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펜톤유사반응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펜톤-유사 반응과 광-펜톤-유사 반응을 이용한 염료의 탈색 비교

  • Park, Yeong-Sik;Kim, D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53-356
    • /
    • 2006
  • 펜톤-유사 반응의 최척 철 입자 양과 $H_2O_2$ 주입 량은 각각 25 g/L, 60 mmol로 나타났고, 광-펜톤-유사 반응의 최적 철 입자 양과 $H_2O_2$ 양은 각각 0.25 g/L 와 0.625 mmol로 나타나 철 입자 양은 100배, $H_2O_2$ 양은 96배 차이나 펜톤-유사 반응의 경우 다량의 철 입자와 $H_2O_2$ 소비로 인해 RhB의 탈색반응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UV를 함께 적용한 광-펜톤-유사 반응의 경우 철 입자 양과 $H_2O_2$ 양이 적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RhB의 완전한 탈색을 위해서는 적절한 UV 등 전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

펜톤유사반응에 의한 매립지 침출수의 CODcr 제거 특성 연구

  • 정동철;이철효;장윤영;최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9.10a
    • /
    • pp.103-10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펜톤산화반응에서 과산화수소의 분해촉매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Fe(II) 형태의 철염대신 Fe$^{\circ}$형태의 분말 철을 이용한 펜톤유사반응(Fenton-like oxidation)에 의한 매립지 침출수(sCODcr 1,100 mg/L, pH 8)의 CODcr 제거특성에 관한 회분식 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조건으로는 상온, 상압조건에서 Jar tester를 사용하여 분말 철의 주입 량과 산 세척도, 초기 반응 pH, 과산화수소의 주입 량을 변화시켜가며 침출수의 CODcr 제거효율 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때 과산화수소의 분해 특성과 반응 중 pH의 변화도 함께 분석하였다. 반응은 모든 조건에서 대부분 약 30분 이내에 종료되었으며 그 이후의 반응변화는 미미하였다. 산 세척에 의한 분말 철 표면의 개질로 반응성의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분말 철 주입 량을 증가함에 따라 반응속도가 일정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서 CODcr의 제거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보여준 실험변수는 pH 였으며, 원수의 pH(8)를 2-4까지 조절하여 반응을 시켰을 때 최대 75%의 CODcr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반응중 pH는 모든 조건에서 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약 pH 9에서 더 이상 변화하지 않았다. 용액내 과산화수소의 잔류농도의 곡선은 반응 중 CODcr의 곡선과 유사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A Field Study for the Remediation of TPH and BTEX Contaminated Soils Using Hydrogen Peroxide (현장시스템에서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TPH와 BTEX 분해에 관한 연구)

  • 최석종;이태진;박진희;김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248-251
    • /
    • 2004
  •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 과산화수소를 주입 후 펜톤유사반응을 유도하여 유류오염토양의 복원 가능성을 조사해 보았다. 과산화수소의 분할 주입 후 TPH와 BTEX 제거율은 최고 99.04 %와 99.25%로 각각 나타났으며, BTEX와 TPH가 혼합 오염된 토양에서 펜톤유사반응을 적용하였을 때 BTEX의 분해보다 TPH의 분해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Manganese Oxide Catalyzed Fenton-like Reduction of Chlorinated Compounds (산화망간으로 촉매화된 펜톤유사반응을 적용한 염소계화합물의 환원분해)

  • 김상민;공성호;김용수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3
    • /
    • pp.95-102
    • /
    • 2002
  • Manganese oxide/ hydrogen peroxide($MnO_2$/${H_2}{O_2}$) reactions were investigated as an alternative to Fenton-like reaction to reduce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in groundwater This system showed high degradation of CT with low ${H_2}{O_2}$concentration($\leq$294mM) at neutral condition, and CT degrad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values. The rate of CT degradation was not so much dependent on increase in $MnO_2$concentration since increase in production of oxygen during the reaction obstructed reaction of ${H_2}{O_2}$ on the surface of $MnO_2$. These results show that $MnO_2$catalyzed Ponton-like reaction could be a potential alternative method for treating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in groundwater.

전기 펜톤-유사 반응을 이용한 염료의 색 제거

  • Park, Yeong-Sik;Kim, D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81-484
    • /
    • 2006
  • NaCl 첨가는 전력 소모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같은 전력량에서 NaCl의 첨가량이 증가하여 전류가 증가할수록 초기 반응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30분의 반응시간 후 최종 RhB 농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철 전극만을 이용하여 전기분해 반응만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H_2O_2$를 첨가하여 전기분해 + 전기 펜톤-유사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 RhB의 탈색에 유리하다고 사료되었다. pH가 산성영역으로 갈수록 초기반응속도와 반응종결시간이 빨라졌으며, 97%의상의 제거율을 얻기 위해서는 pH 6이하에서, 5분 이내의 반응종결을 위해서는 pH 5이하에서 운전하여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 PDF

Reduction of PCBs in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by Using Fenton-like Reaction with Surfactants (유사-펜톤 반응과 계면활성제에 의한 해양퇴적물의 PCBs 정화)

  • Choi, Jin Young;Kim, Kyoungre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7 no.6
    • /
    • pp.340-348
    • /
    • 2015
  • Removal efficiency of PCBs in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treated by Fenton-like oxidation combined with surfactant was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remediation of PCBs. A washing treatment us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hydrogen peroxide (1% and 15%) and surfactants (Triton X-100, Tween 60 and Tween 80) was evaluated at various conditions in laboratory scale experiments. The mean removal efficiencies of tPCBs varied from 24.1 to 46.7% in the sediments for 1 hour duration of the treatments. The concentration of tPCBs in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after the simultaneous treatment with hydrogen peroxide and surfactant satisfied the domestic environmental standards for the beneficial use of sediments. When suitable surfactant was used for Fenton-like oxidation, the removal efficiency of tPCBs at low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was similar to that at high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Thus the efficient removal of PCBs in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could be achieved through treatment with Fenton-like oxidation combined with surfactant washing.

디젤오염 토양 처리를 위한 $Fe^0$/$H_2$$O_2$시스템에서의 반응성 향상연구

  • 지원현;김지형;강정우;김성용;장윤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60-16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Fe$^{0}$ /$H_2O$$_2$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젤 오염토양의 산화처리효율과 경제성 향상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앞선 연구결과에서 최적 pH조건은 3이었으며, 과산화수소와 철 분말의 양은 비례적으로 증가할수록 처리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1) 이번 연구에서는 pH조절에 따른 처리효율의 향상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H 값을 3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일정 철 분말 농도조건에서 과산화수소의 주입방법에 따른 반응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과산화수소를 여러 비율로 분할 주입하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pH를 3으로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초기에만 pH를 3으로 조정한 이전의 연구에서 반응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pH상승에 따른 처리효율의 감소 효과를 줄며 전체적인 TPH 처리효율을 10%이상 높일 수 있었으며, 같은 양의 TPH 제거에 소모되는 과산화수소의 양을 20% 정도 줄일 수 있었다. 과산화수소의 분할주입에 따른 반응향상효과 실험에서는 5회에 걸쳐 분할 주입한 경우에 3시간 이후 경미한 반응성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산화수소를 분할하여 주입함으로써 한번에 주입한 경우에 비하여 유기물의 산화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과산화수소의 scavenging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최적 pH의 일정 유지와 과산화수소의 분할주입으로 철 분말을 이용한 펜톤유사반응의 처리효율과 경제성 제고 모두에 있어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Fenton-like Reaction for Treatment of Petroleum-Contaminated Silty Clay after Soil Washing Process (토양세척 후의 유류 오염 Silty Clay 처리를 위한 유사펜톤 산화반응)

  • So, Myung-Ho;Ha, Ji-Yeon;Yu, Jae-Bong;Kim, Chang-G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1 no.1
    • /
    • pp.1-8
    • /
    • 2009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assess a Fenton-like oxidation using naturally present iron in the field to treat remained oils throughout silty clay residues which finally resided even after a series of soil washing process. Biodegradability was thus tested for reaction products to investigate a possible treatment of the Fenton-like oxidation coupled with a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For those purposes, two types of field soil samples (e.g., dewatered cake after conditioning with a polymer and not-dewatered residue) were tested to remove TPH by adding the various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H_2O_2$). Moreover the biodegradability of treated samples was observed based on the ratio of $BOD_5/COD_{Cr}$ after Fenton-like oxidation. The Highest removal of TPH was at 1% of hydrogen peroxide ($H_2O_2$) when hydrogen peroxide ($H_2O_2$) was continuously injected for a period of time rather than that of spot introduction with the same amount of it. For the dewatered cake, TPH was effectively treated when the ratio of solid and water was mixed at 1 : 2. Employing cooking oil could increase solubility of TPH due to enhanced surface-active escalating TPH desorption from silty clay. Nonetheless, the biodegradability was decreased as long as the oxidation duration being extended regardless of operational conditions. It was therefore proved that Fenton-like oxidation using $H_2O_2$ and natural iron minerals was able to remove adsorbed oils in silty clay but the removal efficiency of TPH was low. And if a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followed after Fenton-like oxidation, microorganisms would need enough time for acclimation.

Steelers' Dust-catalyzed Oxidative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제강분진을 이용한 매립지 침출수의 산화처리)

  • 강정우;김성용;장윤영;배범한;장윤석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1
    • /
    • pp.25-31
    • /
    • 2002
  • This study attempts to elucidate the possibility of treating landfill leachate by steelers' dust/${H_2}{O_2}$ system in a well-mixed batch reacto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perating variables such as pH, dust and ${H_2}{O_2}$ dosages and ${H_2}{O_2}$ injection method on the treatment efficiency, Contaminant concentrations were identified by TOC (Total Organic Carbon) analyzer. Experimental observations showed the possibility of steelers' dust as a catalytic reagent in the ${H_2}{O_2}$/dust system. The batch experiments showed that the optimal $H_2O$$_2$ and dust dosage, 20g/L dust. 2,000mg/L ${H_2}{O_2}$ removed about 75% of initial TOC concentration (250mg/1) within 60 min. And the TOC removal in the ${H_2}{O_2}$/dust system effectively proceeded only within a limited pH range of 3-4. The stealers' dust-catalyzed oxidative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was more efficient compared with the $FeSO_2$catalyzed system (Fenton oxidation) for the removal rate and the c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