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atm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사지에 발생한 편평세포 상피암의 치료

  • Lee, Doo-Hy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Kyoo-H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oo-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hn, Soo-B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두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 ;
  • 신규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 ;
  • 이수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 ;
  • 한수봉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Purpose: to know the treatment result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had poor prognosis with risk factor including burn scar and chronic osteomyelitis. Material and Methods: Between Octorber 1993 and September 2002, 20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had no distant metastasis was got operation and followed over 36 months. Amputation was done when it was hard to get enough wide margin or neurovascular structure was involved instead of wide excision. Mean age of patients was 57.2 years old and male to female was 16 to 4. TMN staging and histologic grading were performed. Results: There were 6 metastasis (30%) in 20 cases for mean 48.3 months (36-84 months). 3 metastasis to local lymph node and 3 distant metastasis were happened at lung (in 3 cases) and thorasic vertebra (in 1 case). Survival was 18 cases at last look. 5-year survival rate was 50%. 3 local recurrence was developed at average 11 months (4-18 months). Complication was focal skin defect after wide excision and skin graft in 2 cases. The patients by wide excision got average 1.9 time operation and by amputation got average 1.3 time. Conclusion: Squamous cell carcinoma at extremity in Korea had high metastasis rate due to burn scar and chronic osteomyelitis, and it showed equal treatment result which treated by wide excision compared with amputation.

목적: 화상흔, 만성골수염 등의 고위험인자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예후가 서구에 비해 나쁜 것으로 알려진 우리나라의 사지에 발생한 편평세포 상피암의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8월부터 2002년 9월 사이에 본원에 내원당시 원격전이가 없었고, 치료 후 36개월 이상 외래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광범위 절제술 및 절제연을 얻기 힘든 사지 말단부나 신경, 혈관계를 침범한 경우에는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57.2세였고, 남자와 여자는 각각 16명과 4명이었다. 병기는 TMN Stage를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절제한 병변의 조직학적 분화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48.3개월(36~84개월)간의 외래 추적 결과 총 6예(30%)에서 전이가 있었다. 근접 림프절로의 전이가 3예, 원격전이가 3예였으며 원격 전이 장소로는 폐가 3예, 흉추가 1예였다. 최종 추시 상 생존은 18예였고 5년 생존률은 50%였다. 국소재발이 3예에서 있었으며 재발된 평균 시간은 11개월(4~18개월)이었다. 합병증으로 광범위 절제술 시행 후 이식 피부의 부분적인 착상 실패가 2예가 있었다.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 군은 평균 1.9번의 수술을 받았고, 절단술을 시행한 군은 평균 1.3번의 수술을 받았다. 결론: 우리나라에 상대적으로 흔한 사지에 생긴 화상 반흔이나 만성 골수염에 속발한 편평 세포 상피암은 높은 전이율을 보였으며, 광범위한 절제연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절단술과 비슷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