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펠렛

Search Result 27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mprovement of A Rice Seed Pelleting Machine for Direct Seeding in Rice Cultivation (직파용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 성능 개선 연구)

  • 유대성;유수남;최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35-41
    • /
    • 2002
  • 본 연구는 기존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의 제조성능 및 제조 벼 펠렛종자 품질향상을 위하여 펠렛재료 공급부, 성형부, 펠렛종자 배출부를 개선 설계 제작하여 그 성능과 제조 벼 펠렛종자 특성을 구명함으로써 직파용 벼 펠렛종자 대량생산을 위한 제조장치 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펠렛재료의 일정한 공급과 펠렛재료가 성형 홈으로부터의 이탈하는 것을 줄이고, 펠렛종자의 완전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를 설계·제작하였으며,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를 상토 종자혼합비, 성형롤의 회전속도에 따라 실험한 결과 벼 펠렛종자 제조 능력은 성능 개선 전의 펠렛종자 제조장치에 비하언 약 1.7배 향상된 제조능력을 보였으며, 성형률은 최대 약 89 %로 나타나 개선 전의 71%에 비해 18 %정도 성형률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벼 종자손실률은 약 24% ∼ 49%로 거의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된 벼 펠렛종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펠렛종자의 구형률은 99.1%로 거의 구형으로 제조됨을 알 수 있었으며, 무게는 제조 직후에는 약 1.70 g, 완전 건조 후에는 1.31 g으로 나타났고, 직경은 약 12.03 mm에서 건조 후 11.53 mm로 축소되었다. 개선 전에 비해 직경과 무게가 약간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선된 제조장치에서 펠렛재료가 성형롤의 성형 홈에 압축 공급되고, 펠렛재료의 손실도 적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제조된 한 개의 벼 펠렛종자 내에 포함된 완전 벼 종자의 개수는 상토 종자혼합비가 커질수록 성형롤의 회전속도가 낮을수록 많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두 펠렛종자 당 평균 약 3 개 이상의 완전 벼 종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 전에 비하여 펠렛종자 내에 포함된 평균 완전 종자수도 증가하였으며, 3개 이상 완전 종자를 포함한 펠렛종자의 비율도 증가하여 유압에 의한 펠렛재료 공급과 성형롤의 개선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음지 건조 후 벼 펠렛종자의 압축강도는 약 132 N ∼ 152 N으로 조사되었으며, 개선전에 비하면, 약 30 %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아율 실험 결과 상토 종자혼합비 6 : 1, 성형롤 회전속도 7 rpm에서 건답직파는 100%, 답수직파는 97 %의 출아율을 보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나, 그 외의 경우는 거의 90 % 이하의 출아율을 보여 출아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의 적정운전 조건은 제조된 벼 펠렛종자의 특성과 출아율을 고려해 볼 때 상토 종자혼합비 6 : 1, 성형롤 회전속도 약 7 rpm으로 판단되며, 이 때 제조능력은 시간당 약 65 Kg(펠렛종자 약 39,000 개), 성형률 약 87 %, 종자손실률은 약 30 %, 펠렛종자 내 평균 종자수는 약 5.5 개, 완전 벼 종자 3개 이상 포함 펠렛종자 비율은 약 100 %가 될 것으로 보인다.

  • PDF

Development of A Rice Seed Pelleting Machine for Direct Seeding in Rice Cultivation (격파용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 개발)

  • 박종수;유수남;최영수;유대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29-34
    • /
    • 2002
  •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벼 종자, 상토, 흔합 접착액 등 펠렛재료를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회전 성형롤에 공급, 압축성형 배출함으로써 직경 12 mm의 구형 벼 펠렛종자를 제조할 수 있는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를 설계·제작하였다. 나. 설계·제작된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의 제조능력은 시간 당 약 13,000 개 ∼ 37,000 개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성형률은 약 61% ∼ 71%였다. 하지만 벼 종자 손실률은 약 17% ∼ 48%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 펠렛재료의 손실과 종자손상을 줄이기 위한 성형롤 및 펠렛재료 공급장치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 제조된 펠렛종자의 무게는 제조 직후에는 1.66 g, 완전 건조 후에는 약 1.3 g으로 나타났으며, 제조된 펠렛종자의 직경은 약 12.0 mm에서 건조 후 약 11.2 mm로 축소되었다. 라. 제조된 한 개의 벼 펠렛종자 내 포함된 벼 종자의 개수는 상토와 벼 종자의 혼합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혼합비 6 : 1에서 펠렛종자 당 종자 개수는 4.1 립, 혼합비 7 : 1에서 3.6 립, 그리고 혼합비 8 : 1에서는 3.1 립으로 나타났다. 마. 건조 후 벼 펠렛종자의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건조기를 이용한 경우는 118 N ∼ 137 N, 음지 건조의 경우는 88 N ∼ 108 N으로 조사되었으며, 대체적으로 운반 및 파종 과정에서의 취급성은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PDF

Effect of the Moisture Content and Pellet Mill Type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Italian ryegrass Pellet (펠렛밀과 수분함량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펠렛의 물리적 특성 및 화학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

  • Moon, Byeong Heoun;Shin, Jong Seo;Park, Hyung Soo;Park, Byeong Ki;Kim, Jong G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36 no.4
    • /
    • pp.271-279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moisture content and pellet mill type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Italian ryegrass (IRG) pellet. Moisture content of raw material significantly (p<0.05) affected IRG pellet formation. Moisture content at 25% was the best condition for IRG pellet formation in terms of shape, power load and temperature changes. The hardness of pellet was decreased when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 However, the hardness of pellet was not affected by pellet mill type. Moisture content at 30% dramatically (p<0.05) decreased the durability compared to moisture content at 25%. Dry matter content of IRG pellet was increased (p<0.05) after pelleting. Total count of microorganism was decreased in pellet due to pressure heat and moisture losses during the pelleting proces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er moisture content of Italian ryegrass pelleting would be at 25%. In addition, Roll & flat die type would be more suitable than Ring die and Die & flat die type in IRG pelleting. Pelleting works would be beneficial for improving forage quality and long storage.

Evaluation on Effects of Composting and Pelleting on Nutritional Composition of Broiler Litter and Feasibility of Use of a Small-scale Pelletizer (호기발효와 펠렛 처리가 육계분의 사료영양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 및 소형 펠렛기의 육계분 성형 가능성 평가)

  • 곽완섭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8 no.3
    • /
    • pp.191-198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hanges in internal temperature and chemical composition during the composting of broiler litter(BL) an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use of a small-scale pelletizer for the pelleting of composted BL. BL was composted for 4 weeks in an wooden cell with a size of 1 m length $\times$ 1 m width $\times$ 1.2 m height. Internal temperature reached to peak(68$^{\circ}C$) at the fourth day and thereafter gradually reduced. Among chemical components in BL, composting reduced organic matter content and increased dry matter and indigestible protein(ADF-CP) contents. When BL was pelleted using an economical small-scale pelletizer, the proper die diameter was 8~18 mm and the proper moisture content of composted BL was 20~25%. Beyond these proper conditions, addition of heat and pressure or pellet aids may be necessary. Pelleting of BL resulted in nearly threefold increase of bulk density, significant moisture evaporation, and little change in chemical components except for increased indigestible protein. In conclusion, BL may be converted into a feed with low to medium nutrition by the composting and pelleting process.

  • PDF

Strength and Healing Performance of the Mortar using Bacterial Pellet as a Self-Healing Material (박테리아 펠렛을 자기치유 소재로 사용한 모르타르의 강도 및 치유성능)

  • Jang, Indong;Son, Dasom;Ryu, Young-ung;Park, Woojun;Yi, Chongku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8 no.1
    • /
    • pp.112-119
    • /
    • 2020
  • In this study, cellulose-based bacterial pellets was used for the self-healing concrete manufacturing. The pellet is composed of complex cultured bacterial spore powder, methyl cellulose, two kinds of PVA nutrients and water, and is extruded through a hydraulic press to have a shape of 2mm in diameter to 3 to 4mm in length. Cellulose pellets expand at neutral pH, release bacteria and nutrients, and do not react in a basic environment, increasing the long-term survival rate of bacteria in cement mortar. In addition, pellet self-healing performance of pellet morta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mortar. Cellulose-based pellets are a new type of bacterial carrier system that will help develop self-healing concrete in the future by improving and optimizing pellets.

$UO_2$ 소결펠렛의 건/습식 산화반응 연구

  • 김익수;이원경;신희성;신영준;노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805-805
    • /
    • 1995
  • 핵연료저장시설의 화재 등 극단적인 사고조건하에서 $UO_2$ 소결펠렛의 습식산화와 건식산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손상된 지르칼로이 피복관 속의 $UO_2$ 소결펠렛을 산성분위기의 습윤조건하에서 산화시킬 때의 $UO_2$ 펠렛의 산화속도는 IDR(mg/$\textrm{cm}^2$.min) = 1.55 [H$^{+}$]$^{1.21}$ 로 나타났다. 또한 습윤조건하에서 $UO_2$ 분말에 알카리 및 알카리 토금속 산화물, 그리고 백금족 및 회토류 산화물 등과 같은 불순물들이 존재할 때의 산화속도를 조사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영향도 관찰하였다. 핵연료저장시설의 가상화재를 바탕으로 한 400~$700^{\circ}C$의 온도범위에서, 피복관이 씌워진 $UO_2$ 소결펠렛의 건식산화반응을 조사한 바 $UO_2$ 소결펠렛은 산화초기에 U$_4$O$_{9}$ 또는 U$_3$O$_{7}$ 등의 중간상 형성에 따른 3-4%의 부피축소에 의해 결정립계 균열이 일어나고, $600^{\circ}C$ 이하에서는 온도증가에 따라 중간상에서 U$_3$O$_{8}$ 상으로의 상변화에 의한 부피팽창으로 피복관의 변형과 함께 산화속도의 가속을 발견할 수 있었고, $600^{\circ}C$ 이상에서는 핵연료소자의 소성변형으로 인한 산화속도의 지연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UO_2$ 펠렛의 건식산화거동은 기체-고체 반응시의 전형적인 형태인 shrinking core model에 잘 적용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Pelleting Materials and Effect of Nutrient Addition on the Germination of Pelleted Lettuce Seeds (상추 펠렛종자의 피복물질 탐색과 영양물질 첨가가 발아력에 미치는 영향)

  • Kang, Jum-Soo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3 no.1
    • /
    • pp.8-15
    • /
    • 2004
  • Seedling mechanization of lettuce is known to be difficult due to the small seed size and the irregular seed shape. The purpose of seed pelleting is to make seedling mechanization possible by enlarging the seed size. After that, it can reduce seedling and thinning labours and can also save seed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ercent germination and day to 50% final germi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elleting polymer. Among the pelleting polymer, gemination of seeds using polynimyl alcohol (PVA) was generally smooth, and followed by polyvinyl pyrrolidone (PVP), hydroxyethyl cellulose (HEC), methyl cellulose (MC), and wteen 80. The germination rate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lleting particulate matters. Generally, percent germination and speed of seed using the mixture of diatomaceous earth, talc and calcium carbonate were higher and faster than using other polleting materials, respectively. Thus, it should be suitable pelleting particulate matter for the pelleting of lettuce seeds. On the other hands germination of seeds using limestone, calcium oxide and benonite were low. The seed size of lettuce after pelleting was 33 times as large as the raw seed size. During the process of seed pelleting, netrient addition induced the decrement on the germination and the delay of germination speed. Also, there was differences in the germinability of pelleted seeds in accordance with the addition of nutrient sources. MS medium was generally lower than monosodium phosphate in inhibition of seed germination. Germination of pelleted seeds after priming was higher than the seeds without the treatment, and also showed the trend of early germination.

Analyses of Physical Properties of Copper-contained Sludge Pelletized for Applied Pyro-metallurgical Process (건식제련용 동 함유 슬러지 펠렛 제조 및 물리적 특성평가)

  • Kim, Suyun;Kim, Youngjin;Kim, Seunghyun;Lee, Jaeryeong
    • Resources Recycling
    • /
    • v.28 no.2
    • /
    • pp.31-39
    • /
    • 2019
  • The pelletizing of printed circuit board (PCB) sludge was researched for copper recovery in pyrometallurgical process. This pelletizing was carried out by using self-manufactured compression-type apparatus after pre-treatments (drying, water scrubbing, size classification) were proceeded. The physical properties (compression strength and drop-breakage test) were tested with a change of sludge sizing and the number of compression. In the case of using the undersized sludge of #140, its properties were improved to 0.6 MPa and 9.3 times. Moreover, they increased to 0.82 MPa and 19.0 times by using the #140 ~ 325 sludge. These imply that the packing density increases due to the elimination of large-sized sludge (#140), and also the weight of required binder decreases by the removal of fine-sized sludge (#325).

(1)펠렛팅의 개념과 펠렛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

  • Ryu, Eun-Ho
    • Feed Journal
    • /
    • v.5 no.11 s.51
    • /
    • pp.104-109
    • /
    • 2007
  • 다볼바이오 류은호 대표는 수년간 연구된 사료 가공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사료공장은 물론 해외시장을 대상으로 '가공사료 생산의 효율적 운영' 세미나를 개최 하고 PELLET 컨설팅을 통해 제품의 효율적 운용 방안 및 가공 기술 향상 방향을 제시해왔다. 앞으로 본지를 통해 <펠렛 가공사료에 대한 새로운 고찰> 이라는 주제로 3회(격월간)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