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편평상피세포암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5초

사지에 발생한 편평세포 상피암의 치료 (Treatm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 이두형;신규호;이수현;한수봉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6-133
    • /
    • 2005
  • 목적: 화상흔, 만성골수염 등의 고위험인자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예후가 서구에 비해 나쁜 것으로 알려진 우리나라의 사지에 발생한 편평세포 상피암의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8월부터 2002년 9월 사이에 본원에 내원당시 원격전이가 없었고, 치료 후 36개월 이상 외래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광범위 절제술 및 절제연을 얻기 힘든 사지 말단부나 신경, 혈관계를 침범한 경우에는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57.2세였고, 남자와 여자는 각각 16명과 4명이었다. 병기는 TMN Stage를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절제한 병변의 조직학적 분화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48.3개월(36~84개월)간의 외래 추적 결과 총 6예(30%)에서 전이가 있었다. 근접 림프절로의 전이가 3예, 원격전이가 3예였으며 원격 전이 장소로는 폐가 3예, 흉추가 1예였다. 최종 추시 상 생존은 18예였고 5년 생존률은 50%였다. 국소재발이 3예에서 있었으며 재발된 평균 시간은 11개월(4~18개월)이었다. 합병증으로 광범위 절제술 시행 후 이식 피부의 부분적인 착상 실패가 2예가 있었다.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 군은 평균 1.9번의 수술을 받았고, 절단술을 시행한 군은 평균 1.3번의 수술을 받았다. 결론: 우리나라에 상대적으로 흔한 사지에 생긴 화상 반흔이나 만성 골수염에 속발한 편평 세포 상피암은 높은 전이율을 보였으며, 광범위한 절제연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절단술과 비슷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설과 편도 편평 상피세포암에서 P53의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P53 Expression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ongue and Tonsil)

  • 최건;김만수;최종욱;황순재;유홍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83-83
    • /
    • 1993
  • 정상 p53 유전자는 17번 염색체의 short arm에 위치하는 항암 유전자이나 point mutation에 의한 p53 유전자의 변이는 반감기가 긴 p53단백을 합성하여 핵내에 축적되고 변이형 p53은 암의 발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p53에 대한 단크론성 항체가 개발되어 조직에서 변이형 p53의 검색이 가능하여 여러종류의 종양조직에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p53에 대한 표현 양상이 연구되었다. 이에 설 및 편도의 편평상피세포암 조직에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p53의 표현 양상을 검색하고 p53의 표현 양상과 임상적, 병리적 소견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29례의 편평상피세포암(설암 19례, 편도암 10례)의 진단시 채취한 생검조직에서 p53에 대한 단크론성 항체를 사용하여 p53의 표현양상과 병리조직학적 분화도, 종양의 원발부위, 원발종양의 크기, 경부 임파전이 여부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53은 대조군과 실험군의 모든 비종양핵에서는 음성반응을 보였고, 29례의 실험군 중 4례의 종양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여 양성율은 13.8%이었다. 2. p53의 양성반응은 종양의 크기가 4cm 이상인 예에서 4cm 미만인 예에서 보다 양성인 예가 많았다(p<0.05). 3. p53의 양성반응은 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화도, 종야의 원발부위, 경부 임파전이 여부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 PDF

두경부암에서 면역회피 기전과 면역항암제 치료 (Immune Evasion Mechanism as a Guide for Immunotherapy in Head and Neck Cancer)

  • 장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
    • /
    • 2017
  •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은 전세계적으로 6번째로 흔하며 예후가 불량한 암종이다. 면역 감시는 두경부암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하는 중요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두경부암세포는 면역 감시를 T세포의 관용을 유도하거나 체크포인트를 통한 T세포 기능을 억제하는 등의 방법으로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진행성 두경부암 임상연구에서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명확한 항종양효과를 입증하였다. 이처럼 면역항암제가 중요한 암치료 방법으로 떠오르는 이때에 본 종설은 두경부암의 면회회피 기전 및 임상적용근거에 대한 최근 지식을 정리하였다.

Nude Mouse 에 이종이식한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의 분화에 대한 Retinoids의 작용 (The Modulation of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by Retinoids in Human Squamous Cell Carcinoma Xenografts)

  • 김상윤;유증주;유근식;주준범;최두영;남순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9-126
    • /
    • 1999
  • Objectives : To analyze the effect of retinoids on the differentiation in HNSCC xenografts. Materials and Methods : RA (20mg/kg) or 13-cis-RA (60mg/kg)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in a day for 30 days in the xenograft model we prepared using athymic nude mice with AMCHN-4 and -6. We carried out H & E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the monoclonal antibody against involucrin and cytokeratin 10. Results : Both RA and 13-cis-RA were found to suppress the differentiation of AMC-HN-4. Interestingly, RA enhanced the differentiation of AMC-HN-6, although 13-cis RA did not exhibit any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vivo effect of retinoids on the HNSCC growth and differentiation might be various. Retinoids-induced P450 in AMC-HN-6 might be one of the mechanisms to explain the reason why the retinoids exhibit various functions in the HNSCC.

  • PDF

개에서 피부 편평상피세포암의 발생과 치료 예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kin in an Australian shepherd dog)

  • 권오덕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1-107
    • /
    • 2001
  •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kin was diagnosed in an 11-year-old, Australian shepherd dog with a hard mass on the right rump area.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tumor showed laminated keratin "pearls" surrounded by proliferated squamous cells, and mitotic figures. The dog was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and chemotherapy with vinblastine sulfate, cyclophosphamide and prednisolone for 4 weeks. The tumor was effectively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surgery and chemotherapy.motherapy.

  • PDF

사지에 발생한 편평상피 세포암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Extremities)

  • 최일용;김태승;조원민;최충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8-104
    • /
    • 1995
  • 장기간 피부에 존재하는 궤양성 반흔이나, 만성골 수염의 누루 등에서 편평상피 세포암이 잘 발생하며 이들은 동통이 더욱 심해지거나 종괴의 크기가 갑자기 증가할때 그리고 분비물(discharge)이 늘어 날때는 악성 변화를 의심하여야 하며 조기에 생검을 하여 진단 후 적절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이들은 국소 림프절로의 전이가 빈발하므로 Grade II와 III에서는 예방적으로 국소 림프절에 방사선 조사(irradiation)를 고려해야 된다.

  • PDF

국소진행성 두경부편평상피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S1과 시스플라틴 병용 유도항암화학요법에 관한 연구 (Induction Chemotherapy with S-1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A Single Center Experience)

  • 윤덕현;조유진;김지연;김상윤;남순열;최승호;노종렬;이상욱;이정현;김재승;조경자;김성배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3-189
    • /
    • 2011
  • 서 론: 5-FU와 cisplatin 병용항암화학요법은 국소진행성 두경부편평상피암의 유도화학요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요법이다. 저자들은 5-FU 대신 경구제재인 S-1을 cisplatin과 병용하는 복합항암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2007년 2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S1과 cisplatin의 복합유도화학요법을 시행받은 3/4기 구인두, 하인두, 후두, 구강 편평상피세포암 환자 52명의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유도항암화학요법은 제 1일에 cisplatin(75 또는 60mg/$m^2$), 제1일부터 14일까지 S-1(40mg/$m^2$)을 1일 2회, 21일 간격으로 투여하였고 가능한 경우에는 항암방사선동시요법 또는 수술을 뒤이어 시행하였다. 결 과: 전체 52명 중 37명(71.2%)에서 부분반응을 보였으나 완전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2년 무진행생존율은 56.9%, 2년 전체생존율은 68.2%였다. 유도항암요법과 관련된 유해반응으로는 호중구감소증(71.2%) 및 빈혈(63.5%) 등과 같은 혈액학적 부작용이 가장 흔했다. 결 론: S-1과 cisplatin의 복합항암화학요법은 국소진행성 두경부편평상피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도화학요법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람구강편명상피암세포주인 KB세포에서 십자화과채소 유래물질인 DIM-pPhBr과 DIM-pPhF의 세포사멸유도를 통한 항종양효능에 관한 연구 (Anti-tumorigenic Effect of DIM-pPhBr and DIM-pPhF Originating from Cruciferous Vegetables in KB Hum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Through Apoptotic Cell Death)

  • 조현태;최은선;조남표;조성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8-402
    • /
    • 2011
  • 십자화과 채소는 Diindolylmethane (DIM)을 포함한 Isothiocyanates계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들이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번 연구에 사용되어진 DIM-C-pPhBr과 DIM-C-pPhF를 기존에 알려진 DIM보다 독성은 최소화되고, 효능은 높은 물질로 보고되어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구강편평상피세포암종에서의 세포증식 및 세포사멸에 대한 효능연구는 보고된 바 가 없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C-DIM 중에 DIM-pPhBr과 DIM-pPhF의 구강편평상피세포암종 세포주인 KB세포에서의 세포증식 및 세포사멸유도효능을 확인함으로써 C-DIM 의 항종양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분석해보면, DIM-C-pPhBr과 DIM-C-pPhF은 구강편평상피세포암종 세포주인 KB의 세포증식을 감소시키고 Western blot분석법, DAPI염색법, 및 Sub-$G_1$축적분석결과에서 알수 있듯이 세포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DIM-C-pPhBr과 DIM-C-pPhF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 및 세포증식억제는 구강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에서 종양억제유전자들의 변이 (Alteration of Multiple Tumor Suppressor Gene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송시연;박강식;배창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7-155
    • /
    • 2004
  • Objectives: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is the most common head and neck malignant tumor. The molecular genetic changes involving both oncogenes and tumor suppressor genes are known to be involved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genesis, but the roles of the known tumor suppressor genes in carcinogenesis are not fully elucidat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monstrate the genetic alterations including the loss of heterozygosity (LOH) , amplification, and microsatellite instability of known tumor suppressor genes in HNSCC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tic alterations of tumor suppressor genes and clinicopathologic features. Materials and Methods: Genetic alterations of 10 micro satellite markers of the 6 known tumor suppressor genes (APC, EXT1, DPC4, p16, FHIT, and PTEN) were analysed by DNA-PCR in paraffin-embedded histologically confirmed HNSCC specimens. Results: The genetic alterations of tumor suppressor genes were found frequently. Among the genetic alterations, LOH was most frequently found one. LOH was found frequently in APC (45.4%), EXT1 (36.4%), DPC4 (54.5%), and p16 (50%), but not found in FHIT. Also, the author found that abnormalities of APC gene was related to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and recurrence and that abnormalities of EXT1 gene were coexisted with those of APC gene or DPC4 gene. But these coexistences had no correlation with clinical featur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PC, EXT1, p16, and DPC4 genes might play important roles and multiple tumor suppressor genes may participate dependently or independently in the carcinogenesis of HNSCC. Thes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APC gene might relate to prognosis.

사지와 체부에 발생한 편평상피 세포암의 치료 (Treatm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 Trunk)

  • 신덕섭;김범중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3
    • /
    • 2012
  • 목적: 편평상피 세포암 환자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생존율과 예상 가능한 예후인자들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본원에서 병리학적으로 진단된 사지와 체부에 발생한 편평상피 세포암은 151예였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51예였다. 연구는 이 중 12개월 이상 외래추적이 가능하였던 4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4.4세였고, 남자와 여자는 각각 31명, 10명이었다. 수술은 광범위 절제 및 재건술(29예)과 절제연을 얻기 힘든 사지 말단부나 신경, 혈관계를 침범한 경우에 절단술(12예)을 시행하였다. 수술적 치료만 시행한 환자는 33예이고, 절제 후 항암화학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8예가 있었다. 병기는 AJCC 분류에 따라 나누었으며 생존율은 Kaplan-Meier 법으로 계산하였고 군간의 생존율 비교는 Log-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생존율과 관련된 예후 인자들로 원발 병소의 위치, 병인, 조직학적 분류, 병기, 수술방법, 추가 항암요법 여부를 조사하여 각각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외래 추적은 평균 65.2개월(12-132개월)이었고 최종 추시 상 생존은 30예(73.1%)이었고 Kaplan-Meier에 의한 5년 생존율은 77%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총 3예(7.3%)의 국소 재발과 7예(17.0%)의 전이가 있었다. 국소재발 3예에서 재발시기는 평균 27개월(18-43개월)이었다. 원발 병소의 위치, 병인, 조직학적 분류, AJCC 분류에 따른 병기, 추가 항암요법에서 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절단술을 시행한 환자는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보다 생존율이 낮았다. 결론: 41예의 편평상피 세포암의 치료결과를 분석한 결과 5년 생존율이 77%이었고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 중에 수술 방법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