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페라이트 함량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Property Changes of Chip Inductors by Varying the Solid Loading of Ferrite Pastes (페라이트 페이스트의 고체함량에 따른 칩 인덕터의 특성변화)

  • 손승현;제해준;김병호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6 no.3
    • /
    • pp.284-292
    • /
    • 1999
  • 고체함량을 변화시킨 NiCuZn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법으로 7.7$\times$4.5$\times$1.0 nm 크기의 칩인덕터를 제조한 후, 페라이트 페이스트의 고체함량에 따른 수축률, 소결밀도, 미세구조, 계면반응 등의 물리적 특성 및 자기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온소결을 위하여 attrition milling 공정을 통하여 미세분말을 준비하였으며, 소결온도는 880~94$0^{\circ}C$로 변화시켰다. 90$0^{\circ}C$에서 2시간 열처리된 페라이트 후막의 소결밀도는 고체함량이 50,55,60%로 증가할수록 5.12,5.14,5.18g/㎤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칩 인덕터 시편들의 주파수 10 MHz에서 L값이 2.1,2.3,2.5 $\mu$H로 커졌다.Q값은 소결밀도 증가에 의한 Q값 증가효과와 아울러 입자가 커짐에 따른 반대효과로 인하여 고체함량에 따라 87,90,94로 큰 변화가 없었다. 페라이트 페이\ulcorner의 고체함량 및 소결온도와 무관하게 Ag 성분의 페라이트 쪽으로의 확산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용접부의 DELTA-FERRITE 생성인자

  • 문영훈;허성도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5 no.1
    • /
    • pp.16-22
    • /
    • 1987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용접부의 .delta.-페라이트 생성인자에 관한 위의 실험결과로부터 아래의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용접부의 .delta.-페라이트는 에너지적으로 불안정한 상으로서,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태가 비가역적(irreversible)이다. (2) .delta.-페라이트의 생성 및 변태에는 합금원소의 확산이 반드시 수반되며, 최종 .delta.-페라 이트 함량은 정성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페라이트함량=primary페라이트-변태한 페라이트 (3) .delta.-페라이트 생성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자는 화학조성(Cr-당량/Ni-당량)이며, primary 변태양상 및 냉각속도에도 크게 의존한다. (4) 용착부 .delta-페라이트는 대개 Vermicular와 Lathy의 혼합조직으로 존재하며, 열영향을 받 을수록 에너지적으로 안정한 Globuar 형상으로 변해간다.

  • PDF

An Interface Reactions between Sintered Mn-Zn Ferrite and $SiO_2$-PbO-ZnO Bonding Glass (Mn-Zn 페라이트 소결체와 $SiO_2$-PbO-ZnO 삼성분계 봉착유리와의 계면반응)

  • 이대희;박명식;김정주;이병교;조상희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7 no.12
    • /
    • pp.1204-1211
    • /
    • 2000
  • Mn-Zn 페라이트 소결체와 SiO$_2$-PbO-ZnO 삼성분계 유리와의 계면반응에서 페라이트와 유리에 각각 첨가된 ZnO가 계면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iO$_2$-PbO-ZnO 삼성분계 유리에 첨가된 ZnO 함량이 낮은 경우 페라이트와의 접합계면에서 생성되는 중간상은 Pb$_2$(Mn,Fe)$_2$Si$_2$O$_{9}$와 Pb$_{8}$(Mn,Fe)Si$_{6}$O$_{21}$의 고용체였으며, ZnO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중간상은 사라졌다. 유리속의 ZnO 성분이 증가함에 따라 페라이트 소결체 쪽의 계면부근에 Zn의 농도가 증가하는 특이한 분포가 나타났다. 이는 유리 속에 첨가된 Zn 이온의 높은 활동도로 인해 페라이트에 포함된 Zn 이온의 용해반응이 선택적으로 억제되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페라이트에 첨가된 ZnO 함량이 낮은 경우 SiO$_2$-PbO 이성분계 유리와의 접합계면에서 페라이트의 용해에 따른 침식과 입계를 통한 유리의 침투가 심하게 일어났으며, ZnO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면을 통한 상호확산과 반응이 억제되었다.

  • PDF

Rheological and Magnetic Properties of Plastic Ferrite Magnets (플라스틱 페라이트 자석의 레올로지와 자기특성)

  • 이석희;최준환;문탁진;정원용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8 no.3
    • /
    • pp.150-15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rheological and magnetic properties with powder loading in plastic anisotropic ferrite magnets. The measured relative viscosities with powder loading were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ones. The variation of relative viscosities with powder loading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at of particle alignment. Remanent flux density and maximum energy product increased linearly with the increase of powder loading, and then showed maximum values. The decrease of magnetic properties at high powder loading was caused by rapid decrease of particle alignment due to the drastic increase of mixture viscosity. The powder loading for maximum magnetic properties is dependent on magnetic field during injection molding and melt viscosity of binder, so the binder with low melt viscosity is necessary to fabricate the magnet with high properties.

  • PDF

Decomposition of Carbon Dioxide Using Sr Ferrites with Various Compositions (다양한 조성의 Sr 페라이트를 이용한 CO2분해 반응 특성)

  • 신현창;최정철;정광덕;최승철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40 no.2
    • /
    • pp.191-197
    • /
    • 2003
  • Sr ferrites with various compositions were applied to the decomposition of $CO_2$ to mitigate the greenhouse effect. In the reduction reaction of Sr ferrites up to 80$0^{\circ}C$, starting temperature was lower with increasing of Sr content in Sr ferrite. However, the reactivity was higher with decreasing Sr content. In the $CO_2$ decomposition reaction with reduced Sr ferrites, the amount of CO and C were depended on the ratio of Sr and Fe in Sr ferrite. With increasing Sr content. larger amount of C were deposited on the surface of ferrite. Therefore, in order to apply Sr ferrites for the decomposition of $CO_2$,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ratio of Sr and F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used.

Microstructure and hardness change in high temperature service depending on Mo content in 2.25Cr-1Mo steel weld metals (2.25Cr-1Mo강에서 Mo 함량에 따른 고온환경에서의 용접부 미세조직 및 물성변화)

  • Choi, Chang-Hyun;Lee, Hae-Woo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19
    • /
    • 2010
  • Mo 변화에 따른 Cr-Mo 강의 미세조직 및 물성병화를 알아보기 위해 새로 디자인된 용접봉을 사용하여 Flux cored arc welding(FCAW) 공정으로 용접하였다. 또한 고온에서의 용접부 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시편을 $400^{\circ}C$, $500^{\circ}C$, $600^{\circ}C$, $700^{\circ}C$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 하였다. 용접부의 미세조직은 미세한 베이나이트 및 침상 페라이트로 구성되었으며 Mo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베이나이트 조직이 증가하여 경도 및 강도가 증가하였다. 높은 항복강도와 인장강도를 가지며 연신율이 매우 낮음을 관찰하였다. 열처리후의 미세조직은 $400^{\circ}C$, $500^{\circ}C$는 템퍼드 베이나이트 조직이 나왔으나 $600^{\circ}C$에서 베이나이트 조직이 성장하였다. $700^{\circ}C$ 로 갈수록 베이나이트가 감소하고 페라이트로 미세조직이 변태 하였으며 탄화물의 석출 및 성장이 관찰되었다. 이로 인하여 경도값이 $400^{\circ}C$, $;500^{\circ}C$ 에서 증가하였고 $600^{\circ}C$는 소폭 감소하였으며 $700^{\circ}C$의 경우 완전 페라이트 조직의 형성으로 경도가 크게 감소하고 Mo 함량에 따른 경도 차이 또한 보이지 않았다.

  • PDF

Effect of nitrogen content on pitting formation at low nickel duplex stainless steel (듀플렉스상 스테인리스강에서 질소의 함량이 공식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Choe, Jong-Beom;Lee, Gyeong-Hwang;Gang, Hyeong-Gu;Lee, Myeong-Hun;Yang, Jeong-Hyeon;Gang, Jun;Yun, Y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61-61
    • /
    • 2018
  •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 상이 공존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한 구조에 의해서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상의 장점을 동시에 갖는 특성이 있다. 높은 강도와, 우수한 내식성, 응력 부식 균열 그리고 낮은 니켈의 함량 때문에 안정적인 가격을 갖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운송, 기름과 가스, 해양플랜트, 건축 그리고 높은 강도와 우수한 내식성이 필요한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형성에서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상의 균형과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해 질소가 첨가된다[1,2]. 본 연구는 저니켈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STS 329 FLD)의 공식 형성 과정에서 질소의 함량이 공식 형성과 내식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동전위분극,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그리고 GDOES(Glow Discharge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GDOES를 이용하여 깊이별 원소 분포를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부동태막에서 질소는 기저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질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wt.% 또한 증가하였다. 이러한 부동태막의 깊이별 원소 분포특성이 내식특성과 공식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동전위분극을 이용하였다. 질소의 함량이 증가하였을 경우, 부식전위는 증가하였으며, 부식전류는 감소하였다. 또한 부동태전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XPS를 이용하여 질소의 화학적 상태를 확인하였다. 질소는 암모니아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암모니아 상태로 부동태막에 존재함에 따라 공식이 형성될 때, 암모늄 화함물을 형성하여 공식 내부의 산성도를 낮춤으로써 공식의 형성이 억제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공식 이후의 표면을 관찰 할 경우 질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에서 공식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 PDF

Effect of Ni or Cu content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olution Strengthened Ferritic Ductile Cast Iron (고용강화 페라이트계 구상흑연주철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Ni 및 Cu의 영향)

  • Bang, Hyeon-Sik;Kim, Sun-Joong;Song, Soo-Young;Kim, Min-Su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41 no.5
    • /
    • pp.411-418
    • /
    • 2021
  • In order to experiment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Ni or Cu addition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Si Solution Strengthened Ferritic Ductile cast Iron (SSF DI), a series of lab-scale sand casting experiment were conducted by changing initial concentration of Ni up to 3.0wt% or Cu up to 0.9wt% in the alloy. It was found that increase in Ni or Cu content in the alloy leads to increase in strength properties and hardness as well as decrease in ductility. The higher Ni or Cu content the SSF DI has, the higher fraction of pearlite was observed. At similar levels of Ni or Cu contents in the alloy, higher pearlite area fraction was observed in the Cu-containing SSF DI than that in the Ni-containing SSF DI. When the effect of the microstructur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Ni-containing SSF DI was considered, Ni-containing SSF DI was found to have excellent strength and hardness as well as good elongation when the pearlite fraction was controlled less than 10%. As the pearlite fraction in the Ni-containing SSF DI exceeds 10%, however, it shows drastic decrease in elongation. Meanwhile, gradual increase in strength and hardness, and decrease in elongation with respect to increase in pearlite fraction were observed in Cu-containing SSF DI. The different microstructure-mechanical property relationships between Ni-containing and Cu-containing SSF DI were due to the combined effect of the relatively weak pearlite stabilizing effect of Ni compared to that of Cu in high Si SSF DI, and matrix strengthening effect caused by the different amounts of those alloying elements required for similar pearlite fraction.

A Study on the Magnetic Proprtties of Anisotropic Sr-Ferrote Plastic Magnets (이방성 Sr 페라이트 플라스틱자석의 자기특성에 관한 연구)

  • Jo, Nam-Hui;Jin, Seong-Bin;Mun, Hyeon-Uk;Sin, Yong-Ji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6 no.7
    • /
    • pp.671-677
    • /
    • 1996
  • 본 논문은 Sr 페라이트 플라스틱자석의 자기특성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Sr 페라이트의 조성은 SrO5,9Fe2O3에 CaO, SiO2, Na2SiO3 및 AI2O3를 미량 첨가하고, PVA(polyvinylalchohol) 7%수용액을 가하여 질소분위기에서 120$0^{\circ}C$, 2시간 소성하였다. PVA를 이용한 탄소코팅법으로 분말제조시 분쇄효과를 얻었으며, 페라이트의 함량을 증가시켜서 자기특성을 향상시켰다. Sr 페라이트분말과 폴리아미드 6을 75-90wt%로 혼련한 수 0-10 kOe의 자장을 인가하여 이방성 Sr 페라이트 플라스틱 자석을 제조하였다. 자석제조시 사출온도 27$0^{\circ}C$, 사출압력 120kg/$\textrm{cm}^2$, 자장으 세기 8 kOe 및 자장인가시간 6초에서 최적의 사출성형조건을 얻었다. 실험결과 자장중 사출성형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이방성 플라스틱자석에서 (BH)max=-2.0MGOe의 특성을 얻었다.

  • PDF

산화철 폐촉매를 사용한 NiZn-페라이트웨 합성 및 자기적 특성

  • Park, Sang-Il;Hwang, Yeon;Lee, Hyo-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rystallographic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a
    • /
    • pp.26-26
    • /
    • 2003
  • 산업 폐기물로서 전량 매립되고 있는 styrene monomer (SM) 공정에서 발생되는 산화철 폐촉매를 사용하여 NiZn-페라이트를 합성하였고, 그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평균입경 0.5㎛로 미분쇄된 산화철 폐촉매에 NiO 및 ZnO를 혼합하여 900℃에서 하소한후 1230℃에서 5시간 동안 소결하여 스핀넬형 페라이트 소결체를 얻었다. Ni/sub x/Zn/ub 1-x/Fe₂O₄(x=0.36, 0.50, 0.66) 및 (Ni/sub 0.5/Zn/sub 0.5/)/sub 1-y/Fe/sub 2+y/O₄(y=-0.02, 0, 0.02) 조성에 대하여 초투자율을 측정하였다. S-parameter를 측정하여 반사 감쇄량을 계산하였다. Ni/sub 0.5/Zn/sub 0.5/fe₂O₄ 조성의 경우 밀도 5.38 g/㎤ kHz에서의 초투자율이 59인 특성을 얻었다. 산화철 폐촉매를 이용하여 X-band 주파수 영역에서 높은 전자파 흡수능을 갖는 전파흡수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Ni/sub 0.5/Zn/sub 0.5/Fe₂O₄ 조성에 대하여 1100℃에서 하소한 분말을 사용하여 실리콘 고무에 복합시킨 후 전파흡수능을 측정하였다. 폐촉매에는 산화철 이외에 CeO₂가 주된 첨가물로 함유되어 있어서 페라이트의 합성 후에도 2차상으로서 존재하였다. 출발 원료인 산화철 폐촉매에 존재하는 K₂O 및 CeO₂를 제거하기 위하여 산처리와 분산제를 이용한 CeO₂ 분리과정을 행하였다. 정제된 산화철 폐촉매에 NiO 및 ZnO를 혼합하여 900℃에서 하소하여 스핀넬형 페라이트를 합성하고 1325℃에서 5시간 소결하였다. 위와 마찬가지로 Ni/sub x/Zn/sub 1-x/Fe₂O₄(x=0.36, 0.50, 0.66)과 (Ni/sub 0.5/Zn/sub 0.5/)/sub 1-y/Fe/sub 2+y/O₄(y=-0.02, 0, 0.02) 조성에 대하여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화된 중성자빔으로 측정하였다 BPC-Si를 구부려 슬랩의 곡률반경을 변화시키면서 단색기-시료-검출기가 평행파 반평행배치일 때 Cu(111), (200), (220), (311), (331), (420)면의 회절선을 측정하여 각 조건에서 분해능과 강도를 평가하였다.료의 가시적 변화를 통해 illumination angle 1.25mrad(Dose rate : 334 × 10³ e/sup -//sec·n㎡)일 경우 약 3초 이내에 비정질화가 시작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약 1 × 10/sup 6/ e/sup -//sec·n㎡ 의 전자선량에 해당되며 이를 기준으로 각각의 illumination angle에 대한 임계전자선량을 평가할 수 있었다. 실질적으로 Cibbsite와 같은 무기수화물의 직접가열실험 시 전자빔 조사에 의해 야기되는 상전이 영향을 배제하고 실험을 수행하려면 illumination angle 0.2mrad (Dose rate : 8000 e/sup -//sec·n㎡)이하로 관찰하고 기록되어야 함을 본 자료로부터 알 수 있었다.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동)운동시키기 위한 육은 71.74±1.66%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운동조건에서 양식된 참돔은 사육초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사육 5일 이후에는 수분함량이 증가하여 15일에는 76.40±0.14, 75.62±0.98%의 수분함량을 2회와 1회 운동시킨 참돔의 육에서 각각 나타났다. 운동횟수에 따른 지질함량은 2회 운동시킨 참돔은 5.83±2.08, 1회 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