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페이지 구역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ummarizing relevant web pages based on semantic region (의미 구역에 기반한 관련 웹 페이지 요약 기법)

  • 이시은;황인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597-599
    • /
    • 2003
  • 웹 상의 정보는 여러 페이지들에 걸쳐 표현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 단위로 정보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웹 페이지들을 방문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정보를 검색해 여러 페이지 상에 흩어져 있는 정보들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컬렉션 페이지를 제공한다. 컬렉션 페이지는 검색된 웹 페이지들의 링크 관계를 제공하여 페이지들 사이에서의 정보의 구성을 알 수 있게 하고, 관련도 높은 페이지들의 주요 내용을 미리 가져와 보여 줌으로써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다. 이를 위해 페이지 안에서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동일한 주제의 정보를 담은 블록을 의미 구역으로 정의하고 웹 페이지를 실제 정보의 단위인 의미 구역으로 나누었다. 또한 의미 구역단위의 검색으로 여러 주제의 정보를 담고 있는 웹 페이지에 대한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인다.

  • PDF

Automatic Bookmarking System to Improve Web Accessibility (웹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자동 북마크 시스템)

  • 이시은;황인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187-189
    • /
    • 2002
  • 웹 환경이 복잡해짐에 따라 시각 장애인이 웹 페이지에서 원하는 정보와 서비스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웹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웹 페이지를 분석해사용자가 접근하는 객체와 관련 된 객체 주변의 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북마크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재접근 시에 저장된 북마크가 반영된 페이지로 변환시키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의 특징은 전체 페이지가 아닌 사용자의 접근 구역을 자동 추출함으로써 재접근 시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키고 페이지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도 저장된 북마크 정보와 가장 상응되는 객체나 구역을 추출하여 유동적으로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전에 접근한 객체나 구역만으로 구성된 변환 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원본(original) 페이지와 변환 페이지 사이를 필요에 따라 전환할 수 있게 한다.

  • PDF

A Web Surfing Assistant for Improved Web Accessibility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웹 서핑 도우미)

  • Lee SooCheol;Lee Sieun;Hwang Eenj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9
    • /
    • pp.1180-1195
    • /
    • 2004
  • Due to the exponential increase of information, search and access for the Web information or service takes much time. Web information is represented through several web pages using hyperlinks and each web page is contains several topics. However. most existing web tools don't reflect such web authoring tendencies and treat it as an independent information unit. This inconsistency yields inherent problems in web browsing and search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 surfing assistant called LinkBroker that provides collodion pages. They are composed of releva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several web pages that have table and frame structure in order to improve accessibility to web information. Especially, the system extracts a set of web pages that are logically connected and groups those pages using table and frame tags. Then, essential information blocks in each page of a group are extracted to construct an integrated summary page. It Provides a comprehensive view to user and one cut way to access distributed inform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LinkBroker system.

Automatic Reconstruction of Web Pages for Mobile Devices (무선 단말기를 위한 웹 페이지의 자동 재구성)

  • Song, Dong-Rhee;Hwang, Een-Ju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5
    • /
    • pp.523-532
    • /
    • 2002
  • Recently, with the wide spread of the Internet and development of wireless network technology, it has now become possible to access web pages anytime, anywhere through devices with small display such as PDA But, since most existing web pages are optimized for desktop computers, browsing web pages on the small screen through wireless network requires more scrolling and longer loading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page reconstruction scheme called PageMap to make it feasible to navigate existing web pages through small screen devices even on the wireless connection. Reconstructed pages reduce the file and page size and thus eventually reduce resource requirements. We have Implemented a prototype system and performed several experiments for typical web sites. We report some of the results.

Mobile Smart-Farm Monitoring Robot for Multi-Crop Cultivation Environments (다종 재배 환경을 고려한 이동형 스마트팜 모니터링 로봇)

  • Kim, Jong-Hyeon;Chae, Soo-Hyeon;Jeon, Ji-Yee;Kim, Gwang-Ho;Yun, Chang-Hwan;Gim, Jangwon;Jeong,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307-1310
    • /
    • 2017
  • 이 논문에서는 다종 재배 환경을 고려한 이동형 스마트팜 모니터링 로봇을 제안한다. 기존 스마트 농장 연구는 각 구역마다 고정형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고정형 센서 기반 스마트 농장이므로 다종, 다수의 센서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것은 기존의 스마트 농장과는 달리 스마트팜 모니터링 로봇은 농장의 모든 구역을 이동을 하며 데이터를 측정,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한 데이터를 웹 페이지를 통해 시각화한다. 그 결과 제안한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이동 및 측정을 하여 다종의 재배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mproving Lock Performance of Home-base Lazy Release Consistency (Home-based Lazy Release Consistency의 락 성능향상)

  • Yun, Hui-Cheol;Lee, Sang-Gwon;Lee, Jun-Won;Maeng, Seung-Ryeol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8 no.10
    • /
    • pp.513-519
    • /
    • 2001
  • Home-based Lazy Release Consistency (HLRC) shows poor performance on lock based applications because of two reasons:(1) a whole page is fetched on a page fault while actual modification is much smaller , and(2) the home is at the fixed location while access pattern is migratory,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icient lock protocol for HLRC. In this protocol, the pages that are expected to be used by acquirer selectively updated using diffs. The diff accumulation problem is minimized by limiting the size of diffs to be sent for each page. Our protocol reduces the number or page faults inside critical sections because pages can be updated by applying locally stored diffs . This reduction yields the reduction of average lock waiting time and the reduction of message amount. The experiment with five applications shows that our protocol archives 2%~40% speedup against base HLRC for four applications.

  • PDF

방사성 폐기물 관리

  • 남장수
    • 전기의세계
    • /
    • v.39 no.11
    • /
    • pp.52-59
    • /
    • 1990
  • 방사성폐기물 관리는 이미 발생된 폐기물에 대하여 처리.처분하는 사후관리라 할 수 있으며 이에 앞서 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이는 방안 즉 사전관리에도 소홀히 해서는 안될 것이다. 사전관리는 방사능 관리구역내 불필요한 물품잔입금지, 소모성자재의 최대한 반복사용(방호복, 제염지등), 공기구동 미소모성자재는 방사능관리구역내 전용화, 제염방법의 개선, 반감기기 극히 짧은 핵종으로만 오염된 폐자재는 방사능이 충분히 감쇄할 때까지 관리구역내에서 보관후 비방사성폐기물로 처리, 폐기물중에서 비방사성폐기물을 분류하여 일반 폐기물 처리, 방사성물질 취급자의 교육등을 통해 방사성폐기물의 발생량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 각국은 제각기 현실에 맞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기술을 도입 또는 개발하여 방사성 페기물 처리기술을 도입 또는 개발하여 방사성 폐기물의 양을 감용하거나 최종 폐기물에 대해서는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또 처분은 각국의 지질이나 인문.사회적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방안을 선택하여 최종처분하고 있다.

  • PDF

The Seal-up of Pleuropulmonary Fistula after Pulmonary Resection c Tisseel (폐 구역절제 혹은 기포절제 수술후 발생한 페늑막루 폐쇄 -조직접합제 사용 4예-)

  • Lee, Du-Yeon;Kim, Hae-Gyun;Mun, Dong-Seo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24 no.10
    • /
    • pp.1039-1043
    • /
    • 1991
  • The bullectomy, or sedge resection of the lung including bullae i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the recurrent spontaneous pneumothorax, and but results in pleuropulmonary fistulae in postoperative periods in some emphysematous lungs. There are many methods to close the air leakages with T-M, Talc powders. Or the closure of air leakage sites can be closed c resuture, wedge resection or lobectomy through re-explothoracotomy. Tisseel, a in thoracic surgical areas in recents. We have sealed the post-operative air leakage sites after bullectomy or segmental resection for 4 recurrent spontaneous pneumothorax with the spray of Tisseel & throbin through thoracoscope without re-explothoracotomy. The post-operative courses are uneventful to now.

  • PDF

Pulmonary Resection for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다제내성 폐결핵의 폐절제술에 관한 연구)

  • 박승규;윤후식;이창민;허진필;권은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1
    • /
    • pp.72-79
    • /
    • 2001
  • 배경: 일반적으로 다제내성 폐결핵의 경우 화학요법만으로는 치료성적이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이에 수술적 치료와 항결핵 화학요법의 병합사용이 높은 균음전율과 장기 생존율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이러한 치료전략이 다제내성 폐결핵환자의 일반적인 치료방법으로 정립되리라는 전망을 갖게 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국립마산결핵병원에서 폐결핵에 대한 수술을 시행받은 130례 중 다제내성 폐결핵으로 폐절제수술을 받은 49례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검사기록 등을 근거로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환자들의 평균연령은 35세였고, 내성약제의 수는 평균 4.5였다. 43례(87.8%)의 환자에서 공동성 병소를 보였으며 31례(63.3%)의 환자에서 술전 객담내 균양성 소견을 보였다. 수술술식은 12례에서 전폐적출술을, 28례에서 폐엽절제술을, 7례에서는 폐엽절제술과 구역절제술 혹은 설상절제술 등을, 그리고 설상절제술과 공동성형술을 각각 1례에서 시행하였다. 술후 지속적인 내과적 약물치료를 병합하여 장기적인 균음전율은 93.5%였고 술후 사망환자는 없었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1주일 이상 지속되는 공기유출 6례와 술후 출혈, 창상분열이 각각 1례씩 있었다. 결론: 다제내성 폐결핵환자에서 폐절제 수술에 대해서는 적절한 적응증, 수술후 처방, 그리고 술후 치료기간 등에 대한 이견이 있지만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술후 내과적 치료와 병행함으로 좋은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Optimal valve installation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considering abnormal water supply scenarios (비정상 물공급 시나리오를 고려한 상수도관망 최적 밸브위치 결정)

  • Lee, Seungyub;Jung, Donghw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10
    • /
    • pp.719-728
    • /
    • 2019
  • Valve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 (WDN), that controls the flow in pipes, is used to isolate a segment (a part of WDN) under abnormal water supply conditions (e.g., pipe breakage, water quality failure event). The segment isolation degrades pressure and water serviceability in neighboring area during the water service outage of the segment. Recent hydraulic and water quality failure events reported encouraging WDN valve installation based on various abnormal water supply scenarios. This study introduces a scenario-based optimal valve installation approach to optimize the number of valves, the amount of undelivered water, and a shortest water supply path indicator (i.e., Hydraulic Geodesic Index). The proposed approach is demonstrated in the valve installation of Pescara network, and the optimal valve sets are obtained under multiple scenarios and compared to the existing valve set. Pressure-driven analysis (PDA) scheme is used for a network hydraulic simulation. The optimal valve set derived from the proposed method has 19 fewer valves than the existing valve set in the network and the amount of undelivered water was also lower for the optimal valve set. Reducing the reservoir head requires a greater number of valves to achieve the similar functionality of the WDN with the optimal valve set of the original reservoir head.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results of demand-driven analysis (DDA) and the PDA and confirmed that the latter is required for optimal valve instal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