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가 영역

Search Result 6,32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Empirical Study on Developing IS Evaluation Indices: In Case of Public Sector (정보시스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

  • Jung, Hae-Yong;Kim, Sang-Hoon;Choi, Kwang-D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331-344
    • /
    • 2003
  •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의 평가영역 및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정보시스템의 주요 평가영역을 시스템영역, 사용자영역, 조직 및 경영영역, IS의 전략적 기여도 및 IS의 자원관리 적정도의 총 5개 영역으로 범주화하고 각 평가영역별 세부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영역 및 세부 평가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증분석 자료는 25개 정부기관에서 현재 운영중인 65개 정보시스템들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부문 정보시스템의 평가영역은 시스템영역, 사용자영역, 조직 및 경영영역, IS의 전략적 기여도, IS의 자원관리 적정도의 5개의 영역으로 이론적으로 도출된 가설적 모형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세부 평가항목에 있어서도 시스템영역의 경우에는 시스템의 질, 정보의 질, 서비스의 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적 모형과 일치하였다. 그러나 사용자영역은 원래 2개의 평가항목으로 즉, 인식된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당초 추론하였으나 1개의 평가항목(사용자 만족도)으로 통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조직 및 경영영역은 내부업무효율성, 고객만족도, 조직혁신, 정보화역량 향상도의 4개 평가항목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을 구성하는 평가지표는 요인분석과 더불어 기준 타당도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총 57개의 평가지표가 유의적으로 도출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Internet Website Evaluation of Local Government (지방자치단체의 인터넷 웹사이트의 평가에 관한 연구)

  • 박동진;김선주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05a
    • /
    • pp.77-80
    • /
    • 2002
  •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웹사이트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을 통해서 공공 부문 웹사이트 평가의 일반적 영역과 각 요인들을 파악한 후, 이를 기반으로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하는 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평가 영역은 크게 공공서비스 평가영역, 커뮤니티 서비스 평가영역, 행정지원 평가영역, 기술 및 정보인프라 평각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별로 다시 세부영역을 파악하였으며, 각 세부영역에는 3내지 5개 정도의 평가요인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평가모형은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 졌다.

대학교수 종합평가의 평가내용요소별 가중치

  • Gwon, Gi-Uk
    • 대학교육
    • /
    • s.76
    • /
    • pp.83-89
    • /
    • 1995
  • 교수종합평가는 교육.연구.봉사 영역 모두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 어느 한 영역의 평가결과가 우수하면, 다른 영역의 결과는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모든 영역에서 평가결과가 우수한 경우는 드물다. 그리고 교수종합평가의 평가영역 및 평가요소별 가중치는 개인의 가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교수의 종합평가나 중점평가에 적용될 가중치는 특정 개인의 주장만을 반영하기보다 많은 사람이 합의한 결정에 근거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보다 많은 대학과 다양한 학문계열의 교수들을 표집하여 객관적인 입장에서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로 도출된 가중치는 대학교수들의 평가에 적용되어 평가결과의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of 'Inquiry' for Subject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puter in Vocational Education Section (직업탐구영역 정보·컴퓨터 관련 교과들의 '탐구' 영역에 대한 평가준거 개발)

  • Na, HyunJin;Kim, JongHye;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2 no.3
    • /
    • pp.1-10
    • /
    • 2009
  • Evaluation criteria of 'Inquiry' for subject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puter in Vocational Education Section are four and not spec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evaluation criteria of 'Inquiry' for subject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puter in vocational education section. To design evaluation criteria of 'Inquiry', this paper analyzed college entrance tests and performance capabilities of computing graduating. This paper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as judged by a panel of experts. 'Inquiry' was classified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This paper developed three evaluation criteria for 'Analysis', six evaluation criteria for 'Synthesis' and two evaluation criteria for 'Evaluation' with sample evaluation tool.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Jung-Yeoun;Jeong, Dong-Y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2 no.4 s.58
    • /
    • pp.39-59
    • /
    • 2005
  •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examine the current level of their capability of using information, and make a evaluation model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consists of six fields information resource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thics. Based on the result of statistic factor analysis, the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evaluation factor, and evaluation procedure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 instruction guidance.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for Each Stage of Public Informatization Projects Implementation (공공정보화사업 추진단계별 평가항목 개발)

  • Jung, Hae-Yong;Kim, Sang-Ho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323-33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사업의 성과는 직접적으로 하나의 효과만을 발생시키지 않고 다양한 단계에서 다양한 형태의 성과로 발생된다는 점에서 정보화사업의 추진단계를 사업추진 전(前) 단계(사전평가), 사업추진 진행단계(진행평가), 사업추진 완료 후 운영단계(사후평가)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정보화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화사업 추진단계별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각 추진단계별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의 개발은 정보화사업 평가항목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 외 공공부문에서 실제 적용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도출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의 중점연구대상 정보화사업인 문화정보화사업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각 단계별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으로는 사전평가에서는 사업추진 계획영역의 비용산정적정도, 사업적 타당도, 전략적 타당도, 위험도분석, 추진계획적정도의 5개의 평가항목으로, 진행평가에서는 사업추진 실행영역의 사업추진효율성, 자원관리적정도, 아웃소싱관리적정도 등 3개 평가항목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후평가에서는 정보시스템 구축성과 영역의 경우 시스템품질, 정본품질, IS 서비스 품질을, 정보시스템 운영성과 영역은 시스템의 활용도와 사용자 만족도를, 조직 및 경영성과 영역은 사업적 기여도와 전략적 기여도를 각각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각 평가항목별 세부 평가항목을 함께 제안하였다.

  • PDF

Exploring the direction of Assessment in Korean High School Mathematics through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Mathematics Domain Changes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를 통해 살펴본 고등학교 수학 평가의 방향 탐색)

  • Choi, Inseon;Lee, Sehyung;Moon, Duyeol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6 no.2
    • /
    • pp.137-15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hifts in the mathematics domain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since its inception in 1993, with the intent of identifying improvements for the future. The goal is to provide insights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assessment in Korean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To this end, we focused on the test system, content area, and behavioral area within the CSAT mathematics domains. Key findings include: first, the test structure influences the assessment factors and item types, in addition to the examination time and number of items. Second, by analyzing the content area, we established a correlation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ssessment area, an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etting the assessment area.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behavioral area tended to the item-type fixation, demonstrating the necessity of the ongoing modifications in evaluation item types. Building up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direction of an evaluation that considers the evolving demands and shifts within mathematics education.

The Methodology to evaluate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 on Business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Industry: A Case Study of evaluation (제조기업에서 정보기술 및 시스템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 방법 연구: 제조업체 적용사례 분석)

  • 김태균;최경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653-65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및 시스템이 제조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평가, 과정평가, 사후평가의 3단계 성과평가모델을 제안하고 특히, 사후평가에서는 BSC(Balanced Scorecard)의 4가지 관점인 재무, 내부 프로세스 평가영역에 대해 구매, 설계, 생산, 물류, 판매, 서비스, 연구/개발, 환경의 8가지 핵심 업무 영역으로 구분하고, 조직(학습 및 성장), 고객 평가영역에 대해서는 기업전체 또는 각 단위 사업부문별 평가를 바탕으로 각 영역별 KPI(Key Performance Index)와 KPI 영향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평가모델을 통해 시스템 도입과 활용의 전 과정을 고려하여 시스템이 업무 영역간의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 PDF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서술형 평가 자료 개발

  • 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57-172
    • /
    • 2010
  •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술형 평가의 유형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서술형 예시 평가 문항을 개발해 보는데 목표가 있다.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평가 자료의 분석은 수학교과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지, 서울시 교육청 보급 2010 장학자료집, 서울시내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평가 문항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예시 서술형 평가 문항개발은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문항 분석의 결과는 문항 유형이 단순하고 교과서와 장학자료집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창의성 영역의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서술형 예시평가 문항의 개발은 수학과의 내용영역과 인지적 영역뿐 아니라 교육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창의성 영역까지 평가내용으로 포함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영역별 1-2 문항을 개발하였다.

  • PDF

The Effect of Evaluation Factor on Re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China Cellular Phone Market (중국 휴대폰 시장에서의 구매 평가영역에 대한 만족이 재구매의도와 타인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Choi, Soo-Ho;Kim, Shin-Jo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2
    • /
    • pp.117-127
    • /
    • 2019
  •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istic elements for a evaluation factor(design, function, quality, price, conveniency, personnel factor), the evaluation facto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 intention that the China cellular phone users perceived by group. The survey was divided into "design, function, quality, price, conveniency, personnel factor, re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 intention". As a study result, every characteristic elements for a evaluation factor excepting price had an effect on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design, function, quality, conveniency, personnel factor satisfaction. And all evaluation factors had an effect on repurchase and recommend intent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repurchase and recommend intention in China cellular phone market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 elements satisfaction for design, function and personnel factor. And after the design, function and personnel factor satisfaction were improved, we could improve the repurchase and recommend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