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펌프 제어

Search Result 55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Light-Duty DME Truck Using Common Rail Fuel Injection Systems (커먼레일 연료분사 시스템을 장착한 경량 DME 트럭의 연구 및 개발)

  • Jeong, Soo-Jin;Chon, Mun Soo;Park, Jung-Kwon
    • Journal of Institute of Convergence Technology
    • /
    • v.2 no.1
    • /
    • pp.24-30
    • /
    • 2012
  • In this study, the trucks(2.9-liter) have been developed to use DME as fuel, and performance test of the vehicle's DME engine, power, emissions, fuel economy and vehicle aspects was conducted. For experiments, the fuel system(common-rail injectors and high-pressure pump included) and the engine control logic was developed, and ECU mapping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rail pressure from 40MPa to approximately 65% increase compared to the base injector has been confirmed that. Also, the pump discharge flow is 15.5 kg/h when the fuel rail pressure is 400rpm(40 MPa), and the pump discharge flow is 92.1 kg/h when the fuel rail pressure is 2,000rpm(40MPa). The maximum value of full-load torque capability is 25.5kgfm(based on 2,000rpm), and more than 90% compared to the level of the diesel engine were obtained. The DME vehicle was developed in this study, 120 km/h can drive to the stable, and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carbon-balance method of fuel consumptions is 5.7 km/L.

  • PDF

An Auto-Switching Dual-Input Energy Harvesting Circuit (자동 스위칭 기능을 갖는 이중입력 에너지 하베스팅 회로)

  • Park, Yeon-kyoung;Kim, Mi-rae;Lee, Seung-hee;Yang, Min-Jae;Yoon, Eun-jung;Yu, Cho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577-580
    • /
    • 2014
  • In this paper an auto-switching dual-input energy harvesting circuit is proposed. Since the maximum power points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TEG) output and a vibration device(PEG) output is 1/2 of their open-circuit voltage, an identical MPPT controller can be used for both energy sources. The proposed circuit monitors the outputs of the TEG and PEG, and chooses the energy source generating a higher output using an auto-switching controller, and then harvests the maximum power from the selected device using a MPPT controller. The harvested energy is boosted through a charge pump and stored in a storage capacitor. The stored energy is provided to a load through a PMU(Power Management Unit). The proposed circuit is designed in a 0.35μm CMOS process and its functionality has been verified through extensive simulations. The designed chip occupies 1.4mm×1.2mm including pads.

  • PDF

Project of Dam Safety reinforcement on Gampo Dam (감포댐 안전성강화 사업)

  • Cheon, Geun Ho;Han, Yo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14-214
    • /
    • 2022
  • 감포댐은 2006년 준공하여 각종 시설 및 설비의 노후화가 진행중에 있으며, 최근 감포댐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경주지진(규모 5.8) 및 포항지진(규모 5.4)이 발생하여 지진시 시설물의 안전성에 대해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이에 감포댐 안전성강화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고, 주요 사업내용은 취수탑 관리교 내진보강, 댐체 심벽보강을 통한 댐체 안전성확보, 비상방류시설 개선이다. 취수탑 관리교는 교각단면의 변위연성도 및 교량받침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고, 단면강도는 모멘트-곡률해석법에서 탄성영역의 단면강도 대비 탄성지진력을 비교하여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교량받침의 내진성능은 부족한 것으로 검토되어 유량제어형 멀티펌프와 안전잭을 이용한 변위제어 방식의 교량동시 인상공법이 가능하고 인상정밀도 ±0.5mm이내의 성능을 가진 교량인상공법 적용하여 보강을 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댐체 심벽보강을 위해 먼저 전기비저항탐사를 수행하여 전기비저항대를 탐사하여 심벽부에서 포화대가 형성된 부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댐 상·하류에 전극을 설치하고 전류를 발생시켜 측정 지점별 자기장을 측정을 통하여 댐체내 침투에 따른 유로 형성여부 파악을 위한 전자기장탐사를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벽 시추조사를 시행하여 공내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포화대의 위치 및 이상대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불특정 지점에 연약대가 존재한다 판단하여 심벽부 보강계획을 전반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비상방류시설은 최근 15년 실측자료의 홍수기(6~9월) 평균유입량을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며 검토결과 배제대상 높이 75%까지는 3.7일, 완전배제까지는 11.2일이 걸려 댐설계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검토되다. 다만 감포댐 비상방류시설이 하천제방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천의 폭이 좁아 과거 방류시에도 제방을 월류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하천의 세굴을 방지하고 제방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비상방류시설에 감세공을 설치하고, 제방에 디플렉터 옹벽을 설치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감세공은 2번에 걸친 감세효과로 방류시 하류바닥 및 옹벽 보호 효과가 큰 미국 USBR의 TypeVI를 적용하였으며, Flow-3D 모델링을 통하여 제방에 월류가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대안 옹벽규모를 산정하였다.

  • PDF

Vibration Control of Condensate Motors in Nuclear Powerplant By Bearing Redesign (베어링 재설계에 의한 원전 COP motor의 진동 제어)

  • Lim, Do-Hyeong;Kim, Won-Hyun;Lee, Jong-Moon;Lee, Soo-M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11a
    • /
    • pp.264-269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summary of control of abnormal vibration found in the COP motors of a nuclear power plant. All six identical units of COP pump-motor assemblies showed unstable vibration pattern of which one or two showed higher vibration enough to exceed the allowable level from the installation stage. Many trials of test, measurement, overhaul and replacement had been repeated to investigate and solve the problem but only to reach unsatisfactory settlement. Recently several times of site tests are made and followed by significant diagnostic actions in which the authors group participated. It was found that the coupled shafting system of motor and pump is in close resonance with the 1st shaft rotating speed. Redesign of topside motor bearing clearance is made to increase bearing stiffness and hence to avoid the resonance which consequently led to reduce the troubled vibration to allowable and stable status.

  • PDF

잠수함의 공조

  • 김영일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4
    • /
    • pp.56-60
    • /
    • 2001
  • 경험에 의하면 앞에서 언급한 장비의 사용, 규율, 규제된 용제의 사용, 기름 페인트 사용의 억제, 그리고 엄격한 페인트 과정을 따르는 것에 의해 잠수함내의 탄화수소 농도를 100만분의 1 또는 2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방책으로는 세심한 관찰, 선체내로 들여오는 모든 물질의 기록 그리고 규제된 물질의 사용 시간, 장소 및 양의 제어이다. 이러한 점들은 잠수함 내부를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으로 설계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는 자료들이다. 잠수함 내의 공기질은 적외선 분광 광도계, 질량 분광계, 상자성(paramagnetics), 열전도율, 광이온화 그리고 열량 검사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분석된 결과는 과거의 데이터와 비교되어 활성탄충의 교체등을 포함하여 유지 관리의 자료로 활용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다양한 계측기가 선체 내의 대기 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앙 대기 측정기, 추적 가스 분석기, 수소 탐지기, 이동형 대기 모니터, 이동형 산소 분석기, 탄광 안전 지시계, 열량 분석관, 탐지 펌프 시험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계측기는 잠수 전 또는 후에 사용된다. 계측기는 화재 발생시 영향을 받지 않은 공간 또는 냉매가 충전되는 장소에 사용된다. 오늘날 여러 종류의 특별한 잠수함이 존재한다. 정찰 업무를 통해 세계 평화를 유지하고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는 것보다 덜 복잡한 목적을 지닌 잠수함도 있다. 그러나 선원들이 안전한 내부 환경 속에서 바다 속을 항해하고 계속 그 응용 범위를 확장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장비들 또는 그 변형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 PDF

A Study on Lubricant additive of DME Common-rail Vehicle (DME 커먼레일 차량의 윤활향상제에 관한 연구)

  • Park, JungKwon;Kim, Hyunchul;Jeong, SooJin;Chon, MunSoo
    • Journal of Institute of Convergence Technology
    • /
    • v.3 no.1
    • /
    • pp.15-18
    • /
    • 2013
  • The next generation alternative fuel of diesel, DME (Dimethyl Ether) discharges particulate matter hardly due to chemical structural as oxygen-fuel so it has the eco-friendly property. Despite these advantages, the DME has the technical difficulties to apply to the diesel engine because of a low calorific value, viscosity and compressibility effects. From this point of view, we performed experimental studies on improved reliability of DME common-rail vehicle and lubricity enhancement of DME fuel for empirical distribution of eco-friendly DME fuel. Also we analyzed solubility of lubrication enhancer according to a drop in temperature, try to secure reliability about core parts of DME vehicle by applying lubrication enhancer in the DME common-rail vehicle.

  • PDF

Single Point Vulnerability Analysis of Reactor Coolant System in OPR-1000 (표준형 원전 원자로냉각재계통의 발전정지유발기기 분석)

  • Lee, Eun-Chan;Bae, Yeon-Kyoung;Kim, Myung-S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999-200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발전소의 정상적인 출력운전을 위해 필요한 주요 계통의 기능에 영향을 미쳐 발전소 불시정지를 유발할 수 있는 핵심 기기, 즉, 발전정지유발기기의 설치 개소를 체계적인 방법을 통하여 정밀 분석하고, 해당 기기의 고장모드와 그 영향을 검토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도록 하는 것이다. 발전정지유발기기의 평가는 발전소 종사자로 하여금 가동 중 발전소에서 발생 가능한 발전정지 영향기기와 그들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정량적 평가를 통해 해당기기들의 발전소 발전정지 영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불시 발전정지를 예방할 수 있는 대응 논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원자로냉각재계통에 대한 발전정지유발기기(SPV, Single Point Vulnerability)를 분석하기 위해 고장모드영향분석(FMEA, Failure Mode Effect Analysis)을 수행하고 상세 고장수목을 개발하여 통합단위의 계통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원자로냉각재계통의 발전정지유발기기는 원자로냉각재 펌프와 가압기 주살수 밸브의 제어회로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search of KNPEC-2 Simulator Upgrade(I) (원자력 교육원 #2 시뮬레이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I))

  • 유현주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0.07a
    • /
    • pp.249-252
    • /
    • 2000
  • 원자력 교육원 #2(KNPEC-2) 시뮬레이터는 1980년도 중반에 웨스팅하우스에 의해 공급되어 계속 사용되어 오다가 현재 성능개선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번 성능개선을 통해 기존의 컴퓨터 시스템(Gould MPX)와 소프트웨어의 전면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적 계산 코드를 이용한 실시간 열수력 모델 (ARTS; Advanced Real-Time Thermal-Hydraulics Simulation) 개발 , 2-Group 3D 실시간 노심모델(REMARK ; REal Time Multigroup Advanced Reactor Kinetics)를 이용한 노심 주기개선 (Cycle Update) 가상현실 기술 등을 이용한 컴퓨터 교육지원 시스템(CATS: Computer Assister Training System)등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논문은 이러한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논문은 이러한 새로운 시도들 및 그 결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기준발전소(Reference Plant)인 영광 1호기 12주기의 노심모델로 주기개선(Cycle Update)을 위한 REMARK의 입력자료 생성을 위해 핵설계 전산체계인 APA(ALPHA-PHOENIX-ANC) 시스템의 출력으로부터 자동으로 REMARK 입력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GUI툴 개발하였다. 또 이를 이용하여 개발된 노심모델은 최적계산코드(RETRAn 3D) 의 열수력 해법을 이용하여 개발된 NSSS 열수력코드(ARTS) 와 결합(Integration) 되어 안정 및 과도 상태 시험에 사용되었으며 원자로 냉각재 펌프 정지등의 몇 가지 과도 시험 계산결과 기존 해석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중앙제어실(MCR; Main Control Room)내의 운전원 행동만 훈련하도록 되어있는 기존시뮬레이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상현실 (VR) 저작도구를 이용한 발전소 현장 내부를 표현하는 가상발전소 (Virtual Plant) 발전소 현장에 소재하여 기존 시뮬레이터의 모의한계 밖에 있던 패널을 표현한 가상판넬(Virtual Panel)등과 강의실에서 발전소 모의 훈련을 가능케 하기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지원 교육훈력 시스템(CATS ; Computer Assister Training System)을 개발 중이며 일부 개발부분을 소개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ent Response vs. Lasing Wavelengths and Directions in Gain-Clamped L-band EDFA (고정이득 L-band EDFA에서 발진 파장 및 방향에 따른 과도응답 특성)

  • Kim Ik sang;Kim Chang bong;Yang Heng;Sohn Young h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0 no.3A
    • /
    • pp.160-167
    • /
    • 2005
  • The gain-clamped EDFA has been developed to eliminate the output power change of WDM surviving channels to occur with added or dropped channels, which degrades the performance of WDM optical network. It maintains the constant gain of surviving channels when WDM channels are added or dropped in a network amplifying node. In this paper, the hi-directionally pumped gain-clamped EDFA is implemented to compensate the change of the input power by a las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lasing of a short wavelength and backward propagation is the optimal condition to minimize the transient response of surviving channels in terms of the overshoot and gain saturation due to the inhomogeneous broadening effect.

Advanced Field Weakening Control for Maximum Output Power Operation of Seawater Cooling Pump Induction Motor in a Limited Environment (제한된 환경에서의 해수냉각펌프용 유도전동기 최대출력 운전을 위한 약계자 제어)

  • Son, Yung-Deug;Seo, Yong-Joo;Jung, Jun-Hyung;Kim, Jang-Mo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8 no.6
    • /
    • pp.540-546
    • /
    • 2013
  • The induction motor is used for driving the special equipments such as warship and submarine pump due to robust structure and simple maintenance. Domestic and foreign warships use a wide range of voltages and the DC voltage sources mainly from battery. In the low voltage level, the Δ-connection operation of induction motor can be used for the maximum power. However, the temperature of the inverter increases because of the high input current. On the other hand, Y-connection operation of the induction motor does not cause a problem of temperature because of the low input current compared to the Δ-connection. But the lack of the supply voltage can not be avoided.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algorithm of the optimum field weakening control to extend the operating range of the induction motor with maximum power in a limited thermal and DC voltage condition.