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치

Search Result 3,697,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세수추계모형의 예측력 비교

  • Go, Yeong-S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2 no.1_2
    • /
    • pp.3-55
    • /
    • 2000
  • 본 연구는 세입증가율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각종 세수추계모형의 예측능력을 상호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고려하는 세수추계 방식은 네 가지이다. 첫째는 단순 ECM 모형으로서 오차수정모형(error correction model)을 각각의 세목에 적용하여 세수를 예측하는 것이다. 둘째는 SUR-ECM 모형으로서 단순 ECM 모형의 개별 회귀방정식을 통합하여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방식으로 추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세수를 예측하는 것이다. 셋째와 넷째는 흔히 사용되는 탄성치 방식으로서, 과거의 연도별 탄성치를 5년간 또는 10년간 평균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의 세수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형비교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단순 ECM 모형과 5년 평균 탄성치 모형은 예측력에 있어 큰 차이가 없다. 둘째, SUR-ECM 모형과 10년 평균 탄성치 모형은 예측력에 있어 큰 차이가 없다. 셋째, 단순 ECM 모형보다는 SUR-ECM 모형의 예측력이 높으며, 5년 평균 탄성치 모형보다는 10년 평균 탄성치 모형의 예측력이 높다. 넷째, 어느 경우에든 예측 오차가 상당히 크고 이러한 오차는 예측시계가 넓어질수록 커진다. 예를 들어, 5년 후의 세수에 대한 예측치는 평균적으로 오차의 절대값이 10% 수준에 이른다. 탄성치 모형이 단순 ECM 모형이나 SUR-ECM 모형에 비해 그리 나쁜 예측결과를 낳지 않는다는 것은 새로운 사실이다. 또한 5년 평균 탄성치보다 10년 평균 탄성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예측치를 낳는다는 것은 세수예측에 있어 최근의 자료만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과거 꽤 오랜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Palaeoenvironmental Implication of the Quaternary Gravel Sequences on the Basis of Gravel Shape (역의 형태에 의한 제4기 역층준의 고환경적 고찰)

  • Ju Yong Kim;Duck Keun Choi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4 no.1
    • /
    • pp.41-57
    • /
    • 1990
  • Gravel shapes of the terrace gravel sequences are compared with the present river gravels and beach gravels in the Pohang and its surrounding areas. Seventeen gravel textural parameters are divided into 5 groups based on R-mode factor analysis. Among them, three parameters (RDm, MPSm, SZstd) are selected for a test of discriminant possibility of palaeoenvironment of the terrace gravel deposits. Marine gravels are in the range of 0.49 to 0.75 in mean roundness, 0.46 to 0.78 in mean maximum projection sphericity and 0.39 to 1.85 in standard deviation of size, whereas river gravels are 0.28 to 0.51 in mean roundness, 0.66 to 0.72 in mean maximum projection sphericity and 1.04 to 1.81 in standard deviation of size. For practical access to the palaeoenvironment discrimination, a bivariant diagram between mean roundness and mean maximum projection sphericity is the most effective. The marine terrace gravels are plotted within the variation range of present beach gravels and show 0.49 to 0.71 in mean roundness and 0.59 to 0.66 in mean maximum projection sphericity. The gravels of river terrace vary within the range of gravels derived from present river bed and are characterized as 0.36 to 0.48 in mean roundness and 0.66 to 0.71 in mean maximum projection sphericity.

  • PDF

A Coverage-Based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for Imperfect Fault Detection and Repeated Construct Execution (불완전 결함 발견과 구문 반복 실행을 고려한 커버리지 기반 신뢰성 성장 모형)

  • Park, Joong-Yang;Park, Jae-Heung;Kim, Young-Soo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6
    • /
    • pp.1287-1294
    • /
    • 2004
  • Recently relationships between reliability measures and the coverage have been developed for evaluation of software reliability. Particularly the mean value function of the coverage-based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is important because of its key role in rep-resenting the software reliability growth. In this paper, we first review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mean value functions with respect to the assumptions on which they are based. Then a new mean value function is proposed. The new mean value function is developed for a general testing environment in which imperfect fault detection and repeated construct execution are allowed. Finally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is empirically evaluated by applying it to a real data set.

The Inference of Early Goguryo Kings' Reign Period (고구려 초기 왕의 재위 기간 추정)

  • Lee, Geun-U;Rhee, Keun-M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1049-1052
    • /
    • 2013
  • 저자들은 1980 년대 후반부터 역사학적 논쟁들을 통계적 수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해보고자 하는 시도들을 하여 왔다. 최근에는 역사학의 논쟁점 중이 하나인 화랑세기의 진위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시도의 일환으로 이 연구는 기획되었다. 이 글에서는 일본의 고대 기년 추정 방법을 참고하면서 세대 평균치와 재위 평균치의 추정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삼국사기" 초기 기년 문제에 대한 해명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종래에는 세대 평균치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아서 편차가 심한 왕별 재위기간 평균치만 사용하여 재위기간 추정의 오차가 컸다. 또한 여러 가지 추론들이 주관적인 판단에 의지한 부분이 많아서 폭넓은 지지를 얻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세대 평균치와 재위 평균치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는 한편, 양자를 결합한 추정 방안을 마련해 볼 것이다.

A Study on Predicting Volatility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in Korea (국내 외환 시장에서의 환율 변동성에 관한 연구)

  • 송영효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33-34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GARCH 모델과 이동평균법을 이용한 국내 외환 시장에 있어서의 변동성 척도가 비교 분석되었다. 즉 두가지 알고리듬을 통하여 정보의 내용과 외환시장 변동성의 변통성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GARCH 모형에 의할 변동성 추정치는 예측력에 있어서는 이동평균 추정치 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정보내용의 측면에서 성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GARCH모형에 의한 추정치는 이동평균 추정치 보다 편의성(Bias)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동성의 가치에 대해서 논의하고, 이러한 변통성 추정치를 통해서 실제 환율변동을 헷지하기 위한 옵션매매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언급하였다.

  • PDF

주식을 과연 투자대상으로 고려해도 좋은가?

  • Park, Jeon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9 no.1
    • /
    • pp.145-161
    • /
    • 2003
  • 본 연구는 1980년부터 1999년까지 20년간 주식을 비롯하여 회사채, 국채, 정기예금, 그리고 부동산의 투자성과를 먼저 포트포리오 선택기준으로 사용되는 평균-분산 기준, 기하평균수익률 기준, 그리고 안전제일기준으로 각 투자자산의 투자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그리고 위험조정 성과평가 방법인 Sharpe 측정치, Treynor 측정치,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의해서도 각 투자대상의 투자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첫째, 평균-분산 기준에 따른 투자성과를 살펴보았을 때, 주식의 연평균수익률이 18.6%로 가장 높았으나 위험이 35.7%로 수익률에 비해 지나치게 높았다. 위험 한 단위당 수익률을 평가했을 때에는 정기예금이 가장 우수한 투자대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사채와 국채가 그 다음이었다. 주식은 가장 열등한 성과를 보였다. 둘째, 기하평균수익률에 의해 자산의 투자성과를 평가했을 때에는 회사채와 국채의 수익률이 15.4%와 14.4%로 주식의 수익률, 13.6%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주식을 규모별로 나누어 수익률을 측정했을 때 소형주의 기하평균수익률이 25.3%가 되어 다른 투자대상의 수익률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정기예금의 기하평균수익률(10.5%)은 주식보다 낮았고 부동산(7.5%)이 가장 열등하였다. 셋째, Roy의 기준으로 투자자산의 성과를 평가했을 때에도 회사채와 국채가 각각 1위와 2위를 보였고 정기예금이 3위를 나타냈다. 주식은 정기예금보다 못한 4위에 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위의 세 기준에 의한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회사채와 국채가 가장 뛰어난 투자대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정기예금이 그 다음으로 투자성과가 좋았고 주식은 정기예금보다도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위험조정 성과평가 방법인 Sharpe 측정치, Treynor 측정치,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의해서도 각 투자대상의 투자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먼저 Sharpe 측정치에 의해 평가했을 때, 회사채가 주식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Treynor 측정치에 의한 평가를 했을 때는 정기예금이 가장 우수했다.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따라 투자대상을 평가했을 때는 회사채와 국채가 주식보다 앞섰다. 마지막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했을 때는 회사채가 주식보다 우수했고 정기예금은 주식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 PDF

Characteristic Values of Design Parameters for Geotechnical Reliability Design (지반신뢰성 설계를 위한 설계변수의 특성치 연구)

  • Yoon, Gil-Lim;Yoon, Yeo-Won;Kim, Hong-Y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4 no.5
    • /
    • pp.27-35
    • /
    • 2008
  • Geotechnical characteristic values for reliability-based design were analyzed using domestic marine clays.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close to mean values in oder of Student/Ovesen, Schneider and EN 1990's approach.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EN 1990's approach is inappropriate far estimating geotechnical characteristic value due to low reliability of estimation results. Four approaches had a trend of evaluating characteristic value conservatively with increasing of soil variability. Also, stability and settlement of breakwater subjected to nominal stress with unimproved soft grounds were compu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timated characteristic values. In case of using the Schneider's approach, the ratio of allowable bearing capacity/acting loads suggested 65% of that obtained from using the arithmetic mean approach, and showed underestimated value of 13.6% of the settlement obtained from the latter. The comparison of case designs using a representative value from arithmetic mean approach with the proposed approaches, using characteristic value showed that the former was mostly overestimated.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uted tomographic equipment in Korea (국내 CT장치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Yang, Han-Jun;Go, Sin-Gwan;Park, Jun-Cheol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5 no.2
    • /
    • pp.83-83
    • /
    • 2002
  • 국내 35개 병원의 44대의 CT장치를 대상으로 CT장치의 성능을 크게 7가지의 항목별로 구분하여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물의 평균 CT number는 -18.9HU와 +68.6HU의 범위에 속했으며, 전체 장치의 평균은 $2.4{\pm}13.0\;HU$였다. 물의 평균 CT number의 권장수준을 -6과 +6로 하였을 경우 이에 적합한 장치는 35대(79.5%)였다. Contrast scale은 장치의 종류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평균은 $2.02{\pm}10^{-4}{\sim}1.665{\pm}10^{-5}$이었다. 직선성을 나타내는 상관계수는 0.984에서 0.992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평균은 $0.990{\pm}0.002$였다. 공간분해능은 0.60 m에서 1.25 mm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전체 장치의 65.9%에 해당되는 29대에서 0.75 mm의 공간 해상능을 나타내었다. 대조도 분해능은 3.2 mm(1/8인치)에서 19.1 mm(3/4인치)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대조도 분해능의 권장수준을 6.4 mm 이하로 하였을 경우 측정 대상장치 44대 중 이에 적합한 장치는 37대(84.1%)였다. 슬라이스 두께의 설정치가 1 mm인 경우 측정치의 평균은 $2.0{\pm}0.6\;mm$이였으며, 설정치가 2 mm와 3 mm인 경우 측정치는 각각 $3.0{\pm}0.7\;mm$$3.5{\pm}0.6\;mm$이였다. 설정치가 5 mm와 7 mm인 경우 측정치는 각각 $5.1{\pm}0.6\;mm$, $7.0{\pm}0.5mm$이였다. 그리고 10 mm의 설정치에서는 $9.8{\pm}0.7\;mm$의 측정치를 나타내었다. 위치잡이용 중심선의 좌우방향의 편차는 -4.7 mm에서 +41.7 mm의 범위였으며, 상하방향의 편차는 -3.7 mm에서 +4.6 mm의 범위였다. 위치잡이용 중심선의 좌우 및 상하방향의 권장수준을 ${\pm}3.0\;mm$${\pm}3.0\;mm$ 이하로 하였을 경우 41대의 측정 대상장치에서 이에 적합한 장치는 33대(80.5 %)였다.

  • PDF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Hampel Filter to outlier check for river water level data (하천수위 자료 이상치 점검에 대한 Hampel 필터의 적용성 평가)

  • Park, Heeseong;Kim, Hyo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52-352
    • /
    • 2022
  • 수위자료는 기초 수문자료의 하나로서 자료 수집시 이에 대한 품질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이상치 여부를 점검하여 이상치로 확인된 경우 소거하거나 수정하는 등의 처리를 해야 한다. 수위자료의 이상치 점검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아직 일반화된 방법은 없다. 이에 다양한 방법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Hampel 필터는 신호처리 시 신호의 이상치를 찾아 보완하려고 개발된 필터이다. 시계열자료에서 이상치를 감지하는 고전적인 접근 방법은 이동평균과 이동표준편차를 이용하는 것이지만 고전적인 이동평균과 이동표준편차는 이상치의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이상치의 추정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하여 Hampel 필터는 이동평균 및 이동표준편차 대신 중앙값과 중앙값 절대편차(Median Absolute Deviation; MAD)를 이용함으로써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Hampel 필터는 신호처리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부드러운 Sine 곡선에 적합할 것으로 보이며, 이미 하천수위 변화보다는 부드러운 변화를 보이는 저수지수위의 이상치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변화가 급격하고 첨두가 발생하는 하천의 수위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호처리에 사용되는 Hampel 필터를 이용하여 수위자료의 이상치 점검에 적용하고 과거 자료에 기록된 실제 이상치 자료와 비교하여 그 성능을 평가해 보았다.

  • PDF

APPROXIMATE ESTIMATION OF THE SURVIVAL RAT IN FISH POPULATION UTILIZING THE LENGTH COMPOSITION (체장조성으로서 생잔율를 추정하는 방법 - I)

  • SHIN Sang Taek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9 no.2
    • /
    • pp.143-150
    • /
    • 1976
  • A trial has been made to find out a new method of calculating the survival rate of a fish Population utilizing the length composition dat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curve of the length which usually is normal distribution curve. In this paper, a stochastic method is introduced and applied to calculate the survival rate of yellow croaker caught by Korean trawler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n 1971. The results are as follows : Mean of survival rate 0.46089 Variance 0.03073 Standard deviation 0.17529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0.36040-0.56138.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