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펙틴분해효소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8초

Aspergillus niger가 생산(生産)하는 Endo-Polygalacturonase의 분리(分離)와 특성(特性) (S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do-Polygalacturonase from Aspergillus niger)

  • 박경빈;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1-46
    • /
    • 1984
  • Aspergillus niger sherumanni IAM 2059가 분비하는 펙틴질분해효소 중에서 endo-polygalacturonase 를 Sephadex G-100, DEAE-Sephadex A-50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점도감소와 분해산물분석을 통해 효소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Chromatography를 통해 얻은 3 개의 역가 fraction (F-A, F-I 및 F-II) 은 각각 exo형 효소, eodo-polygalacturonase, endo-polymethylgalacturonase 이었다. endo-polygalacturonase의 역가 최적 pH는 환원당 생성으로는 pH4.2 근방이었고 점도감도로는 pH4.7 근방이었다. 이 효소의 Z-value는 $7.5^{\circ}C$이고 $D40^{\circ}C$는 240sec 이며 $40^{\circ}C$에서 활성화엔트로피(Enthalphy of activation) 217.3KJ/mol, 활성화엔트로피(Entropy of activation) 409.2J/mol.K, 활성화자유에너지(Free energy activation) 89.2KJ/mol 이었다.

  • PDF

다당류 탄수화물의 분해과정을 통한 보관 벼의 감모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ioration phenomenon of stored rice during the decomposition process of polysaccharide carbohydrates)

  • 윤용식;안재민;황왕택;노형민;박해민;오경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89-298
    • /
    • 2023
  • 보관된 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리화학적인 변성이 일어난다. 쌀알의 변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온도와 함수율을 들 수 있다. 가급적 저온보관과 밀폐보관이 중요하다. 미시적인 관점에서, 쌀에 함유된 단백질과 지질의 변성은 이미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한편, 실제 보관 현장에서 확인되는 벼의 중량 감소, 즉 감모현상은 현재 진행형이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쌀의 주성분인 탄수화물의 분해과정이 감모현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가정하였으며, 효소에 의한 탄수화물 분해과정들을 살펴보았다. 관심의 대상이 되는 주요 탄수화물로는 전분과 세포벽에 포함된 탄수화물이 있다. 쌀의 보관 과정 중 중량 감소는 주로 전분의 주성분인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의 분해가 원인일 것으로 보이지만, 단백질과 지질을 포함한 다른 성분들의 변성 또한 종합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고 유추된다.

제주산 만감류 청견의 저장 중 펙틴 및 펙틴분해효소 활성의 변화 (Changes in Pectin and Pectin Degrading Enzymes Activity during Storage of Kiyomi Tangor Produced in Jeju)

  • 강문장;임자훈;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139
    • /
    • 2001
  • Kiyomi tangor(Citus unshiu x sinensis) was stored at 3$\^{C}$ and 85% relative humidity, and the changes in firmness, pectin degrading enzymes activity and oth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fruits during storage were investigated. Decay ratio and weight loss during 180 days’ storage were increased gradually to 13.0% and 12.9%, respectively. Firmness of fruits with 2 mm probe was decreased gradually from 808.7 g-force to 406.4 g-force, and moisture of peel and flesh were decreased from 76.5% to from 89.6% to 87.6% during storage, respectively. Exo-polygalacturonase activity of peel after 150 days’ storage were increased gradually to 558.09 units/100g. Pectin methylesterase activity of peel and flesh were increased from 14.7 units/g to 2.3 units/g, and from 9.4 units/ml to 2.7 units/ml at 150days’ storage, respectively. Endo-polygalacturonase activities were not changed notably during storage. Alcohol-insoluble solid(AIS) of peel was not changed notably. During storage of the fruits water soluble pectin(WSP) of peel and flesh were increased from 474.49 mg/100g to 614.29mg/100g, and from 66.91mg/100g to 92.74mg/100g as wet basis, respectively. Hexameta-phosphate soluble pectin(HMP) of peel were decreased from 405.5mg/100g to 270.43mg/100g, hydochloric acid soluble pectin(HSP) of peel was also decreased from 544.02mg/100g to 412.64mg/100g during storage. Total pectin substance(TPS) of peel and flesh were decreased from 1,424.01mg/100g to 1,297.36mg/100g, and from 165.51mg/100g to 171.54mg/100g, respectively. Composition ratio of pectin was in order of WSP > HSP > HMP.

  • PDF

Byssochlamys fulca가 생성하는 펙틴질 분해효소에 관한 연구 II (Studies on the Pectolytic Enzymes from Byssochlamys fulva II)

  • 남영중;김남수;홍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6-94
    • /
    • 1983
  • Polygalacturonase of Byssochlamys fulva was purified and characterized. Specific activity increased from 2.21 units/mg protein to 10.47 units/mg protein through $(NH_4)_2SO_4$ treatment, SephadexG-100 gel filtration, and DEAE-Sephadex ion exchange chromatography. Divalent cations, such as $Ca^{++}\;and\;Cu^{++}$, increased polygalacturonase activity greatly. Added as $10^{-3}M$ concentration, $Ca^{++}$ ion enhanced enzyme activity 9.8folds. Optimum temperature was $50^{\circ}C$ and optimum pH was 5.0. Activation energy of reaction was 8.69 Kcal/mole. Michaelis-Menten $constant(K_M)\;and\;V_{max}$ of reaction were $6.27{\times}10^{-3}mole/l\;and\;2.85{$\mu}moles/min$. Polygalacturonase of Byssochlamys fulva preferred polygalacturonic acid to pectin as substrate and was presumed as endo-type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cosity reduction and substrate degradation. Molecular weight of polygalacturonase was estimated as 55,000.

  • PDF

Byssochlamys fulva가 생성하는 펙틴질 분해효소에 관한 연구 I (Studies on the Pectolytic Enzymes from Byssochlamys fulva I)

  • 남영중;김남수;홍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
    • /
    • 1983
  • Effects of carbon sources, incubation time, incubation temperature, initial incubation pH, and vitamin B complex on the polygalacturonase activity of Byssochlamys fulva were studied to confirm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that enzyme. When pectin was used as carbon source, polygalacturonase activity reached to the maximum value of 0.50 units/ml. After 5 days of incubation, polygalacuturonase activity reached to its maximum of 0.48units/ml. Polygalacturonase activities were similar between $25^{\circ}C\;and\;45^{\circ}C$, however, decreased dramatically in the outside of this range. Polygalacturonase activity was not signicicantly influenced by the variation of initial incubation pH. However, at pH5.0, polygalacturonase activity was slightly through the addition of thiamine and riboflavin, and the optimum concentrations were $10^{-2}M$ in case of thiamine and $10^{-3}M$ in riboflavin.

  • PDF

쌀가루 냉수추출 ${\alpha}-D-glucan$의 분자구조적 특성 (Structural Properties of Cold Water Extractable ${\alpha}-D-glucan$ in Rice Flours)

  • 박용곤;석호문;남영중;최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03-610
    • /
    • 1990
  • 쌀가루로부터 추출한 냉수가용 ${\alpha}-D-glucan$의 blue value는 $0.026{\sim}0.030$, 극대흡수파장은 $518{\sim}522nm$, ${\beta}-amyolysis\;limit$$52.7{\sim}59.6%$ 정도의 범위를 나타내어 이들 물질은 아밀로펙틴에 유사한 성질을 지니고 있었으며, 또한 이들 ${\alpha}-D-glucan$에 가지절단효소인 pullulanase를 처리한 후 분해물의 쇄장분포를 조사한 결과 이들 ${\alpha}-D-glucan$은 쌀아밀로펙틴의 unit chain 분포와 유사하였고, 또한 이들 분해물에 대해 중합도 30 이하의 쇄장분포는 쌀가루 냉수추출 ${\alpha}-D-glucan$ 중 blade mill의 것만이 아밀로펙틴과 유사한 쇄장분포를 나타내었고 중합도 10 이하의 구성비에 있어서는 냉수추출 ${\alpha}-D-glucan$의 것이 아밀로펙틴보다 높았다.

  • PDF

종 특이 DNA probe를 이용한 버섯 세균성 갈반병 병원균(Pseudomonas tolaasii)의 검출 (Detection of Pseudomonas tolaasii Causing Brown Blotch Disease of Mushroom with Species-specific DNA Probe)

  • 권순우;고승주;전명숙;강희완;오세종;장후봉;류진창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32-137
    • /
    • 1999
  • 본 연구는 느타리버섯 갈반병 병원균인 pseudomonas tolaasii의 진단을 위한 분자 marker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균의 반복염기서열과 펙틴 분해효소 유전자로부터 제작된 여러개의 primer들을 이용해 식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Pseudomonas종들로부터 DNA 다형성을 유도한 바펙틴 분해 효소로부터 제작된 PEU1 primer는 다른 Pseudomonas종들로부터 P. tolaasii를 구분시키는 다형성 밴드를 생성하였다. P. tolaasii 6균주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1.0kb와 0.4kb의 두 가지 밴드를 pGEM-T에 클로닝하고 이들을 각기 pPTOP1과 pPTOP2로 명명하고 probe로 이용하였다. 0.4kb 크기의 pPTOP2의 삽입 DNA는 P. tolaasii 6균주와 hybridization이 이루어진 반면 다른 Pseudomonas종과는 반응하지 않았다. 0.4kb크기의 pPTOP2의 삽입 DNA를 probe로 이용해 dot blot hybridization한 결과 P. tolaasii는 $1.5{\times}10^3\;cfu$까지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무의 젖산균 증식촉진물질과 촉진작용 (Growth Stim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by a Radish Component)

  • 박경숙;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28-534
    • /
    • 1992
  • 무에서 젖산균의 증식촉진물질을 분리하여 이 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함께 젖산균의 증식에 미치는 촉진 작용을 연구하였다. 무의 젖산균 증식촉진물질은 메탄올에 침전되며 메탄올을 증발시켰을 때는 회색을 띠는 흰색가루상의 물질로서 수용액에서 적갈색을 띠었고 회분의 함량은 약 44%이었다. 이 촉진물질은 단백질분해 효소나 펙틴분해효소로 처리하였을 때 활성의 변화가 없었다. 회화하여도 활성의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아 무기질이 활성성분으로 중요하였다. 촉진물질은 0.02% ($Mn\;2{\times}10^{-5}\;M$에 해당됨)의 농도에서 EDTA(1 mM)에 의한 젖산균 증식저해를 정상적으로 회복시켰다. 그러나 이 활성물질의 본질은 아식 규명되지 않았으나 황의 함유량이 특히 높게 분석되었다. 젖산균 증식촉진물질 0.5%를 peptone-yeast extract-glucose(PYG) 액체배지에 첨가하여 Lactobacillus plantarum. L. fermentum, L. leichmanii, L. sake, L. brevis, L. acidophilus, L. casei, Pediococcus pentosaceus,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eptococcus faecalis, S. lactis, S. cremoris, S. thermophilus를 배양하였을 때, PYG에 촉진물질의 첨가없이 배양하였을 때에 비해 각각 19, 1833, 133, 444, 840, 32, 14, 18, 6, 17, 4, 5 및 4배의 증식촉진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무와 같은 채소류에는 젖산균의 증식을 촉진하여 젖산발효를 잘 일어나게 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귤피 펙틴 유래 효소적 가수분해물의 세포 보호 효과 (Cell Protective Effects of Enzymatic Hydrolysates of Citrus Peel Pectin)

  • 권순우;고현주;배준태;김진화;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5-85
    • /
    • 2016
  • Pectin은 식물 세포벽의 주요성분으로 과실이나 채소류의 세포막이나 세포막 사이의 엷은 층에 존재하며, 고점도의 수용성 다당체로 염과 pH에 의한 점도 변화가 심하며, 알코올류와 만나 gelation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식품분야에서 펙틴은 점도의 증가 및 겔 형성제로 사용되어 왔으나, 화장품 분야에서는 그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pectin 효소 분해물의 분해 정도 및 분자량 분포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HPLC (GPC)를 이용한 분석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생물 전환 공정을 통해 저분자량 pectin oligomer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종의 효소에 대한 저분자량 pectin oligomer 생산 최적 조건 실험을 진행하여 최적 생산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로 부터 제조한 pectin 효소분해물에서 저분자량 pectin oligomer를 선별적으로 분리하는 공정도 개발하였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제조된 저분자량 pectin oligomer 소재 LMPH A 와 B는 약 200 ~ 2,700 Da 정도의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LMPH A와 B의 생리활성을 확인한 결과, 2종 모두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게다가, 이들이 pectin 및 D-galacturonic acid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하며,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자외선(UVB)에 의한 피부세포의 광손상 및 이로 인한 apoptosis를 방어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세포 활성화 효과 측정결과는 LMPH A, B 모두 0.025%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 활성화 효과를 보였으며, 농도가 0.5%에 이를 때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LMPH B의 경우, 0.5% 농도에서 약 30%, LMPH A도 약 22%의 매우 우수한 세포 활성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2종의 LMPH가 우수한 생리활성과 동시에 우수한 안전성을 보임으로써, 향후 화장품 소재로 응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온주밀감 부패 곰팡이의 분리 및 동정 (Col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Molds from Citrus Oranges during Post-Harvest Storage)

  • 고영환;김세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42-1145
    • /
    • 1996
  • 수확 후 감귤의 장기저장은 주로 곰팡이에 의한 부패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감귤부패 곰팡이를 수집, 동정함으로써 수확후 저장성을 증대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1994년 가을부터 1995년 봄에 걸쳐 대기중에 노출된 채로 상온에 저장 중 부패된 온주밀감으로부터 14개의 상이한 균주를 분리하였다. 저장 중 각 곰팡이에의한 병해의 발생빈도는 Penicillium italicum 25.8%, Monila candida 19.8%, Alternaria citri 18.1%, Mucor hiemalis 11.0%, Phomopsis citri 6.6%, Botrytis cinerea 5.5%, Phoma citricarpa 3.8%, Glomerella cingulata 3.8% 그리고 P. digitatum 1.1% 순이었고, 기타 곰팡이가 4.5%를 차지 하였다. 한편 생리적 특성상 동정된 모든 균주가 펙틴 분해효소를 생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감귤의 부패와 곰팡이의 펙틴분해능간에는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수집된 곰팡이 균주는 감귤의 부패를 방지하는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