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수면상승고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xperimental Study for Hydraulic Characteristics as the Permeable Underlayer Thickness of Rubble mound Structure (사석방파제 투수하부층 두께에 따른 사면상의 수리특성 실험연구)

  • 윤한삼;김종욱;류청로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6 no.3
    • /
    • pp.40-45
    • /
    • 2002
  • In this study, the effects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as the permeable underlayer thickness of the rubble mound structure changes. A series of hydraulic experiments were performed and wave run-up, reflection and set-up were investigated. Result indicated that wave run-down was affected by the water out from the permeable underlayer during down-rush. As the thickness increased, relative wave run-up decreased.

Experimental study for Hydraulic Characteristics as the Permeable underlayer width of Rubble Mound Structure (사석방파제 투수층 두께에 따른 사면상의 수리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 윤한삼;남인식;김종욱;류청로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5a
    • /
    • pp.160-165
    • /
    • 2001
  • In this study, the effects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as the permeable underlayer width of the rubble mound structure changes. A series of hydraulic experiments were performed and wave run-up, reflection and set-up were investigated. Results indicated that wave run-down was affected by the water out from the permeable underlayer during down-rush. As the width increased, relative wave run-up decreased.

  • PDF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ediment Discharge in 2009 (2009년 하천 유사량 특성 분석)

  • Go, Ju-Yeon;Lee, Yeon-Kil;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29-173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7개 지점(여주, 적성, 왜관, 진동, 공주, 구례2, 나주)에 대해 유사량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유사량은 강우가 집중되는 홍수기와 이의 전 후시기인 저 평수기(2회)로 나누어 왕복수심적분법(D-74)으로 측정하였고, 하상토는 BM-54, Grab Sampler(60 L), 선격자 등을 이용하여 홍수기 전 후로 2회 채취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그 목적에 따라 여과법(부유사농도), BW관법(부유사입도분포), 체분석법(하상토입도분포)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로 작성된 평균 부유사농도 및 Oden Curve와 입도분포곡선과 수리량(수위, 유속, 측정수심, 수면폭, 수면경사, 수온)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총유사량(미측정구간의 유사량 포함)을 추정(실측+계산: Modified Einstein)하였다. 총유사량 추정시, 세류사량을 제외한 부유사량을 적용하였다. 유량-부유사농도와 부유사량 및 총유사량 관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나의 강우사상의 수위 상승-첨두-하강에 대한 측정성과는 대체적으로 Loop 형태를 보였고 이로 인해 일부 지점에서 측정성과들 간의 산포도가 다소 크게 나타났으며 수위 하강 때보다 상승시 초기 탁도의 증가 현상으로 부유사농도가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2) 유량-부유사농도, 부유사량, 총유사량 관계에서 왜관과 공주 지점의 경우, 첨두 수위에서 값들의 최고치를 보였고 나머지 지점들은 첨두 수위의 앞선 측정 수위에서 최고치를 보였다. 이는 강우사상별, 강우강도, 댐 방류량, 수위 상승-하강부, 유량에 따른 부유사농도와 부유사량의 특성이 각각 다른 점과 총유사량 추정시, 추정방법에서 추천하는 범위에서 벗어나는 자료를 적용해서 나타나는 결과로 판단된다. 여기서 유량, 수심, 하상토의 입도크기 등 자료의 범위가 추정공식들이 추천하는 범위에서 벗어나면 그 분석 결과도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은 그만큼 총유사량 공식의 범용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때로는 자료 전체에 대해 전반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이는 공식보다는 정확한 답을 원하는 자료의 범위 내에서 예측하는 공식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공식을 적용하여 유사량을 추정하고자 하는 하천이나 수로의 특성에 맞는 유사량 공식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Discharge in 2010 (본 2010년 하천 유사량 특성 분석)

  • Go, Ju-Yeon;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2-332
    • /
    • 2011
  • 하천 유사량 특성 분석은 하천유역 내의 수리구조물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홍수터 관리, 저수지 설계 및 운영 등 수자원 개발 및 관리를 위한 하천계획의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현장 측정에서 분석까지 정밀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알아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6개 지점(여주, 왜관, 진동, 공주, 나주, 구례2)에 대해 유사량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유사량은 강우가 집중되는 홍수기(왕복수심적분법; D-74측정장비 / 표면채취법)를 중심으로 측정하였고 하상토의 경우는 Grab Sampler(60L), 선격자법 등을 이용하여 홍수기 전 후로 2회 채취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특성에 따라 여과법(부유사농도), BW관법(부유사입도분포), 체분석법(하상토입도분포)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정된 평균 부유사농도, Oden Curve와 입도분포곡선 및 수리량(수위, 유속, 측정수심, 수면폭, 수면경사, 수온)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총유사량(Modified Einstein 방법)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량-부유사량 및 총유사량 관계: 유량-부유사량의 관계에 있어 대체적으로 일관된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총유사량과의 관계 역시 부유사량과 비슷한 경향성을 보임. 일부 성과의 경우, 총유사량과의 관계에 있어 Modified Einstein 조건의 불충족(자갈하상재료 또는 저유속)으로 부유사량과 동일추정이거나 추정불가 및 이상치가 나타남. 2) 유량-부유사량 특성: 전체적으로 루프현상을 보이며 초기 강우 사상에서는 더 많은 유사량이 발생하는데 이는 초기 강우에 의해 유사 이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특성임. 또한 수위 상승-하강에 따른 부유사량 자료가 더욱더 확보된다면 수위 상승과 하강부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3) 유량-유사량관계식 개발: 개발된 관계식은 총유사량이 아닌 부유사량으로 개발되었으며, 측정성과들 간의 상관계수가 0.9723(구례2 지점) ~ 0.8490(나주 지점)으로 분석됨. 또한 개발된 관계식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적용 시에는 주의가 요구됨.

  • PDF

A Method Study on Discharge Computation of Backwater effect station by Handle of Gate of a Geumgang estuary dyke (금강하구둑 갑문조작에 의한 배수영향 지점에서의 유량산정 방법 연구)

  • Lee, Chung-Dae;Han, Hak-Young;Lim, Tae-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07-1311
    • /
    • 2010
  •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홍수량 자료뿐만 아니라 저 평수량의 자료도 매우 중요하며, 이는 최근의 가뭄 발생으로 인하여 용수공급 및 하천수질관리 문제에서 저수위 유량자료의 파악이 중요한 관심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저수위에 대해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유량자료를 확보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연속적인 유량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자연하천에서 수위-유량관계는 수위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유량변화가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고 변동을 하기 때문에 단일함수 관계로 설명이 가능하다. 하지만 갑문 조작에 영향을 받는 구간에서는 수위와 유량만의 단일함수 관계가 아닌 갑문의 개 폐에 따라 수위와 유량이 변동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일반하천에 비해 수위-유량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본 연구는 금강 하구둑의 갑문조작에 의하여 배수영향을 받는 규암 수위관측소에 대하여 수위-하강고-유량관계를 이용한 유량환산방법, 수면경사를 매개변수로 추가한 다중 회귀식 개발, 자동유량측정 장치를 이용한 유속지수법, 기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한 유량환산,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를 이용한 유량측정성과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갑문조작에 의한 배수영향을 받는 지점의 안정적인 유량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각 유량환산 방법에 따라 실측 유량과 환산유량 비교의 결과 수위-하강고 유량관계의 경우 평균 26.60%, 기존 수위-유량관계곡선의 경우 130.29%, 유속지수법의 경우 36.48%, 다중회귀식의 경우 24.65%의 상대오차가 발생하였다.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 in Surf Zone using the SWASH Model during Typhoon NAKRI(1412) in Haeundae Beach (SWASH 모형을 이용한 태풍 나크리(NAKRI)에 의한 해운대 해수욕장의 쇄파대 수리특성 해석)

  • Lee, Jong-Sup;Park, Myeong-Won;Kang, Min-Ho;Kang, Tae-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1 no.5
    • /
    • pp.591-598
    • /
    • 2015
  • A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the surf zone such as wave breaking points, wave set-down, wave set-up, wave-induced currents and run-up heights are studied using the SWASH model during Typhoon NAKRI(1412) in Haeundae Beach. Incident wave conditions is obtained from one-hourly observed wave data by KHOA and irregular wave by JONSWAP spectrum is given as an open boundary condition in the model. A Wave-induced current patterns by the SWASH model is compared with the observed currents and sediment flux patterns in that areas, the calculated maximum wave run-up heights in the model is compared with the video monitoring data, the empirical formula by Stockdon et al. and Mase. A dominant longshore currents toward the east of the beach appears due to the effect of incident wave direction and the geographical features and some rip currents occurs at the central part of the beach. The maximum wave run-up height(1.15 m) by the SWASH model shows a similar pattern with the video monitoring data(1.26 m) and the magnitude shows a similar result(1.33m) by Stockdon et al.

Seasonal sea Level oscillations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동해 해수면의 계절적인 변동에 대하여)

  • OH, IM SANG;RABINOVICH, ALEXANDER B.;PARK, MYOUNG SOOK;MANSUROV, ROALD N.
    • 한국해양학회지
    • /
    • v.28 no.1
    • /
    • pp.1-16
    • /
    • 1993
  • The monthly mean sea levels at 48 stations located at the East and Yellow Seas coasts of Korea, Russia and Japan are processed to investigate seasonal sea level variations. The strong seasonal variations are found to be at the west coast of Korea (42.1 cm in Kunsan), in the region of the Korea strait and near the southern part of Primorye (30-33 cm); the weak ones near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Sakhalin Island (10-12 cm). Practically for the whole study area except the southwest Sakhalin, the general picture of the seasonal sea level changes is alike: the mean sea level rises in summer-autumn and falls in winter-spring. The spectral analysis of the records also shows that the seasonal oscillations strongly dominate in the sea level variations, more than 80% or total energ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investigated region and 50-70% in the northern part relate to these oscillations. The annal peak significantly prevails in spectra of the monthly sea levels for the majority of stations, the semiannual peak is also well manifested, but the seasonal peaks of higher order (corresponding to the periods of four and three months) reveal only at some records. The maximal amplitudes of annual component by a least square method are found at the Yellow Sea coast of Korea (20-21 cm) and also near the Japanese coast of the korea Strait (19-19 cm). The semiannual component has the maximal amplitudes (3-4 cm) near the south and southwestern coasts of the Sakhalin Island. The annual range of the sea levels is much weaker here than in the other regions, the relative investment of the seasonal oscillations in total energetic budget is only 35-40%, annual ($A_1$) and semiannual ($A_2$) components have nearly the same amplitude (seasonal factor $F=A_1/A_2=0.9-1.2$). On the basis of the present examination on sea level changes together with the results of Tomizawa et. al.(1984) the whole investigated area may be divided into 10 subregions, 2 of them are related to the Yellow Sea and Western part of the Korea Strait (Y1, Y2), the other ones (E1-E8) to the East S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