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가모형

Search Result 7,839,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Evaluation of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s for Ensemble Streamflow Simulation in Korea (유출 앙상블 생산을 위한 연속강우-유출 모델의 국내 적합성 평가)

  • Yu, Jae-Ung;Nguyen, Dinh Huy;Kim, Min-Ji;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12-312
    • /
    • 2020
  • 최근 우리나라의 계절적 강우변동폭이 점점 커져 홍수, 가뭄의 발생빈도와 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변화, 산업구조변화 등은 수자원의 수요량 및 공급량 불균형으로 이어져 수자원 관리에서 제약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역 내의 물순환을 평가에 있어서 물수지 모델 구축과 함께 정확한 강우-유출 분석은 매우 중요한 분석단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주요 연속강우-유출모형의 특성을 파악하고 모형 최적화를 통해 계측유역에 대해서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미계측유역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유량 시나리오를 제시하기 위하여 다수의 모형을 활용하는 앙상블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향후 미계측유역으로 모형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매개변수 개수 및 관측 유량에 대한 재현능력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0개 이상의 국내외 연속강우-유출모형을 소양강댐에 적용하였으며, 통계적 지표를 이용하여 모형을 1차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모형을 대상으로 매개변수의 개수 및 저유량, 중간유량, 고유량으로 분리하여 재현성을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앙상블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conceptual rainfall-runoff ensemble model using hierarchical Bayesian method (계층적 베이지안을 활용한 개념적 강우-유출모형 앙상블 모델 구축)

  • Yu, Jae-Ung;Kim, Min-Ji;Oh, Se-Cheong;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81-181
    • /
    • 2021
  • 유역 내의 물순환 평가를 위하여 적합한 강우-유출모형을 선정하고 적용하는 것은 수문학적 관점에서 주된 과제이다. 장기적인 관점의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직접적인 계측을 통해 장기간의 유출자료를 취득하는 방법이 있으나, 국내의 주요지점을 제외한 대다수의 중소규모의 지점에 계측기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자료취득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은 장기간 강우 자료를 강우-유출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으로의 모형을 확장하는 방안이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주요 연속강우-유출모형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교적 신뢰성 있는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소양강댐 유역에 다수의 연속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였다. 모델링 결과로 산출된 유황곡선(flow duration curve)을 소양강댐 유입량과 비교하여 각 모형의 특징을 파악하고 유량에 따른 적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향후 미계측유역으로 모형을 확장하기 위하여 매개변수 개수 및 재현능력을 동시에 평가하였다. 다수의 모형 중 적합성이 높은 모형들을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모형들의 불확실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계층적 베이지안 기법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앙상블모형을 제시하였다. 앙상블모형을 단일 모형과 비교한 결과 단일 모형보다 개선된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for Korean University Libraries (국내 대학도서관의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윤희윤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2 no.4
    • /
    • pp.45-75
    • /
    • 2001
  • University library is more than just a collection. In other words, it is an access point and gateway to a world-wide information. Therefore, the evaluation of hybrid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should be recognized an essential management activi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new evaluation model for Korean university libraries,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models and perception level of the shakeholder groups. As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suggested six evaluation domains, thirty-seven indicator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weight) and measure criterion.

  • PDF

Construction of Flood Risk Assessment Model on Changkyeong palace in Seoul, Korea (서울 창경궁 지역의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 구축)

  • Kim, Ji-Sung;Lee, H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2-702
    • /
    • 2012
  • 이상기후로 인하여 최근 급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가 요구되며, 2010년 광화문 침수 및 2011년 서울 강남지역의 침수 등과 같이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기존의 치수대비 개념으로 접근하여 인명 및 재산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건축문화재에 대한 대비는 충분하게 고려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문화재의 홍수 위험도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문화재인 창경궁의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모형 구축을 위해 현장 실측 유량 자료와 서울 기상청(종로구 송월동)의 강우자료(2011년 6월-8월의 8개 사상) 활용을 통해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HEC-HMS)의 매개변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창경궁 지역의 평가 모형 검증을 위해 2011년 7월 26-28일까지 모의한 홍수량을 지형정보시스템(GIS)에 적용하여 침수 지도를 작성하였으며, 작성된 침수 지도를 현장에서 조사한 침수 흔적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침수 면적이 약 10%의 오차를 보였으며, 수행한 모의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구축한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이 대상유역에 적합하며, 향후 홍수 위험도 평가를 위해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Graphical regression and model assessment in logistic model (로지스틱모형에서 그래픽을 이용한 회귀와 모형평가)

  • Kahng, Myung-Wook;Kim, Bu-Yong;Hong, Ju-He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1 no.1
    • /
    • pp.21-32
    • /
    • 2010
  • Graphical regression is a paradigm for obtaining regression information using plots without model assumptions. The general goal of this approach is to find lowdimensional sufficient summary plots without loss of important information. Model assessments using residual plots are less likely to be successful in models that are not linear. As an alternative approach, marginal model plots provide a general graphical method for assessing the model. We apply the methods of graphical regression and model assessment using marginal model plots to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Model for MMDBMS Software (MMDBMS 소프트웨어 품질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Park, Jin-Hwi;Shin, Seung-Jung;Kwack, Kae-Da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243-246
    • /
    • 2008
  •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모형은 범용 MMDBMS의 특성과 사용자 관점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SO/IEC 9126 모형을 바탕으로 MMDBMS의 품질특성을 결합하여 품질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연구한다. 품질평가 모형과 적용 방안은 전문가 집단의 검토와 합의를 거쳐서 제3의 기관의 측정을 통해 그 유효성을 확인한다. 본 논문은 품질평가 모형과 함께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실제적인 소프트웨어 품질평가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Conceptual Models for Evaluation of Urban Logistics Improvement (도시물류 개선 대안 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 정립)

  • 허윤수;남기찬;윤항묵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5
    • /
    • pp.7-18
    • /
    • 2001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oretical aspects of urban logistics with the aim of revealing limitations of the literature, suggesting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nd developing a conceptual model for evaluating policy alternatives. Several limitations have been revealed and, based on these, th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as more effort needs to be put on microscopic aspects of urban logistics ; and integrated conceptual evaluation models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models it defined microscopic evaluation factors by the subject of urban logistics activities, and with these factors it established a conceptual model. Especially it introduced the simulation models developed recently to predict the route of freight vehicles and suggested how both microscopic and macroscopic aspects of urban logistics could be evaluated.

  • PDF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ating Model for Investment (투자용 기술평가모형 개발사례 연구)

  • Hong, Jae-bum;Bae, Do Yong;Shim, Ki Jun;Hwang, Yujin;Kim, Sung-ta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v.20 no.6
    • /
    • pp.2993-3002
    • /
    • 2018
  • This case study introduce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technology rating evaluation model for investment. The technology evaluation rating model for investment is a project that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nd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collaborated to expand the scope of technology finance from loan to investment. The technology evaluation model for investment was developed with the aim of predicting high growth companies. The model consists of a statistical model and an expert model. Here, statistical models were modeled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xpert models gathered opinions of experts and identified the weight of each evaluation item and set the model. The rating system of the model is composed of 10 grades. The distribution of the model was consistent with KTRS grade distribution. Interestingly, the emphasis is on technology and marketability. In the technology valuation grade model for the goddess,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from the emphasis on managerial competence or business performanc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Model for Data Maturity of Library (도서관 데이터 성숙도 평가모형 개발 연구)

  • Sang Woo 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1
    • /
    • pp.213-23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esent a model that can evaluate the data maturity of library. To achieve this goal, library data maturity model can be applied to library was design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ata matur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proposed data maturity model consisting of 19 evaluation factors in 5 areas was designed, and the maturity level was set to 5 levels.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measure the data maturity of libraries participating in the library big data project using the data maturity evaluation model, and it can be expected that in the long term, it will be possible to present a direction for data-based library operation and data utilization development.

신경망 분리모형을 이용한 기업 신용 평가

  • Kim, David;Min, Seong-Hwan
    • 한국산학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13-25
    • /
    • 2005
  • 기업의 신용평가는 기업의 위험도를 측정하여 어음, 사채 및 대출금 등의 회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업의 신용평가 결과는 해당 기업의 채권 수익률이나 주가 등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금융기관, 투자자 및 거래처 등이 대출 결정, 투자 결정, 신용판매 등의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정확한 기업 신용 평가를 위해 다집단 분류 문제를 이집단 분류 문제화하는 신경망 분리 모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신경망 분리 모형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의 일반적인 신경회로망, 판별분석 모형과 비교한다. 실험 결과 신경회로망을 분리시켜 학습을 단순화시키는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