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페놀 화합물

검색결과 1,035건 처리시간 0.027초

몽골산 Iris bungei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 (Radical scavenging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Mongolian Iris bungei extract)

  • 정윤희;정경한;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79-884
    • /
    • 2017
  • 몽골산 I. bungei를 80% 메탄올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 n-BuOH의 유기용매를 활용하여 순차 분획을 실시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총 페놀함량,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EtOAc 가용 분획물에서 $IC_{50}$ 값이 $148.7{\pm}1.6{\mu}g/mL$으로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고,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역시 I. bungei의 EtOAc 가용 분획물에서 $IC_{50}$ 값이 $27.8{\pm}0.9{\mu}g/mL$의 매우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확인하였고, 다량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활성의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EtOAc 가용 분획물에서 $IC_{50}$값은 $4.6{\pm}0.1{\mu}g/mL$의 강력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인 acarbose의 $IC_{50}$ 값인 $473.2{\pm}5.5{\mu}g/mL$과 비교했을 때 매우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다양한 화합물이 함유된 상태의 추출물 시료를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우수한 활성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기대하게 한다. 향후 이들 추출물의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로 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천연 기능성 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홍화잇꽃의 여드름피부 개선효과 및 세안용 생약식물소재 응용 (Efficacy of Safflower on the Acne Skin and Its Application for Facial Cleansing Biomedical Material)

  • 박영호;이창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400-404
    • /
    • 2011
  • 홍화는 예로부터 '사람의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 '잇꽃'으로 불려져 왔으며 동의보감에서는 꽃잎이 홍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홍화(紅花)로 소개되어 있다. 예로부터 홍화는 꽃잎을 압착후 정제된 색소를 이용하여 옷감에 천연색소를 입히는 염료와 연지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현대에 와서는 홍화의 주성분인 폴리페놀 화합물(Polyphenol cocktail) 성분이 건강식품업계에서 항노화 및 항산화물질로 알려지면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금번연구에서는 홍화의 주성분인 폴리페놀 화합물이 청소년기 혹은 장년기에서도 고민거리가 되고 있는 여드름균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항균, 항염효능이 있음을 DDT(Disk Diffusion Test) assay, MTT assay, NF-${\kappa}$B Luciferase activity inhibition assay의 in vitro법으로 확인하고 더불어 인체안면에 대한 임상시험에 사용할 세안화장품 제형의 화장비누 시제품을 제조하여 여드름피부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시험하고자 한다. 또한 이번 연구는 여드름용 화장비누 개발에 진일보하여 약용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임을 확신한다.

녹차잎분말을 이용한 마루판의 유해 TVOC 제거효과 (Scavenging Effect of Injurious VOC from Flooring using Green Tea Leaves Powder)

  • 강석구;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49-58
    • /
    • 2008
  • 본 연구는 내구성이 우수하며 포름알데히드방출이 적은 페놀수지 사용 메란티합판을 마루판용 대판으로 사용하고 북미산 벚나무 단판을 표면재료로 사용한 마루판의 제조과정에서 접착제 및 도료에 녹차잎 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마루판으로부터 방출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과 포름알데히드의 감소효과와 녹차잎 분말의 적정 첨가량을 구명하였다. 1) 녹차잎 분말의 폴리페놀화합물량은 9.85%였다. 2) 녹차잎 분말은 FT-IR 결과 벤즈알데히드와 에틸헥사알콜과 반응하여 화학결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페놀수지메란티대판에 벚나무단판오버레이 마루판 제조를 위한 접착제와 UV도료에 전건중량기준으로 2.5%의 녹차잎 분말을 각각 첨가하는 것이 총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의 방산제거 효과가 매우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4) 20L 소형챔버법에 의한 녹차잎 분말 2.5%를 접착제와 도료에 각각 첨가한 온돌용 마루판의 7일째 TVOC는 $0.089mg/m^2hr$이고 포름알데히드는 $0.001mg/m^2hr$를 나타내 최우수등급으로 나타났다.

숙성조건이 장미꽃 추출물의 페놀화합물(phenolics) 함량과 산화방지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ing on the phenolic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ose flower (Rosa hybrida L.) extracts)

  • 김소영;고승현;윤현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14-716
    • /
    • 2017
  • 장미꽃을 $30^{\circ}C$, 상대습도 60%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여 총페놀화합물 함량, 산화방지 활성, 카테킨 함량을 최대로 증가시키는 조건을 수립하였다. 장미꽃을 차로 이용하기 전에 숙성공정을 통하여 생리활성 물질인 카테킨을 비롯한 페놀화합물의 추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장미꽃 차의 산화방지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다.

중국산 녹두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Chinese Mung Bean)

  • 전기숙;서윤룡;박신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1-51
    • /
    • 2015
  • 본 연구는 이용도가 높은 녹두의 국내 생산 부족으로 수입이 증가되고 있는 중국산 녹두의 천연 항산화성 소재로 활용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녹두의 메탄올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in vitro 항산화 모델(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중국산 녹두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74.83{\pm}2.90GAE\;mg/g$$68.87{\pm}2.84QE\;mg/g$으로 나타났다. 중국산 녹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초기 ABTS 라디칼의 50%를 소거하는데 필요한 농도($IC_{50}$)는 2.85 mg/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국산 녹두는 페놀성 화합물이 풍부하며, 천연물 유래 항산화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효소처리에 의한 백삼 저분자 화합물의 V79-4 세포주에 대한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white ginseng extracts prepared by enzyme treatment on V79-4 cell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 김영찬;임주혁;노정해;조장원;이영경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203-209
    • /
    • 2007
  • 본 연구는 효소분해를 통하여 인삼의 저분자 화합물을 추출하고 추출수율, 총페놀 함량, V79-4 세포주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조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29.5-76%였으며, 총페놀 함량은 0.45-2.21%로 처리 효소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pectinase 처리구가 추출 수율과 총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다. V79-4 세포주에 대해서는 pectinase 처리구와 ${\alpha}$-amylase 처리구에서 50% 이상의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세포내 항산화 관련 효소계의 활성을 시험한 결과 SOD활성은 처리 효소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CAT와 GPx 활성은 pectinas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지질과산화 활성을 시험한 결과에서도 pectinase 처리구와 protease 처리구에서 50% 이상의 MDA 생성 억제를 보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퉁퉁마디 에탄올 추출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Conditions from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정욱;김해섭;박인배;신궁원;이영재;조영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76-384
    • /
    • 2009
  • 본 실험은 퉁퉁마디의 에탄올 추출조건에 따른 당도, 수율, 전자공여작용 및 총 페놀화합물 함량에 대해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용매에 대한 시료비($1{\sim}9\;g$/100 mL), 추출온도($35{\sim}95^{\circ}C$) 및 에탄올 농도($0{\sim}100%$)를 달리하였을 때 반응표면 회귀식의 R2는 당도, 수율, 전자공여작용 및 총 페놀화합물 함량에서 각각 0.7866(p<0.1), 0.8370(p<0.05), 0.9037(p<0.01) 및 0.9263(p<0.01)로 나타났다. 추출조건별 당도, 수율, 전자공여작용 및 총 페놀화합물 함량에 대한 반응표면을 superimposing하여 얻은 최적 추출조건 범위는 용매에 대한 시료비 $3.38{\sim}5.33\;g$/100 mL, 추출온도 $55.87{\sim}76.96^{\circ}C$, 에탄올 농도 $25{\sim}67.31%$로 나타났다. 최적 추출조건범위내의 임의의 조건인 용매에 대한 시료비 5 g/100 mL, 추출온도 $65^{\circ}C$ 및 에탄올 농도 60%를 회귀식에 대입하여 얻은 예측값은 당도 $6.36^{\circ}Brix$, 염도 5.08%, 수율 35.40%, 전자공여작용 61.24% 및 총 페놀성 화합물 917.22 mg/100 g으로 예측되었으며, 실제 실험을 통해 얻어진 값은 당도 $6.50^{\circ}Brix$, 염도 5.10%, 수율 33.84%, 전자공여작용 63.23% 및 총 페놀성 화합물 921.42 mg/100 g으로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고사리의 Thiamine 분해능에 미치는 조리조건의 영향 (Effect of Cooking Conditions on the Antithiamine Activity of Bracken)

  • 윤재영;송미란;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01-807
    • /
    • 1988
  • 조리과정을 달리한 고사리의 thiamine 분해능을 thio-chrome 형광법과 Lactobacillus viridescens를 이용한 미생물법으로 측정하였고 페놀화합물의 함량 및 갈색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생고사리의 thiamine 분해능은 데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페놀화합물의 함량과 갈색토는 감소하였다. 데칠 때 소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hiamine분해능, 페놀화합물의 함량과 갈색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말린 고사리를 $NaHCO_3$ 용액으로 연화처리하거나 생고사리 및 말린 고사리를 흐르는 물에 담그었을 때 thiamine분해능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페놀화합물의 함량, 갈색도 역시 감소하였다. 고사리의 가열조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thiamine분해능, 페놀화합물의 함량 및 갈색도가 감소하였으나, 그 변화는 크지 않았다. Thiamine 분해능은 여러 조리과정을 통하여 감소되었고 특히 흐르는 물에 담갔을 때 그 효과가 뚜렷하였으며 페놀화합물은 thiamine 분해에 크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밤 삽피의 페놀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hestnut Endoderm)

  • 김영찬;김미연;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62-167
    • /
    • 2002
  • 밤 삽피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밤 삽피로부터 유리형(EPA), 에스데르형(EPA), 결합형(BPA) 페놀산 획분을 분리하였다. 각 획분의 수율은 유리형 0.794%, 에스테르형 1.236%,결합형이 1.937%였으며 이중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에스테르형이 65.19%로 가장 높았다. Gas chromatography로 각 획분의 페놀산의 조성과 함량을 조사한 결과 유리형 획분에서 gallic acid(4.63%), ellagic acid(3.49%), salicylic acid(3.19%), gentisic acid(1.5%)가, 에스테르형 획분에서 gallic acid(13.4%), ellagic acid(11.6), protocatechuic acid(0.9%)가 주요 페놀산으로 확인 되었으며,결합형 획분에서는 gallic acid는 확인되지 않고 다른 획분에 비하여 sinapic acid(1.33%)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 획분의 항산화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시험으로 조사한 결과 유리형, 에스데르형, 결합형 획분의 순으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ri-n-butyl phosphate와 액상고분자 지지액막을 이용한 페놀의 분리 (Supported Liquid Membrane Composed of Tri-n-butyl Phosphate or Liquid Polymer for Phenol Separation)

  • 안효성;이용택;윤인주;김명수
    • 멤브레인
    • /
    • 제8권4호
    • /
    • pp.228-234
    • /
    • 1998
  • 다양한 수질 오염원 중 페놀과 같은 유기화합물은 배출조건이 비정상적인 경우 기존의 처리방법으로 제거하거나 파괴하기 어렵다. 수용액으로부터 페놀을 분리하기 위한 최근의 연구들은 활성탄에 의한 흡착, 용매 추출 등에 의해 수행되어져 왔으며, 물-기름 유화에 기초를 둔 액막법이 기존의 기술들을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험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tri-n-butyl phosphate(TBP)와 액상 고분자를 지지액막의 액막용액으로 선정하여 수용액상의 페놀을 분리하였다. 공급측 페놀 농도를 변화시키고 다양한 액막용액을 사용하여 이들이 페놀분리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TBP를 운반체로 사용한 경우의 실험결과들은 용매추출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methyl isobutyl ketone(MIBK)보다 높은 물질전달속도를 보여주었으며, 선택한 액상고분자 중 polypropylene glycol 4000(PPG-4000), polybutylene glycol 500(PBG 500)의 경우 MIBK와 유사하거나 조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