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방전전력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전해질 내 방전 전극의 기포 막 두께에 따른 플라즈마 전력의 변화

  • Yun, Seong-Yeong;Gwon, Ho-Cheol;Kim, G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43-443
    • /
    • 2010
  • 액체 표면을 전극으로 하는 플라즈마 방전은 생물학적 살균, 분해 처리 등에 필요한 UV 및 화학적 활성종의 생성에 유리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 특성 등에 관한 연구는 액체막의 유동 및 기하학적 구조 상 진단의 제한으로 인하여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전해질 내 방전은 전극 표면의 기포 막 에 인가되고 그 두께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액상 전해질의 인가 전압 및 점성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기포 막 크기와 인가 전력간의 관계와 이에 따른 전해질 내 플라즈마의 특성이 음극 글로우 방전임을 밝혔다. 실험에서는 전기 전도도 1.6-3.2 S/m의 NaCl 수용액 전해질에 양극성 전극을 삽입하고 350 kHz의 전압을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하였다. 인가된 전압은 230 - 280 V이며 전해질의 점성도는 젤라틴을 첨가하여 1E-4-1.1 kg/m${\times}$sec로 조절하였다. 기포 막의 두께 및 변화는 고속카메라를 통하여 관측하였으며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는 고전압 프로브와 전류 프로브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기포 막은 전극표면에서 막 비등을 통하여 발생됨을 밝혔다. 인가 전력과 손실 열에너지간의 비율에 따라 기포막은 수축과 확장의 진동을 반복하였으며 전기 유체적 모델을 통하여 기포 막의 동적 거동에 따른 플라즈마에 인가된 전력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기포 막의 평균적인 두께는 인가 전압과 비례하여 약 $150\;{\mu}m$에서 $200\;{\mu}m$로 증가하였으며 진폭은 점성의 증가 시 약 $50\;{\mu}m$에서 $20\;{\mu}m$로 감소하였다. 순간적인 플라즈마 인가 전력은 평균적인 두께에 따른 평균적인 두께에 대해서는 15 - 20 W의 변화를 보였으나 진폭의 감소 시 17 - 70 W의 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점성도가 큰 조건에서 기포 막의 확장이 억제되어 방전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Partial Discharge Detection and Statistic Value Calculation of Power Cable Using Data Acquisition System (데이터 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케이블의 부분방전 검출과 통계량 계산)

  • 조경순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3 no.12
    • /
    • pp.1651-1658
    • /
    • 2002
  • Recently power cable used generally in Korea, because installation is very simple and it has high stability. It confirms to the requirements of IEEE std. 404-1993 by factory testing, but many problems of insulated cable systems are caused by internal defects of the joint part which have to be mounted ensile. Especially, fault rates are arise from impurities or voids. A suitable solution for a monitoring of power cable during the after-laying test and service is partial discharge detection. The artificial defects between cable joint(EPR) and insulator(XLPE) interface are considered in this research to investigating the part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varphi}$-q-n properties were detected using data acquisition system and Maximum charge($q_{max}$), repetition rate(${\={n}$), average charge(${\={q}$), Unbalance rate of ${\={n}$ and ${\={q}$ are calculated in order to analysis partial discharge properties quantitatively from this statistic value.

  • PDF

State Space Averaging Based Analysis of the Lithium Battery Charge/Discharge System (상태공간평균에 의한 리튬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해석)

  • Won, Hwa-Young;Chae, Soo-Yong;Hong, Soon-Cha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4 no.5
    • /
    • pp.387-396
    • /
    • 2009
  • The life and performance of lithium battery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formation process which is essential in the process of manufacture. Charge/discharge system for the lithium battery are required for the formation process. To simulate such a system in a conventional method takes very long time and requires huge memory space to save data files. So the simulation may be impossible with a general-purpose PC. In this paper, the lithium battery is modelled to a resistor-capacitor serial circuit and the lithium battery charge/discharge system is analyzed and simulated by using state space averaging method. As a result, the simulation time is reduced dramatically and the simulation of the lithium battery charge/discharge system becomes possible on a general-purpose PC within 3 hours. Also, both the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the time required to charge/discharge of the lithium battery charge/discharge system can be observed. To verify the propriety of resistor-capacitor serial circuit modeling method for lithium battery and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and simulation based on state space averaging, the lithium battery charge/discharge system is composed and experimentations are carried out.

준안정 준위를 포함한 헬륨 플라즈마의 영차원 모사 연구

  • O, Seung-Ju;Bang, Jin-Yeong;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20-520
    • /
    • 2012
  • 플라즈마 방전의 공간 평균 모사는 플라즈마 변수에 대한 정확한 값을 주지는 않지만 방전외부 조건에 따른 플라즈마 변수 변화를 통해 플라즈마 특성을 예측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준안정준위를 포함한 다단계 이온화 반응을 고려하여 헬륨 플라즈마의 공간 평균 모사를 진행하였다. 플라즈마에 흡수된 전력, 압력에 따른 각 입자의 생성, 소멸에 대한 입자 보존식과 전자에 대한 에너지 보존식을 통하여 플라즈마 변수를 얻었으며, 반응식을 세우기 위하여 헬륨 원자 에너지 준위 내의 특정 준위를 택하여 준위 간의 전이 반응 계수를 계산하였고 실험값과 비교하였다.

  • PDF

Properties of Partial Discharge accompanying with Electrical Tree in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전기트리에 수반되는 부분방전의 특성)

  • 이광우;박영국;강성화;장동욱;임기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5a
    • /
    • pp.234-238
    • /
    • 1999
  • The correlation between shape of electrical trees and partial discharge(PD) pulses in low density polyethylene(LDPE) were discussed. We observed growth feature of electrical tree by using optical microscope. On the basis of experimental results of measurements of trees occurring in the needle-plane arrangement with needle shape void and without needle shape void , statistical quantities are derived, which are relevant to PD pulse amplitude and phase. The PD quantities detected by partial discharge detector. we were analyzed q-n distribution pattern and $\psi$ -q-n distribution pattern. In this experiment, electrical trees in the needle-plane arrangement with needle shape void propagated branch type tree and in the needle-plane arrangement without needle shape void propagated bush type tree

  • PDF

Design of the High frequency controller for Corona Surface Processes (코로나 표면 처리를 위한 고주파 제어기 설계)

  • Choi, Chul-Yong;Lee, Dae-Si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5.07a
    • /
    • pp.385-38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 방전 처리를 위해서 PDM에 의한 전압원 직렬공진인버터의 제어와 동작을 위한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PDM 인버터는 동작주파수와 일정 DC 전압 상태에서 평균 출력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AC 출력단자에 구형파 AC 전압과 영전압 상태를 생성한다. 또한 스위칭 손실의 최소화를 위해서 영전류 스위칭과 영전압 스위칭을 모든 동작 상태에서 이루어짐을 보인다. 또한 강한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진 코로나 방전 부하에 대하여 $5%{\sim}100%$의 폭 넓은 방전 전력을 제어함을 보인다.

  • PDF

Peak Power Distribution for MicroC/OS-II (MicroC/OS-II 운영체제에서의 순간 최대전력 분산 기법)

  • Woo Jang-Bok;Suh Hyo-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352-354
    • /
    • 2006
  • 최근 PDA, PMP, 핸드폰 등 휴대용 임베디드 기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기능이 점점 다양해지며, 고성능을 추구하게 됨으로써 전력 소모 역시 증가하게 되었다. 휴대용 임베디드 기기는 대부분 배터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에너지원이 제한적이어서 한정된 에너지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전력관리 기법에 대한 연구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시스템 사용시간의 연장을 위해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었으나, 기존의 방법들은 각각의 방전 패턴에 따라서 사용시간이 달라지는 배터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주로 시스템의 평균 전력 소비 감소만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의 방전 특성을 고려하여 휴대용 임베디드 기기에서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MicroC/OS-II 운영체제에서의 순간 최대전력 분산 기법을 제안한다.

  • PDF

Part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Silicone Rubber for Insulators due to Appling Voltage Time (애자용 실리콘 고무의 전압인가시간에 따른 부분방전특성)

  • Kim, T.Y.;Lee, H.J.;Shin, H.T.;Lee, S.W.;Lee, C.H.;Hong, J.W.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c
    • /
    • pp.1454-1456
    • /
    • 2003
  • 전기절연재로서의 성능이 우수하며, 다른 물질과의 결합 및 성형의 편리성 및 경량화에 부합할 수 있는 실리콘 고무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수애자에 사용중인 실리콘 고무를 선택하여 제조시에 발생할 수 있는 내부보이드에 대한 전기적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리콘 고무를 3층으로 적층하여 중간층 중심에 비슷한 체적으로 인공보이드를 원통 및 삼각기등형의 보이드를 제작하여 보이드형상 변화에 따른 부분방전전하량을 측정하였다. 위상(${\Phi}$)-전하량(q)-빈도(n)에 대한 데이터를 3차원그래프로 나타냈으며, 또한 평균방전전류 및 방전전력 변화를 통한 보이드 결함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전압인가 시간에 따라 원통보이드의 경우 초기에는 방전전류 및 방전전력이 증가 하다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냈으며, 삼각기둥보이드의 경우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PDF

Operating System Driven Peak Power Distribution for Secondary Battery Optimization (2차 전지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운영체제 수준에서 순간최대 전력 분산기법)

  • Lee Byong-Ho;Suh Hyo-Joong;Kim Hy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901-903
    • /
    • 2005
  • 최근 배터리를 에너지원으로 작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에 않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배터리는 각각의 방전 패턴에 따라 사용가능한 시간이 결정이 되며 따라서 효율적인 배터리 관리 정책에 따라 배터리 사용 시간을 연장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평균 전력 소비 감소만을 고려한 방법들과 달리 배터리의 방전 특성을 고려한 순간 최대전력 분산 기법을 적용하여 운영체제 수준에서 효율적인 전력사용 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 PDF

Properties of PD Pulses Accompanying with Bush-type Tree in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에서 부시형 전기트리에 수반되는 부분방전 펄스의 특성)

  • 강성화;박영국;정수현;이광우;임기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 /
    • v.11 no.12
    • /
    • pp.1055-1059
    • /
    • 1998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pagation of electrical tree and distributions of partial discharge(PD) pulses accompanying with electrical tree of bush type in low density polyethylene were discussed. We measured the growth of electrical tree by using optical microscope and PD data simultaneously. The PD data detected and analyzed were PD magnitude, repetition rate, average discharge power, average phase angle, and $\psi$-q-n distribution pattern. The average discharge power and repetition rate of PD had good linear relation with area of tree. Repetition rate and peak discharge magnitude and width of discharge phase angle increased with the tre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