 이력을 기준으로 리뷰가 조작되었다고 평가하는 사람들의 인식 프로세스를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사람들은 리뷰어의 과거 평점 이력이 평균적으로 평점을 낮게 주는 경우에는 리뷰가 의심스럽다고 판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람들은 리뷰어가 대부분 극단적인 평점을 주는 이력이 있다면 해당 리뷰어가 작성한 리뷰가 의심스럽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2는 사람들이 리뷰어의 과거 평점 이력을 바탕으로 리뷰가 조작되었는지 또는 리뷰가 도움이 되는지 판단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귀인이론을 바탕으로 리뷰어의 과거 평점 이력이 리뷰 조작성에 대한 인식과 리뷰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해당 연구분야에 새로운 관점을 추가한 기여점이 있다.

  • PDF

The Developments of changes in shareholders wealth around merger announcement. (건설업종 신용평점 모형의 개발과 검증)

  • Lee, Seong-Hy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9 no.2
    • /
    • pp.111-13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종에 특화된 신용평가 모형을 개발하여 건설업종에 대한 부도 예측력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건설업은 여타 업종과는 다른 재무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재무적 안정성이 취약하고 자산의 대부분이 매출채권, 재고자산으로 구성되어 유동성이 극히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건설업종의 특성을 충분히 감안한 신용평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것이다. 신용평가 모형 중 그 현실적 유용성이 높아 많이 이용되어 오던 신용평점 모형을 개발하였다. 총 2,475개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모형구조 및 각종 계량지표 및 비계량지표에 대한 분석을 주로 평균차이 검증과 로짓분석에 의거 선정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신용평점 모형은 매출액 경상이익률, 총 현금흐름 대 차입금 비율 등 9개의 재무지표와 5분류의 비재무지표로 구성되었다. 이 모형을 기존의 신용평점모형과 비교한 결과 신규모형의 변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제시한 신용평점모형과 그 개발 방법이 향후 금융기관들의 부실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수익성을 개선하는데 일조하리라 기대된다.

  • PDF

Movi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Latent Factor Model (잠재요인 모델 기반 영화 추천 시스템)

  • Ma, Chen;Kim, Kang-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1
    • /
    • pp.125-134
    • /
    • 2021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film industry, the number of films is significantly increasing and movie recommendation system can help user to predict the preferences of users based on their past behavior or feedback. This paper proposes a movi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he latent factor model with the adjustment of mean and bias in rating.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is used to decompose the rating matrix and stochastic gradient descent is used to optimize the parameters for least-square loss function. And root mean square error is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We implement the proposed system with Surprise package. The simulation results shows that root mean square error is 0.671 and the proposed system has good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papers.

The Differential Impacts of Temporary Aberration on Online Review Consumption and Generation (온라인 리뷰 소비 및 생성에 대한 일시적 이상 현상의 차등 효과)

  • Junyeong Lee;Hyungjin Lukas Kim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3 no.3
    • /
    • pp.127-158
    • /
    • 2021
  • Many online travel agencies (OTAs) provide average ratings and time-relevant information or the most recently posted reviews regarding hotels to satisfy customers. To identify these two factors' relative influence on behavioral decision-making processes, we conducted two studies: (1) an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to explor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two on online review consumption and (2) an empirical approach to examine their relative impact on online review generation. The results show that when review posters observe an inconsistency between average ratings and recent reviews, they tend to deviate from the recent reviews regardless of the overall direction (reactance behavior). Meanwhile, review consumers tend to conform to the opinions presented in recent reviews (herding behavior). Additionally, in both cases, the effects are amplified in case of a negative aberr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relative influences of average rating and recently posted reviews and their different impacts on online review consumption and generation.

Movie Rating Inference by Construction of Movie Sentiment Sentence using Movie comments and ratings (영화평과 평점을 이용한 감성 문장 구축을 통한 영화 평점 추론)

  • Oh, Yean-Ju;Chae, Soo-Hoa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6 no.2
    • /
    • pp.41-48
    • /
    • 2015
  • On movie review sites, movie ratings are determined by netizens' subjective judgement. This means that inconsistency between ratings and opinions from netizens often occurs.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sentiment sentence sets which affect movie evaluation, and apply sets to comments to infer ratings. Creation of sentiment sentence sets is consisted of two stages, construction of sentiment word dictionary and creation of sentiment sentences for sentiment estimation. Sentiment word dictionary contains sentimental words and its polarities included in reviews. Elements of sentiment sentences are combined with movie related noun and predicate from words sentiment word dictionary. In this study, to make correspondence between polarity of sentiment sentence and sentiment word dictionary, sentiment sentences which have different polarity with sentiment word dictionary are removed. The scores of comments are calculated by applying averages of sentiment sentences elements.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s that sentence scores from sentiment sentence sets are closer to reflect real opinion of comments than ratings by netizens'.

A study on average changes in college students' credits earned and grade point average according to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COVID-19 situation

  • Jeong-Man, Se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3
    • /
    • pp.167-175
    • /
    • 2023
  • In the context of COVID-1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how college students' earned grades and average grade point averages changed according to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For this study, grade data was extracted using an access database. For the study, 152 students during the 3rd semest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grade point average, average grade point average, midterm exam, final exam, assignment score, and attendance score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classes. As an analysis method, independent sample t-test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It was concluded that the face-to-face class students had better grades and average GPA. As a result, the face-to-face class students showed 4.39 points higher than the non-face-to-face class students, and the average grade value was 0.6642 points higher.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face-to-face class averaged 21.22 and the non-face-to-face class had 16.83 point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face-to-face students' grade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f non-face-to-face students, and that face-to-face student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class.

Association analysis of admission factors and academic achievement (입학전형요소와 학업성취도의 연관성 분석)

  • Ko, Jeong Hwan;Song, Joon Hyub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6
    • /
    • pp.1475-1480
    • /
    • 2014
  • This article analyze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ho entered A university from 2011 to 2012 using grade point average (GPA).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ssion factors and academic achievement. Contrary to our expectation, GPA of student selected from KSAT is higher than that of selected from CSAT. So, designing and running university entrance typ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mission factors deliberately.

The Influential Factors on Premenstrual Syndrome College Female Students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Jung, Geum-Sook;Oh, Hyun-Mi;Choi, In-R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5
    • /
    • pp.3025-3036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nfluential factors on premenstrual syndrome(PMS) of college female students which are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such symptom. The subjects were 330 college femal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 2012 to April 6, 2012. From the results, There has been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PMS(r=.36, p<.001) and the attitude to menstruation has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MS as well(r=.34,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employed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n PMS and the result has shown that menstrual attitude, grade point average for stress, smoking and dysmenorrhea have been the most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with 27% of explanatory power. The level of significance has been high in menstrual attitude(${\beta}$=.28, p<.001), grade point average for stress(${\beta}$=.27, p<.001), smoking(${\beta}$=.20, p<.001) and dysmenorrhea(${\beta}$=.15, p<.001) respectively. In conclusion, it needs to find nursing interventions for PMS related to psychosocial factors and suggest a narrative study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P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