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가척도

검색결과 2,423건 처리시간 0.042초

CDMA 이동전화 통화품질평가를 위한 객관적 음질평가척도별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Objective Measures for Speech Quality for Evaluation in CDMA Mobile Telephone)

  • 이준희;김광수;윤정오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21세기 신지식정보의 창출
    • /
    • pp.256-26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이동전화(CDMA) 채널환경을 통과한 왜곡된 전화음성에 대해 객관적 음질평가 척도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기존의 CD(Cepstral Distance), MSD(Mel Spectral Distance), BSD(Bark Spectral Distance), Modified BSD, PSQM(Perceptual Speech Quality Measure)를 대상으로 객관척도 알고리즘을 성능평가 하였다. 이 척도들은 실제 이동전화 환경에서 수집된 PCS 음성데이터에 대해서 적용하였으며 이 결과치를 주관적 음질평가 방법인 MU와 상관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BSD와 MBSD, 그리고 PSQM 척도의 상관성이 각각 0.80, 0.85, 0.84로 나타났으며 CD, MSD 보다 성능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함을 보였다.

  • PDF

향 감성평가 척도개발 및 향 감성구조 분석 (Development of an Emotion Scale and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Emotion Induced by Odors)

  • 손진훈;박미경;이배환;민병찬
    • 감성과학
    • /
    • 제5권1호
    • /
    • pp.61-7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향 감성을 측정할 수 있는 향 감성평가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향의 감성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향 감성평가 척도제작을 위해 향 감성관련 형용사를 수집한 다음, 37개의 향 감성 형용사를 선발하여 양극 7점 척도로 구성된 척도를 작성하였다. 304명의 실험 참여자는 집단실험에 참여하여 향 감성을 평정하였다.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2주 후에 동일한 절차와 조건에서 53명의 실험 참여자를 대상으로 재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높고 요인부하가 한 요인에 많이 차지하는 25개의 형용사를 최종 선택하여 양극 7점 척도로 이루어진 향 감성평가 척도를 제작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10대, 20대, 30∼40대 남녀 각각 24명씩으로 개별 실험을 통해 cederwood oil, peppermint oil, rose oil, grapefruit oil, teebaum oil의 다섯 가지 향에 대한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향 감성구조는 '심미성', '강도', '낭만성', '자연성', '개성'의 다섯 요인으로 구성되었음을 밝혔다. 연령에 따른 향 감성구조는 유사하였으나 향 종류별 감성구조는 약간 다르게 나타났다.

  • PDF

통신재난 시나리오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DCS 전송망의 생존도 평가

  • 박구현;신용식;남택승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7년도 춘계 학술대회 발표집
    • /
    • pp.66-71
    • /
    • 1997
  • 생존 트래픽 비율로만 정의되는 기존의 생존도는 통신 재난시 트래픽의 상대적 중 요도와 복구기간에 대한 생존도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트래픽의 상대적 중요도 에 따라 트래픽을 복구함으로써 재난의 사회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복구기간을 반영하는 새 로운 평가척도로서 재난영향 평가척도를 제시한다. DCS 전송망에 대해 제시한 재난 영향 평가척도 및 기존의 생존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통신재난 시나리오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다. 통신재난 시나리오 분석 시스템[1]은 장애발생, 복구방법 및 복구과정 관련 시나리오등으로 구성되므로 DCS 전송망에 대한 생존도 계산이 가능하다. 통신재난 시나리오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송망에 대해 얻은 재난영향 평가척도 결과 및 기존 생존도 결과를 비교 하였다.

  • PDF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Validity of the Teacher's Scales for Gifted Preschool Children)

  • 이채호;최인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483-49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이의 타당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15곳에서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57명과 이들의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 그리고 부모였다.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 계수 및 상관계수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요인(언어능력, 창의성, 과제집착력, 예술적 능력, 리더십)으로 구성되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문항은 20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둘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의 준거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부모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결과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의 변별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유아영재와 일반유아 간의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점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영재가 일반유아보다 더 뛰어난 것으로 판별되었다. 넷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의 신뢰도는 .82~.91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9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척도가 유아 영재성을 측정하는 데 신뢰롭고 타당한 것임을 보여준다.

한국형 해사영어 구술시험 평가 플랫폼 및 척도 개발

  • 설진기;최승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6-288
    • /
    • 2018
  • 본 발표는 대한민국 해기사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위해, 해사 영어 구술시험 개발의 필요성을 타국의 사례 등을 통해 제안하고, 이를 위해 시범 개발 중인 "한국형 해사 영어 구술시험"의 개발 제작 과정과 현재 개발 진행 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추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구술시험 평가 수립을 위한 유관 산업 문헌 조사(국제 교통 관련 산업 의사소통 지침, 평가 척도), 해기사 직무에 따른 영어 구술시험 문제 개발 계획 수립 및 시험 설계 시 검토 사항, 모의 구술시험 설계 및 시행, 모의시험 효과 측정, 측정 결과에 따른 향후 평가 척도 개발 시 고려 사항, 구술 평가를 인공지능 평가 방법 도입 방안 모색 등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소개하고, 이에 대한 결과물을 공유하며, 향후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한국노인의 연구참여를 위한 동의능력평가척도의 타당성 연구 (The Validation of a Measurement for Assessing the Capacity of Korean Older Adults to Consent to Research)

  • 이민홍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3호
    • /
    • pp.55-7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노인복지연구 참여를 위한 고지된 동의과정에 동의능력평가가 활발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국형 동의능력척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노인복지시설에서 보호를 받고 있는 404명의 노인을 조사하였다. 연구 1(n=202)에서는 동의능력검사척도의 신뢰도, 탐색적 요인분석, 수렴 및 기준 타당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2(n=202)는 연구 1을 통해 수정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내적 신뢰도, 확증적 요인분석, 수렴 및 기준 타당도 분석 등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본 척도의 내적신뢰도 계수가 .90로 높은 수준이었고, 모델 적합도 지수(RMSEA=.057, NNFI=.94, IFI=.96, CFI=.96)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관련변수와의 높은 상관관계 계수를 통해 수렴 및 기준타당도가 검증되었다. 한국형 동의능력평가척도가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임상(clinical) 및 조사(survey)연구 참여를 위해 동의능력을 평가하는 척도로서 적합함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척도는 노인을 대상으로 수행될 연구와 프로그램에서 고지된 동의과정을 위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웨어러블 컴퓨터에 대한 사용성 평가 연구 -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자켓 디자인을 위한 평가척도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for Wearable Computer : Evaluation Scale for User-Centered Smart Jacket Design)

  • 육형민;전명훈;오창영;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7권3호
    • /
    • pp.7-13
    • /
    • 2004
  • 사용자 중심의 일상 생활용 스마트 자켓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네 유형의 스마트 자켓 사례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스마트 자켓은 내장되는 기기의 종류와 사용 용도를 고려하여 네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척도 구성을 위하여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60개의 사용성 평가문항을 구성하였다 각 스마트 자켓 유형에 대한 사용성 평정 결과 10개의 대표 범주 요인이 추출되었고, 각 유형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범주 요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켓 유형별 중요 요인이 서로 달랐으며, 이 결과는 사용성 평가 척도 개발 시 디자인하는 스마트 자켓 유형에 따라 고려해야 할 중요 사용성 요인이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성 평가 척도에서의 우선 순위도 서로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독립척도 기반의 비즈니스 컴포넌트 식별 (Identification of Business Component based on Independence Metric)

  • 최미숙;조은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3호
    • /
    • pp.625-634
    • /
    • 2004
  • 컴포넌트 아키텍쳐 설계를 위하여 재사용 가능한 독립적인 비즈니스 컴포넌트의 식별은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그러나 기존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들의 컴포넌트 시별 방법은 대다수 개발자의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개발자들에 의해서 식별된 컴포넌트가 보다 독립적으로 잘 정의되었는지 평가할 기준이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발자의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는 비즈니스 컴포넌트 식별의 어려운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비즈니스 컴포넌트 식별의 평가 기준이 되는 메트릭을 컴포넌트의 특성을 부여하여 정의한다. 즉, 비즈니스 컴포넌트 식별을 위하여 컴포넌트 내의 응집도는 높고 컴포넌트 간의 결합도는 낮아야 하는 컴포넌트 특성을 적용한 응집척도와 결합척도를 제안한다. 또한 컴포넌트의 응집도와 결함도의 비율에 의하여 비즈니스 컴포넌트의 독립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독립척도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응집척도, 결합척도 그리고 독립척도를 사례에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평가한다.

적용조건 매트릭스를 이용한 신뢰성 척도 식별 기법 (An approach of the Reliability Metrics Identification Using an Application Condition Matrix)

  • 박진희;최옥주;백종문;신주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36-239
    • /
    • 2010
  • 소프트웨어 신뢰성 보증을 위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프로세스는 다양한 관점에서 대상 소프트웨어 시스템뿐만 아니라 관련된 조직 및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신뢰성 평가 프로세스 수행 단계 중 단계별 척도 식별단계는 대상 시스템의 도메인 특성을 반영해야 하는 까다로운 작업이다. 현재 신뢰성 관련 척도들이 여러 문서에 다양한 의미로 혼재해 있어 이를 조사하는데 많은 노력이 들며 대상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척도 식별을 위해 불필요하게 많은 회의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문서 및 관련문헌에 근거하여 신뢰성 척도 POOL 을 구성하고 각 척도 원시 데이터의 수집 조건에 기반한 적용조건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신뢰성 관련 척도 조사 및 수집, 척도 식별 과정에서 소요되는 자원, 시간의 낭비를 줄이고자 한다. 이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소요된 시간과 기존의 회의를 통해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의 효과를 평가한다.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라쉬분석의 적용 (Applying Rasch Analysis for Validation of School Function Assessment)

  • 박경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69-27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라쉬분석을 통하여 한글판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도구의 구성타당도, 척도 적합성을 검증함으로써 이 평가도구의 국내 사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 및 경기, 충청 지역의 만 7세~12세(초등학교 1학년~6학년)인 98명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보호자 및 담임 특수교사 또는 작업치료사와 직접 면담 또는 전화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라쉬분석을 통하여 단일차원모형(unidimensionality)에 대한 적합통계치(fit statistics)를 제시하였다. 또한, 라쉬분석의 평정척도모형(rating scale model)을 이용하여 평정척도의 적합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라쉬분석 결과 각 25개 하위척도 내 총 328개 항목 중 단일모형 적합통계치가 부적합한 항목은 Part II 과제지원 영역에서 총 4개였고, Part III 신체적 과제 영역에서 부적합 항목은 18개, 인지/행동적 과제 영역에서 부적합 항목은 14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한글판 학교기능평가 도구의 모든 평가 하위영역의 5점 평정척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글판 학교기능평가 도구의 구성타당도와 평정척도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5점 평정척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부적합 항목이 발견되어 앞으로 국내 타당도 확립과 준거제시를 위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