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 탐색률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Grasping a Target Object in Clutter with an Anthropomorphic Robot Hand via RGB-D Vision Intelligence, Target Path Planning and Deep Reinforcement Learning (RGB-D 환경인식 시각 지능, 목표 사물 경로 탐색 및 심층 강화학습에 기반한 사람형 로봇손의 목표 사물 파지)

  • Ryu, Ga Hyeon;Oh, Ji-Heon;Jeong, Jin Gyun;Jung, Hwanseok;Lee, Jin Hyuk;Lopez, Patricio Rivera;Kim, Tae-Seong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1 no.9
    • /
    • pp.363-370
    • /
    • 2022
  • Grasping a target object among clutter objects without collision requires machine intelligence. Machine intelligence includes environment recognition, target & obstacle recognition, collision-free path planning, and object grasping intelligence of robot hands. In this work, we implement such system in simulation and hardware to grasp a target object without collision. We use a RGB-D image sensor to recognize the environment and objects. Various path-finding algorithms been implemented and tested to find collision-free paths. Finally for an anthropomorphic robot hand, object grasping intelligence is learned through deep reinforcement learning. In our simulation environment, grasping a target out of five clutter objects, showed an average success rate of 78.8%and a collision rate of 34% without path planning. Whereas our system combined with path planning showed an average success rate of 94% and an average collision rate of 20%. In our hardware environment grasping a target out of three clutter objects showed an average success rate of 30% and a collision rate of 97% without path planning whereas our system combined with path planning showed an average success rate of 90% and an average collision rate of 23%. Our results show that grasping a target object in clutter is feasible with vision intelligence, path planning, and deep RL.

The Effectiveness of Hierarchic Clustering on Query Results in OPAC (OPAC에서 탐색결과의 클러스터링에 관한 연구)

  • Ro, Ju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8 no.1
    • /
    • pp.35-50
    • /
    • 2004
  •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static hierarchic clustering model to clustering query results in OPAC. Two clustering methods(Between Average Linkage(BAL) and Complete Linkage(CL)) and two similarity coefficients(Dice and Jaccard) were tested on the query results retrieved from 16 title-based keyword searchings. The precision of optimal dusters was improved more than 100% compared with title-word searching.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imilarity coefficients but clustering methods in optimal cluster effectiveness. CL method is better in precision ratio but BAL is better in recall ratio at the optimal top-level and bottom-level clusters. However the differences are not significant except higher recall ratio of BAL at the top-level duster. Small number of clusters and long chain of hierarchy for optimal cluster resulted from BAL could not be desirable and efficient.

An Index Interpolation-based Subsequence Matching Algorithm supporting Normalization Transform in Time-Series Databases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 보간법을 기반으로 정규화 변환을 지원하는 서브시퀀스 매칭 알고리즘)

  • No, Ung-Gi;Kim, Sang-Uk;Hwang, Gyu-Yeong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8 no.2
    • /
    • pp.217-23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에서 정규화 변환을 지원하는 서브시퀀스 매칭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정규화 변환을 시계열 데이터 간의 절대적인 유클리드 거리에 관계 없이, 구성하는 값들의 상대적인 변화 추이가 유사한 패턴을 갖는 시계열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에 유용하다. 기존의 서브시퀀스 매칭 알고리즘을 확장 없이 정규화 변환 서브시퀀스 매칭에 단순히 응용할 경우, 질의 결과로 반환되어야 할 서부시퀀스를 모두 찾아내지 못하는 착오 기각이 발생한다. 또한, 정규화 변환을 지원하는 기존의 전체 매칭 알고리즘의 경우, 모든 가능한 질의 시퀀스 길이 각각에 대하여 하나씩의 인덱스를 생성하여야 하므로, 저장 공간 및 데이터 시퀀스 삽입/삭제의 부담이 매우 심각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덱스 보간법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인덱스 보간법은 인덱스가 요구되는 모든 경우 중에서 적당한 간격의 일부에 대해서만 생성된 인덱스를 이용하며, 인덱스가 필요한 모든 경우에 대한 탐색을 수행하는 기법이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몇 개의 질의 시퀀스 길이에 대해서만 각각 인덱스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모든 가능한 길이의 질의 시퀀스에 대해서 탐색을 수행한다. 이때, 착오 기각이 발생하지 않음을 증명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질의 시에 주어진 질의 시퀀스의 길이에 따라 생성되어 있는 인덱스 중에서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탐색을 수행한다. 이때, 생성되어 있는 인덱스의 개수가 많을수록 탐색 성능이 향상된다. 필요에 따라 인덱스의 개수를 변화함으로써 탐색 성능과 저장 공간 간의 비율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질의 시퀀스의 길이 256 ~ 512중 다섯 개의 길이에 대해 인덱스를 생성하여 실험한 결과, 탐색 결과 선택률이 $10^{-2}$일 때 제안된 알고리즘의 탐색 성능이 순차 검색에 비하여 평균 2.40배, 선택률이 $10^{-5}$일 때 평균 14.6배 개선되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탐색 성능은 탐색 결과 선택률이 작아질수록 더욱 향상되므로, 실제 데이터베이스 응용에서의 효용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Effectiveness of Boole logic retrieval, Fuzzy retrieval and Probabilistic retrieval (불논리검색, 퍼지검색, 확률검색의 효율 비교연구)

  • 이젬마;사공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4.12a
    • /
    • pp.15-18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불논리검색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검색 모형인 퍼지검색과 확률검색의 효율을 불논리검색과 상호비교하였다. 실험데이터로 정보학 분야의 한국어 test collection인 KT Test Set을 이용하였고 색인어와 색인어의 문헌내 출현빈도를 바탕으로 퍼지시소러스를 생성하여 시소러스의 NT, BT로 탐색식을 확장한 다음 각각에 대해 3가지 검색을 행하고 검색효율을 평균재현율과 평균정확률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검색효율은 재현율에서는 확률검색, 불논리검색, 퍼지검색 순으로. 정확률에서는 퍼지검색, 확률검색, 불논리검색 순으로 나타났다.

  • PDF

Automatic Left Ventricle Segmentation on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e (심장 자기공명영상에서의 좌심실 자동 분할 알고리즘)

  • Jo, Hyun Wu;Lee, Hae-Yeo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561-564
    • /
    • 2010
  • 의학과 기술 발달로 인해 질병과 사고에 의한 사망률은 줄어들었으나, 심장 관련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증가하였다. 심장 질환을 예방하는 데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심장기능을 분석하고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장 기능의 분석은 이완기와 수축기 사이의 혈류량 및 심박구출률 계산을 통한 심장 운동능력 평가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 단축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심실 영역을 자동 분할하여 혈류량 및 심박 구출률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K평균 군집화 기법을 적용하여 좌심실을 분할하고, 그래프 탐색 기법에 기반하여 분할 오류를 수정하였다. 15명의 지원자에 대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혈류량과 심박구출률을 계산하였고, 수동윤곽검출 및 General Electronics 사의 MASS 소프트웨어와 비교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수동윤곽검출과 차이는 혈류량의 경우 평균적으로 이완기에 $4.6mL{\pm}3.9$, 수축기에 $2.1mL{\pm}2.4$로 나타났고, 심박구출률은 $1.8%{\pm}1.7$이었다. 전반적으로 MASS소프트웨어에 비해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Automatic Left Ventricle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K-mean Clustering and Graph Searching on Cardiac MRI (K-평균 클러스터링과 그래프 탐색을 통한 심장 자기공명영상의 좌심실 자동분할 알고리즘)

  • Jo, Hyun-Wu;Lee, Hae-Yeou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8B no.2
    • /
    • pp.57-66
    • /
    • 2011
  • To prevent cardiac diseases, quantifying cardiac function is important in routine clinical practice by analyzing blood volume and ejection fraction. These works have been manually performed and hence it requires computational costs and varies depending on the operator. In this paper, an automatic left ventricle segmentation algorithm is presented to segment left ventricle on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es. After coil sensitivity of MRI images is compensated, a K-mean clustering scheme is applied to segment blood area. A graph searching scheme is employed to correct the segmentation error from coil distortions and noises. Using cardiac MRI images from 38 subjects, the presented algorithm is performed to calculate blood volume and ejection fraction and compared with those of manual contouring by experts and GE MASS software. Based on the results, the presented algorithm achieves the average accuracy of 6.2mL${\pm}$5.6, 2.9mL${\pm}$3.0 and 2.1%${\pm}$1.5 in diastolic phase, systolic phase and ejection fraction, respectively. Moreover, the presented algorithm minimizes user intervention rates which was critical to automatize algorithms in previous researches.

A Log Analysis Study of an Online Catalog User Interface (온라인목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 탐색실패요인을 중심으로)

  • 유재옥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7 no.2
    • /
    • pp.139-153
    • /
    • 2000
  • This article focuses on a transaction log analysis of the DISCOVER online catalog user interface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The results show that the most preferred access point is the title field with rate of 59.2%. The least used access point is the author field with rate of 11.6%. Keyword searching covers only about 16% of all access points used. General failure rate of searching is 13.9% with the highest failure rate of 19.8% in the subject field and the lowest failure rate of 10.9% in author field.

  • PDF

An Index-Based Subsequence Matching Algorithm Supporting Normalization Transform in Time-Series Databases (시계열 데이타베이스의 인덱스 보간법을 기반으로 정규화 변환을 지원하는 서브시퀀스 매칭 알고리즘)

  • 노웅기;감상욱;황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152-15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에서 정규화 변환을 지원하는 서브시퀀스 매칭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정규화 변환은 시계열 데이터간의 절대적인 유클리드 거리에 관계없이, 구성하는 값들의 상대적인 변화 추이가 유사한 패턴을 갖는 시계열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에 유용하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몇 개의 질의 시퀀스 길이에 대해서만 각각 인덱스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모든 가능한 길이의 질의 시퀀스에 대해서 탐색을 수행한다. 이때, 착오 기각이 발생하지 않음을 증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인덱스가 요구되는 모든 경우 중에서 적당한 간격의 일부에 대해서만 생성된 인덱스를 이용한 탐색 기법을 인덱스 보간법이라 부른다. 질의 시퀀스의 길이 256~512 중 다섯 개의 길이에 대해 인덱스를 생성하여 실험한 결과, 탐색 결과를 선택률이 10-5일 때 제안된 알고리즘의 탐색 성능이 순차 검색에 비하여 평균 14.6배 개선되었다.

  • PDF

An On-Line Hangul Recognition System Based on the Structural Information and the Best-First Search (구조적 정보를 근거로 최적우선탐색하는 온라인 한글 인식)

  • Kwon, Oh-Sung;Kwon, Young-B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2.10a
    • /
    • pp.515-523
    • /
    • 1992
  • 일반적으로 한글 인식 과정은 많은 후보들을 생성하며 이 후보들로부터 정확한 인식결과를 얻고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한글 표현과 탐색기법이 요구된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글에 적합한 구조적 정보들을 4단계 계층적 형태로 표현한다. 그리고 이 정보들을 근거로 후보 문자의 생성과 탐색을 진행하며 전체적으로 최적우선탐색을 이룬다. 인식실험은 다양한 필자들을 대상으로 한글 잦기 상위 422자로 실험한 결과 평균 86% 인식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An exploration of tour skill factors influential to game results of LPGA players (LPGA 선수들의 시즌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 기술요인 탐색)

  • Son, Seung Bum;Lee, Chang Ji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4 no.2
    • /
    • pp.369-37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ich factors mostly influenced players' tour results employing tour skill factors provided by LPGA. For this study, Top 10 LPGA players' stats during 9 years (2004 2012) were used. As matter of fact, 10 variables were used like average score, top 10 finish, average putt, average birdies, average eagles, driving distance, driving accuracy, greens in regulation, sand saves, putts per GIR. and prize money earn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using SPSS win 20.0.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influential tour skill factor to 9 seasons' results was average score, second influential factor was average putt, and the third factor was driving distance, and then top 10 finish was the fourth. Also on a year on year basis, 2004 was average score, 2005 was GIR., 2006 was average eagles, 2007 was top 10 finish, 2008 was average score, 2009 was average putt, 2010 were average score, GIR. and putt per GIR, 2011 was average birdies and 2012 was putt per G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